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인을 위한 감염관리와 병원미생물학
머리말
우리의 인체는 세균과 공생하는 관계에 있으며 정상균무리 또는 병원성 세균으로서의 대사를 하기에 중요한 학문이라 여겨지고 이에 의학적으로 중요한 기초 미생물의 특성과 병원성에 대해 학습하여 보건의료인으로서 임상실무현장의 실무고양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또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관련 감염은 감염발생 현장의 최일선에서 감염원을 찾아내는 감시배양검사 뿐만 아니라
감염발생을 감시하고 감염전파를 차단하는 감염관리 분야에서 역할을 수행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요구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신종플루, 에볼라, 메르스, 지카바이러스 등으로 국가감염관리정책의 개선에 대한 여론이 일고 있으며 또한 기후환경의 변화 및 항생제 남용 등으로 인한 슈퍼박테리아 (MRSA, VRE, CRE 등), 신·변종 및 재유행 감염병이 급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확실한 대응책이 미흡한 상황입니다.
이에 국가에서는 의료법 시행규칙 43조에 병원(병상이 200개 이상인 경우) 및 종합병원으로서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의 장은
병원감염 예방을 위하여 인력 구성을 법제화하여 매년 발생하는 유행병, 논란이 계속되는 의료감염 문제 등 보건의료 현장에서 감염균의 실체를 증명하고 감시하는 업무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본 교재에서는 의료 환경에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감염원에 대해 일반적인 특성 및 병원성에 대해 학습하여 감시배양 검사뿐만
아니라 미생물검사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염발생을 감시하고 감염전파를 차단하는 보건의료전문인력으로서의 소양을 함양하는데 있습니다. 환자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효율적인 감염 관리가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최우선하는 전문인으로서
살아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리고 본 교재가 간호사, 치위생사, 임상병리사를 비롯한 학생들에게 길잡이의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보건의료인을 위한 감염관리와 병원미생물학』을 발간하기 까지 전과정은 다년간의 현장경험이 있는 교수들이 함께
모여 집필하였지만,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앞으로 더욱더 좋은 교재가 되도록 보완하고 수정하는 작업에
노력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이 책이 나오기까지 집필을 위해 고생하신 집필진 교수님들에게 찬사를 보내며 편집을 위해 노력해주신
고려의학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2023. 2.
저자 일동
1편 총론
Chapter
01 의학 미생물학의 역사적 배경 / 3
1. 미생물학의 역사적 배경 3
2. 미생물학의 발전사 4
Chapter
02 세균의 분류 및 동정 / 11
1. 세균의 분류법 11
2. 세균의 동정방법 19
Chapter
03 세균의 형태 및 미세구조 / 23
1. 세균의 형태와 크기 23
2. 염색성 25
3. 세균의 구조 25
Chapter
04 세균의 영양 및 증식 / 37
1. 세균의 발육과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질 37
2. 세균의 발육과 증식곡선 40
Chapter
05 검체의 채취 및 세균의 배양법 / 43
1. 검사재료의 채취 및 보존 43
2. 세균의 각종 염색법 48
3. 세균의 배양법 50
Chapter
06 멸균과 소독 / 65
1. 멸균과 소독에 관한 용어 65
2. 멸균과 소독법의 종류 65
3. 간호 분야에서 멸균과 소독법의 이해 72
Chapter
07 세균의 대사 / 77
1. 세균의 물질 대사 77
Chapter
08 세균의 유전학 / 101
1. 염색체의 구조와 기능 101
2. 변이의 정의와 세균의 주된 변이 116
3. 플라스미드의 정의와 종류 119
4. 유전물질의 전달 과정 121
Chapter
09 면역 / 125
1. 개요 125
2. 비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125
3. 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129
4. 예방 접종 135
5. 면역 반응의 억제 139
Chapter
10 정상균무리 / 143
1. 정상균무리의 특성 143
2. 정상균무리의 구성을 결정하는 요인 145
3. 각 신체 부위에 따른 정상균무리 145
Chapter
11 감염경로와 방어기전 / 155
1. 세균의 감염과 발증 155
2. 숙주의 방어기능 162
3. 감염양성 166
