01 성형안과 수술의 기본 원칙
1. 성형안과 수술의 기본 원칙 2
2. 수술기구 3
3. 봉합사 6
4. 기본 수술 술기8
5. 상처치유 15
6. 유리조직이식과 피판 17
7. 사진촬영24
02 눈주위 해부학
1. 안와28
2. 안구와 외안근40
3. 눈꺼풀41
4. 눈물기관 49
5. 혈관계52
6. 신경계56
7. 코안과 코곁굴61
03 덧눈꺼풀과 눈꺼풀속말림
1. 덧눈꺼풀67
2. 눈꺼풀속말림 67
3. 속눈썹증과 두줄속눈썹81
04 눈꺼풀겉말림
1. 병력 청취86
2. 진찰 87
3. 치료 88
1) 퇴행눈꺼풀겉말림의 치료 88
2) 눈물점겉말림(또는 안쪽눈꺼풀겉말림)의 치료.88
3) 눈꺼풀판겉말림의 치료91
4) 마비눈꺼풀겉말림의 치료 92
5) 반흔눈꺼풀겉말림의 치료 92
05 눈꺼풀처짐의 진단
1. 해부학적 구조96
1) 눈꺼풀올림근96
2) 뮐러근97
3) 이마근97
2. 눈꺼풀처짐의 분류 97
1) 널힘줄눈꺼풀처짐98
2) 근눈꺼풀처짐98
3) 신경눈꺼풀처짐102
4) 외상눈꺼풀처짐103
5) 거짓눈꺼풀처짐103
3. 눈꺼풀처짐의 진단103
1) 병력104
2) 신체검사 104
06 눈꺼풀처짐의 치료
1. 수술시기 110
2. 수술 전 상담110
3. 수술 방법의 선택110
4. 수술 방법 111
1) 눈꺼풀올림근널힘줄교정술111
2) 눈꺼풀올림근절제술113
3) 이마근걸기술114
4) 결막뮐러근절제술121
5) Fasanella-Servat procedures 122
5. 수술 합병증 122
1) 과교정122
2) 부족교정123
3) 윤곽이상 123
4) 눈꺼풀속말림123
6) 눈꺼풀겉말림124
7) 토끼눈 및 눈꺼풀내림지연 124
8) 각막염124
9) 결막탈출 125
10) 감염, 육아종 또는 걸기재료의 노출 125
11) 사시125
12) 출혈126
13) 자가근막채취 수술 후 합병증126
6. 수술 후 경과와 치료 126
1) 수술 후 경과 126
2) 수술 후 치료 126
3) 재발126
07 위눈꺼풀성형술
1. 눈 주위의 퇴행성 변화 132
1) 위눈꺼풀고랑132
2) 눈주위 주름132
2. 수술의 목적 133
3. 수술 전 검사133
1) 눈 보호기전 검사133
2) 퇴행성 변화의 검사 133
3) 안과 및 전신검사135
4) 사진과 그림135
4. 젊은 연령에서 위눈꺼풀성형술(쌍꺼풀 수술)135
1) 수술 종류 136
2) 수술 방법의 선택136
3) 쌍꺼풀 모양136
4) 수술 방법 138
5) 수술 후 처치 150
5. 노년층의 눈꺼풀성형술150
6. 눈썹아래 절개를 통한 눈꺼풀성형술153
7. 눈썹처짐의 교정수술 154
1) 직접눈썹올림술156
2) 위눈꺼풀성형술과 병행한 눈썹올림술157
3) 이마중앙올림술157
4) 관상이마올림술158
5) 내시경이마올림술159
08 미용 눈구석성형술
1. 안쪽눈구석주름성형술 162
1) 안쪽눈구석주름의 형태별 분류 162
2) 안쪽눈구석주름이쌍꺼풀 수술에미치는영향163
3) 수술 방법 163
4) 수술 합병증165
2. 가쪽 미용눈구석성형술166
1) 수술 방법 166
2) 수술 합병증 167
09 아래눈꺼풀성형술
1. 나이에 따른 아래눈꺼풀 변화 172
1) 안와지방 탈출 172
2) 눈물고랑 및 눈꺼풀뺨고랑172
3) 피부와 눈둘레근 이완173
4) 아래눈꺼풀 위치173
5) 아래눈꺼풀 수평이완173
2. 아래눈꺼풀성형술 선택하는 방법 174
1) 피부접근법174
2) 결막접근법174
3) 아래눈꺼풀 지방재배치수술175
4) 피부재생술175
3. 아래눈꺼풀성형술 수술법175
1) 피부접근법175
2) 결막접근법179
3) 눈밑지방재배치 수술법181
4. 얼굴중간부처짐 교정술183
1) 얼굴중간부 노화의 해부학적 변화183
2) 수술 전 검사 184
3) 수술 방법 184
10 눈꺼풀성형술 합병증 치료
1. 위눈꺼풀성형술 합병증192
1) 비대칭과 부족교정 192
2) 피부혈종, 눈뒤혈종, 실명 192
3) 눈물흘림과 건성안 193
4) 토끼눈 및 노출각막염193
5) 눈꺼풀함몰과 여러겹쌍꺼풀194
6) 눈꺼풀처짐194
7) 비후흉터와 감염195
2. 미용 쌍꺼풀 수술 합병증195
1) 비대칭 쌍꺼풀 195
2) 쌍꺼풀 소실195
