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한국의 독자들에게
역자 서문
집필자 일람
Chapter 1. 견관절
1.1. 견관절 내 병변에 대한 견관절 내 주사
1.2. 견봉하 충돌에 대한 견봉하활액낭 주사
1.3. 상완이두근 장두건염에 대한 결절간구 내 주사
•COLUMN: 도플러 입사각이란
1.4. 석회 침착성(회전근개)힘줄염에 대한 석회화 부위 주사
1.5. Bennett 골극에 대한 차단술 주사와 결절종에 대한 천자
1.6. 전사각근 차단술, 견갑상신경 차단술, 액와신경 차단술
Chapter 2. 주관절
2.1. 주관절 내 병변에 대한 주관절 내 주사
2.2. 외측상과염, 내측상과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2.3. 주부관증후군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2.4. 외측상과염에 대한 percutaneous ultrasonic tenotomy
2.5. 원위 상완이두근건병증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Chapter 3. 수관절
3.1. 수근관증후군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3.2. 수관절 내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수관절 내 주사
3.3. 협착성건초염(de Quervain병, 방아쇠 수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 de Quervain병
- 방아쇠 수지
•COLUMN 2: 방아쇠 현상 유형
•COLUMN 2: 유효성에 대하여
•COLUMN 3: 측정중 주사법: 통증이 적은 건초 내 주사·PIP관절 내 주사
3.4. 초음파 유도하 무지 CM관절 내 주사
3.5. 수관절 수술을 위한 초음파 유도하 상완신경총 차단술(액와 접근)
3.6. 초음파를 이용한 선택적 신경 차단술에 의한 wide awake surgery
Chapter 4. 척추
4.1. 경추증성 신경근증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신경근 차단술
4.2. 경추 수술 후 축성 통증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부신경 차단술
4.3. 요추 질환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후지내측지 차단술
4.4. 허리 통증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동통 유발점 주사
4.5. 초음파 유도하 추간관절 차단술과 요추 횡돌기 골절 진단과 치료에의 응용
- 초음파 유도하 추간관절 차단술
- 요추 횡돌기 골절 진단과 치료에 초음파의 응용
4.6. 초음파 유도하 요통 근막 박리
•COLUMN: 근·근막의 기능장애(MPS)와 유발점(TP)
4.7. 초음파 유도하 천골 경막외 차단술
4.8. 초음파 유도하 천장관절 차단술
•COLUMN: 프로브 선택과 조정
4.9. 장요근 농양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천자/배액 치료
4.10. 척추척수 수술에 대한 수술중 초음파 유도하 내비게이션
•COLUMN: 수술 내비게이션 시스템
Chapter 5. 고관절
5.1. 비구순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5.2. FAI에 대한 고관절 내 주사
5.3. 외측형 발음성 고관절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인터벤션
Chapter 6. 슬관절
6.1. Baker 낭종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6.2. 반월연골판 결절종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6.3. 슬개건증(Jumper’s knee)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6.4. 거위발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6.5. Osgood-Schlatter병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COLUMN: Osgood-Schlatter병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골편적출술
Chapter 7. 족관절
7.1. 비복근·가자미근 좌상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COLUMN: 혈종의 예방(테이핑과 붕대고정)
7.2. 퇴행성 족관절증에 대한 족관절 내 주입요법
7.3. 족관절 후방 충돌증후군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7.4. 유착성 건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7.5. 아킬레스 건증(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7.6. 아킬레스건 부착부병증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7.7. 비골근건염·후경골근건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7.8. 족저근막증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7.9. 강직무지, 무지 종자골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치료
7.10. 지간신경종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주사
7.11. 족관절 수술을 위한 초음파 유도하 신경 차단술(좌골신경 차단술, 복재신경 차단술)
- 좌골신경 차단술
- 복재신경 차단술
7.12. 초음파 유도하 저침습 아킬레스건 봉합술
7.13. 초음파 유도하 전거비인대(ATFL) 봉합술이 책의 특징
역자서문
제가 처음으로 초음파 유도하 수술을 참관한 것은 2016년입니다. ‘초음파를 이용한 말초신경차단술(정효준 역, 메디안북)’로 유명했던 나라대학병원의 Nakanishi 선생의 수부 수술이었습니다. 외래에서 사용하던 포터블 초음파를 수술실로 가져가 방아쇠 손가락과 손목터널증후군 증례에 이용하는 모습을 처음 접했습니다. 당시는 초음파 유도하 주사에도 익숙지 않았던 시절이라 수술은 제게 무척 생소했습니다.
