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족부학과 족부보조기

  • 저   자 : 최근선 외 1명
  • 역   자 :
  • 출판사 : 대한의학
  • ISBN(13) : 9791155902004
  • 발행일 : 2021-10-22  /   1판   /   196 페이지
  • 상품코드 : 28737
  • 적립금: 1,260
국내신간
70,00063,000

TABLE OF CONTENTS

1. 임상 족부학
01 질환에 접근하는 방법 - 구조적/신경병적/족부학적
1. 상체에서의 예시 - 드꾀르벵 병
1) 정형외과적 관점: 국소병변으로 파악
2) 신경병적 관점: 경추 신경병증
3) 족부학적 관점: 경추에 초래된 부적절한 스트레스
2. 하체에서의 예시 - 거위발건 점액낭염
1) 정형외과적 관점: localized pathology
2) 신경병적 관점: 요추 신경병증
3) 족부학적 관점

02 족부해부학
1. 발과 발목의 해부학
1) 뼈
2) 관절
3) 인대
4) 발의 아치
2. 해부학 강론
1) 뼈
2) 관절
3) 인대
4) 발의 아치

03 족부의학의 기본 용어
1. 움직임의 구별
2. 정면에서의 움직임
3. 시상면에서의 움직임
4. 횡면에서의 움직임
5. 체중부하 시 전면의 위치
6. 체중부하 시 시상면의 위치
7. 체중부하 시 횡면의 위치
8. 회내동작/외전동작
9. 후족부 내반/후족부 외반
10. 회내동작의 의미

04 생역학
1. 직립보행에 따른 손과 발의 기능 분화
2. 발 기능저하에 따른 자세 변화(보상성 자세)
3. 발 기능저하에 따른 보행의 변화(보행 이상)
4. 거골하 관절의 중요성
5. 발이 몸 전체에 미치는 생역학 - 구조적/신경학적 접근 필요
6. 발이 무릎에 미치는 생역학

05 정상 보행
1. 보행의 정의
2. 생리학적 정의
3. 기계적 정의
4. 왜 우리는 정상보행에 대해 공부해야 하는가?
5. 보행의 4가지 필수요건
1) 균형감각
2) 운동능력
3) 근골격계의 기능
4) 신경학적 조절
6. 보행주기
7. 보행분석 시 사용하는 여러 개념
1) 보폭
2) 발 간격
3) 족부진행각
4) 분속수
5) 속도
8. 보행 주기를 이루면서 걷는 주 목적
9. 보행선

06 보행역사, 소아보행
1. 인류 최초의 보행
2. 이족보행을 가능하게 한 해부학적 차이
3. 관절 운동범위 유지의 중요성
4. 척추의 형태
5. 정상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계 발달의 중요성
6. 소아보행

07 부정렬증후군, 척추측만증, 하지길이부동
1. 부정렬증후군의 정의
1) 골반환의 뒤틀림
2) 척추의 종축과 사지 골격의 축 변화로 인한 머리와 발, 전체 신체 방향의 변화
3) 연부조직 구조의 보상성 변화
4) 척추의 변형으로 교감, 부교감신경계의 기능이상 동반
2. 부정렬증후군의 증상, 척추측만증
3. 하지길이부동

08 족부의학, 족부보조기의 정의 및 종류
1. 족부의학의 정의
2. 외국의 면허제도
협의의 족부학/임상족부학
3. 족부보조기의 정의
4. 족부보조기의 구성
1) Cover
2) Shell
3) Fore-foot extension
4) Post
5. 보조기의 종류
1) 전문의 진단, 처방에 따른 분류
2) 치료 목적에 따른 분류
3) Shell의 경도에 따른 분류
6. 신발
1) 좋은 신발의 기준
2) 보조기 착용에 좋은 신발