3) 쌍꺼풀 높이이상197
4) 위눈꺼풀뒤당김197
3. 눈썹올림술 합병증197
1) 감각이상 197
2) 탈모증197
3) 흉터, 혈종, 감염 197
4) 얼굴신경마비198
4. 아래눈꺼풀성형술 합병증198
1) 안와출혈 198
2) 아래눈꺼풀뒤당김198
3) 눈꺼풀겉말림199
4) 비대칭 지방돌출199
5) 복시200
6) 결막부종 200
7) 눈물흘림 201
5. 얼굴중간부올림술 합병증201
1) 부종201
2) 감각이상 201
3) 가쪽눈구석 모양 이상과 아래눈꺼풀 위치 이상 201
11 보툴리눔독소와 필러
1. 보툴리눔독소204
1) 보툴리눔독소 작용기전204
2) 보툴리눔독소 상품의 종류205
3) 주입 방법과 적응증 206
4) 합병증210
2. 필러 211
1) 이상적인 필러의 조건211
2) 필러 물질의 분류211
3) 필러의 주사방법215
4) 눈주위에서 적응증 216
5) 필러의 부작용과 합병증 218
12 눈꺼풀연축
1. 병인 224
2. 임상양상225
3. 진단 226
4. 감별진단227
1) 반사눈꺼풀연축227
2) 눈둘레근파동227
3) 반얼굴연축227
4) 반얼굴 연합운동228
5) Meige 증후군228
6) 눈뜨기행위상실증228
7) 약물유발 눈꺼풀연축229
8) 신경변성질환229
9) 틱229
5. 비수술적 치료 229
1) 눈주위 환경 개선229
2) 약물치료 229
6. 보툴리눔독소230
1) 주사방법231
2) 치료효과 232
3)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234
7. 수술적 치료 235
1) 근절제술 235
2) 선택적 얼굴신경절제술237
3) 심부뇌자극237
13 얼굴신경마비와 눈합병증
1. 얼굴신경의 해부와 기능242
2. 눈증상의 발생기전243
3. 얼굴신경마비의 원인 243
1) Bell의 특발성 얼굴마비 243
2) 종양244
3) 그 밖의 원인들 244
4. 증상 및 진찰244
5. 얼굴신경마비의 치료 244
1) 각막노출의 보존 치료245
2) 각막노출의 수술적 치료 245
3) 눈꺼풀겉말림의 치료251
4) 눈썹처짐의 교정252
6. 얼굴신경 이상재생의 치료 255
14 눈꺼풀의 감염과 염증
1. 만성눈꺼풀염258
1) 눈꺼풀염의 원인258
2) 눈꺼풀염의 임상양상258
3) 데모덱스(털집진드기) 눈꺼풀염259
4) 마이봄샘기능부전260
5) 눈꺼풀염의 치료261
6) 눈꺼풀염의 감별진단263
2. 다래끼와 콩다래끼253
1) 다래끼263
2) 콩다래끼263
3. 눈꺼풀의 연조직염 265
4. 눈꺼풀부종의 감별진단266
15 양성 눈꺼풀종양
1. 눈꺼풀종양 진단의 일반 원칙271
1) 병력 청취와 진찰270
2) 전신검사271
3) 조직생검 271
2. 양성 눈꺼풀종양 272
1) 양성 표피종양 272
2) 햇빛 손상과 관련된 피부 질환274
3) 피부부속기관의 양성종양 275
4) 양성 색소세포 병변 276
5) 눈꺼풀종양을 유발하는 전염성 또는 전신질환278
16 악성 눈꺼풀종양
1. 바닥세포암종282
1) 임상 소견 282
2) 조직병리 소견 283
3) 치료 및 예후 283
2. 피지샘암종285
1) 임상 소견 285
2) 성장 특징 286
3) 생검 방법 286
4) 조직병리 소견 286
5) 치료 및 예후 286
3. 편평세포암종 287
1) 임상 소견 287
2) 조직병리 소견 288
3) 치료 및 예후 288
4. 악성흑색종290
1) 임상 소견 290
2) 조직병리 소견 291
3) 치료 및 예후 292
5. Merkel 세포암종 292
1) 임상 소견 292
2) 조직병리 소견 292
3) 치료 및 예후 293
6. 전이성 눈꺼풀 악성종양293
17 결막종양
1. 총론 296
1) 결막의 해부학 296
2) 진단 및 접근 296
2. 치료 298
1) 경과관찰 298
2) 절개생검 298
3) 절제생검 298
4) 냉동치료 299
5) 화학요법 299
6) 방사선요법299
7) 안구적출술과 안와내용물제거술299
8) 점막이식 299
3. 각론 300
1) 선천병변 300
2) 상피종양 301
3) 림프세포증식종양305
4) 눈물언덕종양306
5) 결막종양과 유사한 기타 결막 질환306