하지만 8년이 지난 지금은 초음파 없이 외래 진료가 불가능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또한 수술에서도 초음파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이미 다양한 이론과 수기가 알려져 있지만, 초음파 기계의 발전에 따라 그 유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책은 Nakanishi 선생의 의국 선배이자 현 와세다대학 스포츠과학 학술원 교수인 Tsukasa 교수 및 여러 선생님이 집필하였으며 근골격계 각 부위의 첨단 치료에 관해 기술되었습니다.
진료에 초음파를 이용하는 여러 선생님들 모두에게 유익한 책이라고 확신합니다.
번역에 도움을 주신 여러 선생님들과 도서출판 대한의학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25년 1월
수재활의학과의원
정효준
서문
근골격계를 다루는 정형외과 의사는 임상 현장에서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뼈·연골 등 경조직뿐만 아니라
근·건·인대·신경·혈관 같은 연조직의 형태와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인체의 구조
를 가시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발전해 왔습니다. 1895년에 발견된 방사선에 의한 X선 검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고, 뼈 모양을 묘사한 진단은 크게 발전했습니다. 그 후, 동일한 X선을 이용한 CT 검사가 보급되어
뼈 형태의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는 자기공명영상이라고 하는 MRI 검
사의 출현으로, 지금까지 곤란했던 연조직을 스캔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촬영 조건을 변경하여 기능
과 관련된 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로서 보급되었습니다. 그다음으로 나타난 것이 초음파 검사입니다. 초음파
의 반사파(에코)를 수신해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체내의 연조직 단면상, 움직임, 혈류, 탄성을 실시간으로 그려내
는 검사로 비약적인 보급을 이루었습니다. 지난 몇 년간 초음파 기술에 대한 혁신은 눈부십니다. 이전의 도플러법
에 의한 혈류 평가로는 한계로 여겨졌던 저유속 혈류를 그려내는 SMI(Superb Micro-vascular Imaging)기술, 연부조
직의 경도를 보다 높은 재현성으로 정량 평가할 수 있는 전단파 탄성영상검사(shear wave elastography), CT나 MRI
의 레퍼런스 영상과 동기시킴으로써 병변 위치의 특정이 용이해지는 smart fusion 기술, 스캔 모드와 표시 방법을
조합하는 것으로 가능해진 초음파 3차원 영상의 재구축 기술 등, 기술 면에서의 진보는 엄청납니다.
그렇다면 우리 정형외과 의사들은 어떻게 풍부한 영상 정보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초음파 유도하 중재
술’이라는 말이 나온지 아직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이제 그 유용성과 다양성은 더욱 빠르게 확대되어 임
상 연구의 성과와 함께 근골격계 치료를 크게 변화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책에서는 초음파 유도하 치
료·수술 전문가인 45명의 선생님께서 가장 기본적인 술기에 관해 집필해 주셨습니다. 이 분야의 기술은 매일 변화
하고 업데이트되고 있지만, 필자는 그것들이 모두 기초가 되는 술기에 대해 다루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으로
여러분의 초음파 유도하 치료·수술 기술 향상과 전문가의 길에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2023년 11월
편집자를 대표하여
와세다대학 스포츠과학 학술원
Kumai Tsuk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