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통증의학을 전공하시는 모든 분께,
통증이 의학의 전문분야로 자리잡는 데는 적지않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많은 분들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었고, 그 덕에 통증 분야는 학문적 발전과 함께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었습니다.1995년부터 대한통증학회 주관으로 “통증의학” 제목의
책을 발간하게 되었고 이제 제 6판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학문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미충족 필요를 해결하기 위
해서는 통증 분야에 대한 학회와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도 이루어야 합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그간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교과서를 편찬하는 지극
히 당연하고,또한 때에 맞춰 증보개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만성통증이나 암성통증에 대한 치료 요구가 증대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약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술
도 시행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만족할 만한 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통증 발생 기전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여야 하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치료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아울러 올바른 진단도 필수적입니다.
현재 수준에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증의학 전공자에게 제공하는 교과서를 이번에 편찬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
게 생각하며 향 후 더 발전된 증보판이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집필해 주신 저자분들과 감수해 주신 편찬위원 및 학회 관계자 분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출판을 위해 여러모로
애써주신 메디안북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제 6판이 통증의학 전공자 여러분께 큰 도움이 되며 또한 무궁한 발전도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2024. 10.
대한통증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위원장 윤 명 하
Contents
PARTⅠ 총론
01 통증의학의 역사
02 통증의 말초기전
03 통증의 척수기전
04 통증의 척수상부 기전
PART Ⅱ 진단 및 평가
05 통증 환자의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및 통증 평가
06 통증의 객관적 소견: 전기생리학적 검사 및 검사실 소견
07 통증의 객관적 소견: 영상의학적 검사 및 기타 검사
08 만성통증의 정신의학적 평가
PART Ⅲ 통증의 임상 각론
SECTION A 난치성 통증
09 대상포진과 대상포진후신경통
10 신경병성 통증과 대사질환
11 복합부위통증증후군
12 환지통
13 중추성 통증
14 섬유근육통 Fibromyalgia
SECTION B 근골격계 통증
15 어깨통증
16 상지통증
17 하지통증
18 염증성 관절염
19 근막통증증후군
SECTION C 척추통증
20 경추/흉추에서 기인하는 통증
21 요천추부 척추통증
22 척추수술 후 만성통증
23 천장관절과 기타 부위에서 기인하는 하요통
SECTION D 두통
24 일차두통
25 이차두통
26 통증성 머리신경병성과 안면통 및 기타 두통 질환
SECTION E 내장통
27 흉복부 내장 통증
28 골반 및 회음부 통증
29 혈관성 통증
SECTION F 암성통증
30 암성통증의 역학 및 통증증후군
31 암성통증에 대한 약물요법
32 암성통증 중재적 요법
33 호스피스 완화의학
SECTION G 급성통증
34 수술 후 통증
35 분만통
36 외상 관련 통증
PART Ⅳ 통증 관리
SECTION A 약물요법
37 NSAIDs and Acetaminophen
38 마약성 진통제
39 보조진통제
SECTION B 비침습적 치료
40 물리치료
41 통합의학
SECTION C 중재적 시술
42 교감신경블록
43 뇌신경블록
44 경막외블록
45 경막외 신경성형술과 내시경술
46 척수 및 뇌자극술, 척수강내 약물 주입술
47 고주파치료
48 경피적 척추체 확장술과 골성형술
49 경피적 내시경 요추추간판 절제술
50 초음파 투시영상하 말초신경블록
51 증식치료와 기타 비수술 재생치료
PART Ⅴ 기타
52 소아와 노인의 통증
53 비통증성 질환의 신경블록
54 특별한 문제를 동반한 환자에서의 신경블록
55 통증클리닉에서의 응급상황
56 통증 관련 사회적 문제
57 미래의 통증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