18 아래눈꺼풀재건
1. 서론 312
2. 수술과 연관된 눈꺼풀 해부312
1) 눈꺼풀테 312
2) 눈꺼풀의 앞층판과 뒤층판 313
3) 가쪽눈구석313
4) 안쪽눈구석313
3. 눈꺼풀재건술의 기본원칙315
1) 눈꺼풀의 앞층판결손315
2) 눈꺼풀의 전층결손 315
3) 제2차 창상치유 316
4. 아래눈꺼풀의 재건316
1) 직접봉합 316
2) Tenzel 반원형회전피판 318
3) Hughes 수술322
4) 유리눈꺼풀판이식326
5) 변형된 Hewes 수술 327
6) Mustarde 뺨회전피판 328
5. 아래눈꺼풀 재건술의 합병증 329
1) 아래눈꺼풀겉말림329
2) 가쪽눈꺼풀 늘어짐 330
3) 위눈꺼풀의 이상330
4) 눈의 합병증330
19 위눈꺼풀과 눈구석재건
1. 위눈꺼풀의 재건 334
1) 직접봉합 334
2) Tenzel 반원형회전피판 334
3) 눈꺼풀판결막미끄럼피판 334
4) 역변형 Hughes 수술338
5) Cutler-Beard 수술 또는 교량피판 수술342
6) 아래눈꺼풀테줄기피판345
7) 복합이식 347
8) 중앙이마피판349
9) 관자이마피판350
2. 안쪽눈구석의 재건351
1) 육아조직 351
2) 전층피부이식351
3) 미간피판 353
4) 이엽피판 353
5) 눈꺼풀판결막피판과 전층피부이식
또는 피부근육피판법의 병행355
6) 안쪽눈구석의 고정 359
3. 가쪽눈구석의 재건361
1) 직접봉합 361
2) 눈꺼풀판결막피판과 피부근육회전피판 및
전층피부이식의 병행 362
3) 관자이마피판364
4) 가쪽눈구석의 고정 364
4. 눈물배출로의 재건368
1) 눈물점 및 눈물소관의 일부가 절제된 경우 368
2) 눈물배출로가 완전히 제거된 경우368
5. 수술술기의 결정 368
1) 피판과 이식편의 분류368
2) 눈꺼풀재건술에서 강조할 사항 370
3) 눈꺼풀결손의 종류에 따른 재건술의 예370
20 눈물흘림의 진단
1. 눈물배출의 원리 376
1) Rosengren-Doane의 능동적 눈꺼풀눈물소관 펌프 이론 376
2) Jones가 제안한 눈물펌프 이론376
2. 눈물흘림의 원인 378
1) 눈물과다분비378
2) 눈물배출감소379
3. 진단 380
1) 병력청취 381
2) 이학적 검사382
3) 영상검사388
4) 눈물길미세내시경389
21 선천눈물길질환
1. 선천코눈물관막힘395
1) 병인과 증상395
2) 진단395
3) 치료395
2. 눈물주머니낭종400
1) 병인과 증상400
2) 진단401
3) 치료401
3. 선천눈물샛길401
1) 병인과 증상401
2) 분류402
3) 진단402
4) 치료403
4. 눈물점발육부전 및 무형성 403
22 눈물흘림의 치료
나태윤
1. 눈꺼풀관련 눈물흘림의 치료 406
1) 눈꺼풀과 눈물점 위치이상의 치료406
2) 눈물점협착의 치료 406
2. 기능성눈물길폐쇄의 치료 406
3. 눈물길폐쇄의 치료407
1) 원발후천코눈물관폐쇄407
2) 눈물주머니염408
4. 눈물길미세내시경409
5. 코눈물관내 실리콘관삽입술 409
6.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410
1) 피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410
2) 내시경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413
3) 눈물소관경유 레이저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415
4)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재수술416
7. 눈물주머니절제술417
8. 눈물소관폐쇄의 치료 417
1) 눈물소관염의 치료 417
2) Jones관을 이용한 결막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418
9. 눈물샘소관염과 눈물샘소관낭포 421
23 안와질환의 진단
1. 병력 424
1) 통증425
2) 진행425
3) 과거병력 426
4) 안구돌출 426
5) 촉진427
6) 박동427
7) 안와주변의 변화427