2. 그림으로 보는 임상 족부학
01 인류 진화의 시작: 직립과 이족 보행
02 발의 진화: 아치를 만들다!
03 발의 아치가 무너져서 생기는 질환들
1) 족저근막염
2) 무지외반증
3) 소건막류
4) 지간신경종
5) 부주상골 증후군
6) 팔자걸음
7) 만성 발목 염좌
8) 아킬레스건염
9) 정강이 부목
10) 종아리근육 파열과 하지정맥류
11) 무릎관절 이상(내측 반월상연골판 파열, 오다리,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12) 무릎뼈 연골연화증
13) 오스굿-슐래터 병
14) 거위발건염
15) 엉덩이 근육의 통증
16) 이상근 증후군과 허리 통증
17) 추간판 수핵 탈출증
18) 골반의 문제
19) 기능성 척추측만증
20) 회전근개 손상과 오십견
21) 거북목 증후군
22) 턱관절 증후군
04 족부보조기
1. 정의
2. 역할
3. 분류
1) 의료용 맞춤형 보조기
2) 건강 기능성 기성 제품
4. 처방 순서
1) 내측종아치
2) Arch cushion pad
3) 보행교정판
4) 중족골돔
5) Cover
6) 뒤꿈치높임
7) 기타

3. 족부보조기의 다양한 적응증
Case-
Case 1. 일자목, 거북목의 치료
Case 2. 잘못된 성장통 진단 환아의 치료
Case 3. 발뒤꿈치 통증의 치료
Case 4. 틱증후군으로 오진되었던 자세이상의 치료
Case 5. 성장기 척추측만증의 호전
Case 6. 만성 피로의 치료
Case 7. 다발성 만성 통증의 치료
Case 8.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Case 9. 소아의 평발 및 척추측만증
Case 10. 족저근막염과 거북목
Case 11. 소아의 안짱걸음
Case 12. 성인의 평발과 모톤 신경종
Case 13. 성장통으로 오해받는 소아의 무릎통증
Case 14. 인공관절 수술 후 발생한 하지길이부동
Case 15. 발목 관절의 불안정성
Case 16. 골반 회전과 척추측만증
Case 17. 중추신경손상 후유증
Case 18. 하지골절 후유로 인한 하지길이부동

찾아보기


PREFACE

요즘 어린 소아 환자에게 많은 척추측만증도 원인 불명의 특발성 척추측만증(idiopathic spinal scoliosis)보다는 발
과 보행의 문제를 우리 몸이 보상(compensation)하려다 생긴 기능성 척추측만증(functional spinal scoliosis-척추
외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이 훨씬 더 많다. 그래서 원인을 치료하면 척추 증상이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 병원
직원 아들을 다시 진찰하였다. 처음에는 보지 못했던 비대칭 평발과 팔자걸음(out toeing gait), 이로 인한 하지길이
부동(leg length discrepancy)으로 골반 한쪽이 낮아져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 몸의 고유 수용성 감각
(proprioception)이 작용하여 기능성 척추측만증이 되었던 것이었다. 족부보조기를 처방하였더니 척추측만증이 호전
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그때의 감동과 기쁨은 참으로 컸다. 교과서에서도 ‘척추측만증은 진행한다, 호전되지 않는
다, 심하면 수술해야 한다.’라고만 나와 있어서 환자에게 해줄 것이 없어 안타깝기만 했었는데 호전될 수 있는 길이
있다니! 이때부터 환자를 볼 때 나무가 아닌 숲을 보려고 노력하였고 내린 결론은 발의 아치(arch)와 정상 보행의 회
복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당장 아픈 것에 대한 치료도 중요하지만 왜 아프게 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 원인을 고칠 수 있는지가 더 우
선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족부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데 막상 공부하려니 그 내용이 여러 의학 분야에 분산되어 있고 기존
서적은 족부보조기를 이용한 치료에 대해 체계적으로 나와 있지 않아 막막했다. 공부를 통해 알게 된 지식과 임상에
서 알게 된 지식을 조금씩 알게 되면서 족부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쉬운 내용
도 처음 접할 때는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이 족부학을 좀 더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