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사진으로 보는 내시경 아틀라스 상부소화관

  • 저   자 :
  • 역   자 : 최혁순
  • 출판사 : 대한의학
  • ISBN(13) : 9791155903087
  • 발행일 : 2025-07-11  /   1판   /   284 페이지
  • 상품코드 : 29758
  • 적립금: 1,440
80,00072,000

역자 서문

내시경에 대한 경험이 쌓일수록 좋은 화질의 내시경 사진을 찍어 보관하고자 하는 마음은 커지지만,
바쁜 진료 현장의 현실로 인해 다양한 사진을 체계적으로 모으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학회 차원에서 내시경 전문가분들의 여러 귀한 사진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자료집을 만들었을 때, 그 이미지들은 단순한 사진의
집합을 넘어 중요한 임상 지식과 경험의 보고가 됨을 절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각 사진에는 한 환자에게서 포착된 결정적인 진단 순간과 내시경 영상의 미세한 소견이 담겨 있어,
후배 의사들에게 귀중한 학습 자료이자 임상 진료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사진으로 보는 소화기내시경 아틀라스: 상부 소화관』의 번역 작업에 참여하게 된 것은 단순한 언어 변환을 넘어,
내시경 영상이 지닌 예술적 아름다움과 깊은 과학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원서가 전달하고자 하는 섬세한 이미지와 정교한 설명들은 내시경이 단순한 진단 도구를 넘어, 혁신적인 의학적 가치와 동시에
예술적 감동을 선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명확한 내시경 사진을 얻기 위해 병변을 섬세하게 세척하고,
프로나제 등의 효소를 활용해 불필요한 점액을 제거하며, 적절한 공기를 주입하여 내시경 관 내부 환경을 최적화한 결과,
빛 반사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초점을 맞춤으로써 각 사진은 환자의 질환에 대한 결정적인 순간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노력은 ‘아름다운 사진’이라는 책 제목이 주는 의미를 온전히 구현하며, 내시경 검사가 예술적 감동과
정밀한 의학적 분석이 공존하는 영역임을 분명히 드러냅니다.

번역 과정에서는 일본 내시경 전문의들이 오랜 기간 쌓아온 경험과 첨단 기술이 어우러진 내용을 최대한 충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전문 용어와 표현 하나하나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내시경 영상이 보여주는 세밀한 구조와 질환의 특징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데 집중하였으며, 임상의들이 실제 진료 현장에서
겪는 경험과 감각을 독자들에게 그대로 전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한국의 임상 현장에서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은 최대한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으나, 일부 표현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원어 그대로의 표현이 더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대로 사용하였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작업은 단순히 원문의 의미를 옮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독자들이 내시경 영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내시경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미가 더욱 선명해진 오늘날, 내시경 검사는 진단뿐 아니라 치료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줍니다.
이에 따라 본 번역본은 내시경을 처음 접하는 전공의부터 다년간 경험을 쌓은 전문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의들이 심도 깊은 이해와 실질적인 진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번역본이 내시경 영상의 아름다움과 핵심 가치를 국내 의학계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원저자와 편집진, 그리고 번역 작업에 아낌없는 지원과 협조를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고려대학교의과대학 부속 안암병원 교수 최 혁 순




제1장 악성 종양 (식도)
01 편평상피암①: 표재암(M~SM)
02 편평상피암②: 진행암
03 선암(바렛선암 포함) ①: 표재암(M~SM)
04 선암(바렛선암 포함) ②: 진행암  
05 소세포암
06 선편평상피암
07 비소세포형 미분화암
08 점액표피암
09 신경내분비종양
10 악성흑색종
11 악성 림프종
12 전이성 종양
13 벽내 전이53
14 위장관기질종양
15 지방육종
16 암육종

제2장 악성 종양 (위)
01 선암①: 조기암(분화형)
02 선암②: 조기암(미분화형)
03 선암③: 진행성 위암
04 잔위암
05 제균 후 위암
06 선와 상피형 위암
07 위저선형 위암  
08 인환세포암  
09 신경내분비종양  
10 악성흑색종 
11 악성 림프종  
12 MALT 림프종  
13 전이성 종양
14 위장관기질종양  
15 지방육종

제3장 악성 종양 (십이지장)
01 선암(비유두부) ①: 조기암  
02 선암(비유두부) ②: 진행암  
03 유두종양(선종~암)  
04 신경내분비종양  
05 악성 림프종  
06 위장관기질종양  

제4장 양성~경계 영역 종양 (식도)
01 유두종  
02 글리코겐 아칸토시스  
03 이소성 피지선  
04 염증성 용종(역류성)  
05 점막하 종양(비악성)  
06 낭종  
07 고립성 정맥확장  
08 과립세포종  
09 편평상피내 종양  

제5장 양성~경계 영역 종양 (위)
01 위저선 용종
02 과형성 용종
03 염증성 섬유양 용종
04 과오종성 반전 용종  
05 위 선종  
06 점막하 종양(비악성)  
07 카포시육종  
08 위 사구종양  

제6장 양성~경계 영역 종양 (십이지장)
01 림프관종  
02 Brunner선 과형성  
03 이소성 위점막  
04 선종  
05 낭종  

제7장 소화관 용종증
01 크론크하이트-캐나다증후군  
02 위저선 용종증
03 포이츠-제거스 증후군
04 위 국한성 연소성 용종증  
05 Cowden 증후군  

제8장 병원체 감염과 관련된 상부 소화관 병변
01 위축성 위염  
02 위·십이지장 소화성 궤양  
03 위·십이지장 미란  
04 장상피화생  
05 위 황색종  
06 소화관 헤르페스 Herpes simplex virus  
07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08 식도 칸디다증 Candida albicans
09 위 매독 Treponema pallidum
10 고래회충  
11 위 봉와직염  

제9장 자가면역질환·전신질환 등에 동반되는 상부 소화관 병변
01 베체트병  
02 유육종증  
03 아밀로이드증  
04 크론병  
05 호산구성 소화관 장애
06 자가면역성 위염  
07 소화관 이식편대숙주병

제10장 혈관염·순환장애와 관련된 상부 소화관 병변
01 식도·위·십이지장 정맥류  
02 문맥압 항진성 위병증
03 혈관확장증 GAVE, DAVE도 포함하여
04 IgA혈관염(Henoch-Schönlein병)

제11장 약제와 관련된 상부 소화관 병변
01 다비가트란 기인성 식도염
02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 궤양
03 부식성 식도염  
04 비스포스포네이트 식도염
05 탄산 란탄 침착 위점막
06 PPI 관련 위저선 용종

제12장 기타 병변
01 역류성 식도염
02 바렛식도  
03 맬로리-바이스증후군
04 게실
05 이물  
06 위석  

부록 임상 분류
01 암의 벽 침윤 깊이 분류
02 육안형 분류
03 IPCL 분류
04 VS 분류
05 LA 분류
06 Kimura·Takemoto 분류
07 Sakita·Miwa 분류
08 Yamada-Fukutomi 분류
09 Praha 분류
10 Forrest 분류
11 Rindi 분류

색인 281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