2. 검사 429
1) 눈검사429
2) 안와 검사 430
3) 검사 항목 431
3. 영상검사431
1) 초음파432
2) 단순 방사선검사 432
3) 전산화단층촬영432
4) 자기공명영상432
5) 정맥조영술, 혈관조영술 433
4. 전신검사와 혈액검사 433
5. 생검 434
6. 사진 434
24 안와질환 영상검사
1. CT 438
2. MRI 442
3. CT/MRI 허상446
4. CT와 MRI의 적응증과 주의사항 446
5.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449
25 안와염증질환
1. 감염성 안와염증질환 453
1) 세균안와연조직염453
2) 곰팡이안와연조직염457
3) 결핵과 매독459
4) 바이러스 감염 460
5) 기생충 감염460
2. 비감염성 안와염증질환460
1) 특발안와염460
2) 특발경화안와염468
3) IgG4관련눈질환 469
4) 사르코이드증471
5) 기무라병 472
6) 육아종증다발혈관염473
7) 알레르기육아종증 474
8) 안와 황색육아종질환474
26 안와혈관질환
1. 혈관종양480
1) 영아혈관종480
2) 고립섬유종483
2. 혈관기형 484
1) 해면정맥기형484
2) 선천동정맥기형485
3) 정맥기형 486
4) 림프관기형487
5) 목동맥해면굴샛길487
27 안와종양
사호석
1. 림프세포증식질환494
1) 임상양상494
2) 진단494
3) 병리조직 소견 495
4) 분류496
5) 병기499
6) 치료499
7) 예후500
2. 안와낭종501
1) 유피낭종과 표피모양낭종 501
2) 피부지방종501
3) 점액류502
4) 안와혈종 502
3. 눈물샘종양503
1) 다형샘종 504
2) 샘낭암종 504
3) 악성혼합종 506
4) 점막표피모양암종 506
5) 샘암종506
4. 시신경종양506
1) 시신경교종507
2) 수막종508
5. 말초신경집종양510
1) 신경섬유종510
2) 신경집종 513
3) 악성말초신경집종 514
4) 신경모세포종과 신경절신경종 514
6. 중간엽종양514
1) 횡문근육종514
2) 평활근종516
3) 평활근육종516
4) 지방육종516
5) 섬유조직구종516
7. 랑게르한스세포조직구증517
8. 전이종양518
9. 이차안와종양 519
28 안와수술
1. 안와수술의 원칙 524
1) 가장 가깝고 안전한 경로를 선택한다524
2) 충분한 시야를 확보한다 524
3) 정상조직에서 병변으로 향한다.525
4) 수술 중에 무리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525
5) 수술 후 환자관리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 526
2. 안와수술의 적응증526
3. 안와수술의 접근방법 526
1) 앞쪽접근법527
2) 가쪽안와절개술534
3) Coronal or panoramic approach 540
29 갑상샘눈병증
1. 발병기전544
2. 역학 545
1) 발생율과 유병율545
2) 성별, 나이, 인종 545
3) 자연경과 546
3. 위험인자546
1) 흡연546
2) 갑상샘기능 이상546
3) 방사성요오드 치료 546
4. 진단 546
1) 임상 양상 547
2) 영상검사 551
3) 혈액검사(갑상샘 기능검사)552
4) 분류 및 활동도 553
30 갑상샘눈병증의 비수술적 치료
1. 갑상샘기능 이상의 치료559
2. 보존적 치료 559
3. 부신피질호르몬제559
4. 방사선치료560
5. 면역억제제561
6. 스테로이드 국소주사 561
7. 필러 주입술 561
8. 보툴리눔독소 주사562
9. Immunomodulating agents 562
10. Somatostatin analogue562
11. 그 외의 치료 563
31 갑상샘눈병증의 수술적 치료
1. 안와감압술566
1) 하벽과 내벽감압술 566
2) 외벽감압술572
3) 지방제거 감압술 574
4) 수술 후 처치 574
5) 수술결과와 합병증 574
2. 외안근수술574
1) 수술 방법 575
3. 눈꺼풀수술576
1) 위눈꺼풀뒤당김의 교정술 576
2) 아래눈꺼풀뒤당김의 교정술579