4. 감염병의 원인 167
Chapter
12 항균제와 내성기전 / 171
1. 항균요법 172
2. 미생물에 대한 항생제의 작용 기전 175
3. 계통에 따른 항균제의 분류 176
4. 항균제에 대한 내성 기전 179
5. 항균제 감수성 시험 183
6. 항균제 사용에 주의 202
Chapter
13 의료관련감염(병원감염) 관리 / 205
1. 원내감염의 정의와 통제 205
2. 감염발생 감시 프로그램 211
3. 균주별 감염관리 213
4. 개인보호장구 종류 및 적용 215
5. 병원직원 감염관리 216
6. 감염성 폐기물 분류와 관리 217
7. 격리종류별 감염관리방법 222
8. 격리종류별 기본사항 222
9. 물품별 개봉 후 유효기간 222
10. 환경소독방법 222
11. 음압병실 점검 225
12. 응급실 및 외래에서 감염성 질환(의심)
환자 발생 시 대처 225
2편 임상세균학
Chapter
14 그람양성알균 / 229
1. Staphylococcus균속과 감염증 229
2. Streptococcus균속과 감염증 233
Chapter
15 그람음성알균 / 237
1. Neisseria균속과 감염증 237
2. Moraxella균속과 감염증 239
Chapter
16 산소성 또는 조건무산소성 그람양성막대균 / 241
1. Bacillus균속과 감염증 241
2. Corynebacterium균속과 감염증 243
3. Listeria균속과 감염증 245
4. Erysipelothrix균속과 감염증 246
5. Mycobacterium균속과 감염증 246
6. Nocardia균속과 감염증 249
7. Actinomyces균속과 감염증 250
Chapter
17 그람음성 조건무산소성 막대균 / 251
1. Enterobacteriaceae와 감염증 251
Chapter
18 Vibrionaceae와 감염증 / 265
1. Vibrio cholerae와 감염증 265
2. Vibrio parahaemolyticus와 감염증 268
3. Vibrio vulnificus와 감염증 269
4. Vibrio alginolyticus 및 기타 Vibrio 균속과 감염증 271
5. Aeromonas균속과 감염증 271
Chapter
19 포도당비발효 그람음성막대균 / 273
1. Pseudomonas균속과 감염증 273
2. Acinetobacter균속과 감염증 276
3. Alcaligenes균속과 감염증 277
Chapter
20 영양요구성이 까다로운 또는 조건무산소성
그람음성 막대균 / 279
1. Haemophilus균속과 감염증 279
2. Bordetella균속과 감염증 282
3. Legionella균속과 감염증 283
4. Brucella균속과 감염증 285
5. Francisella균속과 감염증 286
6. Gardnerella균속과 감염증 287
Chapter
21 무산소성균 / 289
1. 그람양성 무산소성 알균과 감염증 289
2. Veillonellaceae와 감염증 290
3. 무산소성 아포형성균과 감염증 290
4. 무산소성 그람음성 막대균과 감염증 294
5. 무산소성균의 예방과 치료 295
Chapter
22 만곡되거나 나선인 막대균 / 297
1. Campylobacter균속 및 Helicobacter균속과 감염증 297
2. Spirochaeta균속과 감염증 299
Chapter
23 Mycoplasma, Chlamydia,
Richettsia / 305
1. Mycoplasma와 감염증 305
2. Chlamydia(Chlamydophila)와 감염증 307
3. Rickettsia와 감염증 310
Chapter
24 치아우식증과 구강세균 / 315
1. 구강 감염증의 분류 315
2. 치아우식증의 발생기전 315
3. 치아우식증의 발생 요인 316
4. 치아우식증의 발생 부위에 따른 세균 318
Chapter
25 치주질환과 구강세균 / 319
1. 치주병 319
2. 치주질환과 관련된 세균총 321
3. 치주질환 세균의 독성인자 322
4. 치주질환의 종류에 따른 특성 324
Chapter
26 치수염 및 치근단 감염 관련 세균 / 329
1. 치수염 관련 세균 329
2. 치근단 감염 관련 세균 330
Chapter
27 기타 구강 감염질환 / 331
1. 구강 영역의 화농성(고름성) 질환 331
2. 치성 병소감염 331
3. 타액선 감염 332
3편 바이러스학
Chapter
28 바이러스의 개요와 일반성상 / 337
1. 바이러스학의 역사 337
2. 바이러스의 일반성상 338
3. 바이러스의 분류 340
4. 바이러스의 증식 344
5.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346
Chapter
29 바이러스와 감염증 / 349
1. DNA 바이러스 349
2. RNA 바이러스 354
3. 기타의 바이러스 365
Chapter
30 바이러스 감염증의 진단과 치료 / 369
1. 바이러스 감염증의 실험실 진단법 369
2.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370
4편 진균학
Chapter
31 진균의 일반적인 특징과 분류 / 375
1. 진균학의 역사 375
2. 진균의 일반성상 376
3. 진균의 분류 376
4. 진균증의 임상적 분류 377
Chapter
32 진균과 감염증 / 379
1. 피부사상균의 성상 379
2. 피부진균증의 임상 381
3. 전신성 진균증의 임상 382
4. 진균증의 치료 388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