32 안구제거술
1. 수술 여부 결정에서 고려사항-비수술적 방법 584
2. 수술의 선택-안구적출술과 안구내용제거술586
1) 안구적출술의 적응증586
2) 안구내용제거술586
3. 안와충전물587
1) 안와충전물의 분류 587
2) Hydroxyapatite 안와충전물 588
3) Porous polyethylene (MedporⓇ) 안와충전물 588
4. 수술 해부학 589
1) 외안근 589
2) 테논낭589
3) 충전물의 크기 590
4) 눈심장반사590
5. 수술과정590
1) 안구적출술590
2) 안구내용제거술 595
3) 진피지방이식597
6. 안와내용물제거술597
1) 수술 적응증597
2) 수술 방법 598
3) 수술 후 관리 600
4) 수술 후 눈얼굴보형물과 안와재건술 600
33 무안구증 합병증 치료
1. 무안구증 합병증 환자의 진단과 평가 604
1) 병력604
2) 이학적 검사604
2. 선천무안구증과 소안구증605
3. 안구제거 후 나타나는 안와의 변화606
1) 해부학적 변화 606
2) 생리학적 변화 606
3) 안와의 성장606
4. 무안구 안구함몰증후군607
1) 병태생리 607
2) 예방과 치료607
5. 안와충전물 노출 610
1) 임상양상 610
2) 원인 및 예방 610
3) 치료611
6. 결막구석과 결막낭 수축612
1) 얕은 아래결막구석 612
2) 결막낭수축 615
7. 이차 안와충전물 삽입술619
34 눈주위 외상
1. 병력청취624
2. 사진 624
3. 검사 624
4. 눈꺼풀 외상 625
1) 수술 시 고려사항626
2) 눈꺼풀 앞층판의 단순열상 627
3) 눈꺼풀의 복잡한 열상628
5. 안와 외상 628
1) 안와이물 628
2) 안와혈종631
6. 눈물소관 외상 632
1) 진단632
2) 수술의 필요성 632
3) 수술시기 632
4) 수술할 때 고려사항 633
5) 수술 방법 634
7. 외상시신경병증636
1) 분류636
2) 증상과 검사637
3) 기전637
4) 치료638
35 안와골절
1. 발생기전과 분류 642
1) 발생기전 642
2) 골절의 분류643
2. 진단 643
1) 임상증상 643
2) 영상검사 646
3. 치료 647
1) 내과적 치료647
2) 수술적 치료648
3) 합병증 및 처치 654
4) 안와삽입물657
4. 안와상벽골절660
1) 분류660
2) 증상 및 진단 660
3) 치료661
5. 광대-위턱뼈 복합골절661
1) 증상662
2) 치료662
6. 코뼈-안와뼈-벌집뼈 골절 663
1) 증상663
2) 치료664
7. Le Fort 골절664
1) 분류664
2) 진단665
3) 치료666
● 이 책의 특징
2004년 성형안과 교과서가 ‘안성형학’이란 이름 하에 처음 출간된 지 18년 만에 제 4판을 발행 하게 되었습니다.
2013년에 ‘대한안성형학회’가 ‘대한성형안과학회’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제 3판 부터는 ‘성형안과학’으로 정
식으로 변경되어 발행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성형안과학’ 교과서가 성형안과의 기본적인 지식에서부터 전문가적
인 정보를 전달하는 필독서로서 제 역할을 충분히 해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5년 제 3판 발간 후 7여년 세 월
이 흐르는 동안 성형안과학의 많은 발전이 있어 개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번 제 4 판에서는 그동안
미진했던 의학용어를 개정된 한글 의학용어에 맞게 수정 하였으며 책 전체에서 통일되게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중
요성이 커지는 질환의 경우 챕터를 세분화하여 새로운 정보와 최신의 치료방법 등을 소개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개정 작업을 통하여 더욱 더 발전하는 성형안과학 교과서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