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의학

  • 저   자 : 대한화상학회
  • 역   자 :
  • 출판사 : 군자출판사
  • ISBN(13) : 9791159556999
  • 발행일 : 2021-05-10  /   1판   /   376 페이지
  • 상품코드 : 28699
  • 적립금: 1,900
국내신간
100,00095,000

목차

1.Epidemiological review on Korean burn injury 1
01 서론…1
02 자료원 및 통계 방법 …1
03 결과…3
04 결과 요약 및 해석… 16
참고문헌 | 18

ghgghghhghghghg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hg02
2.Burn Management in Disasters and Humanitarian Crises 19
01 서론 19
02 정의 20
03 역사적 사례………… 22
04 대량 환자 발생에서의 단계… 28
05 재해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 32
06 환자와 자원 배분 전략 37
07 인도 주의의 위기…… 39
08 결론 40


3.Outpatient of Burn 41
01 서론 41
02 외래에서 화상환자… 41
03 화상의 체표면적…… 41
04 화상의 깊이 ………… 42
05 화상의 부위………… 43
06 손상 매개체………… 43
07 경증 화상의 관리…… 45
08 상처 소독 방법……… 47
09 합성 창상 피복재…… 47
10 조직 공학적 합성 창상 피복재 49
11 생물학적 재료를 이용한 창상 피복재… 49
12 화상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 49
13 감염과 항생제의 사용 50
14 백신…… 50
15 퇴원 전 술기 지도…… 50
16 확실한 상처 폐쇄……………… 50
17 소양증51
18 재상피화 과정중 외상성 수포 51
19 재활치료…………… 51
20 중등도 및 중증 화상의 외래 치료… 51
21 결론 52


4. Pre-hospital management, transportation, and emergency care 53
01 서론 53
02 병원 전 처치………… 53
03 화상환자의 현장 평가 54
04 응급처치…………… 55
05 화상전문병원으로 이송…… 56
참고문헌 | 58


5. Pathophysiology of Burn Shock and Burn Edema 59
01 서론 59
02 저혈량증과 화상 부종 60
03 정상 모세혈관 물질 교환…… 60
04 화상 부종 형성 기전… 61
05 정상 부위 반응……… 63
06 세포막 변형과 세포 부종…… 63
07 화상 염증 매개체…… 63
08 혈역학적 변화……… 66
09 결론 67
참고문헌 | 69


6. Burn Resuscitation 71
01 서론 71
02 수액소생술의 초기접근…… 72
03 Brooke와 Parkland 공식…73
04 어린이 ……………… 74
05 수액의 선택 ………… 75
06 일반적인 관리……… 77
07 소생술 중 위험 증가 환자 … 77
08 소생술 지표들 ……… 78
09 Fluid creep 및 부종 관리 79
10 약리학적 및 체외부속물 …… 80
11 프로토콜 구동 및 전산화 소생술 …… 82
12 결론 82
참고문헌 | 83


7. Treatment of infection in Burn Patients…85
01 서론 85
02 감염의 예방 ………… 86
03 화상상처감염의 진단 86
04 화상상처감염의 치료 89
05 국소항균화합물…… 90
06 국소항균화합물…… 92
07 화상상처의 특수감염 96
08 화상 환자에서 상처 이외의 원인으로 인한 감염………… 100
09 결론103
참고문헌 | 105


8. Operative wound management 111
01 용어111
02 조기 절제 및 이식의 장점……112
03 화상 상처 절제의 기술112
04 화상 상처 봉합의 기술113
05 피부의 획득…………113
06 요약 114
참고문헌 | 114


9. Anesthesia for Burned Patients 115
01 서론115
02 수술 전 평가 ………117
03 약리학………………131
04 기도 관리……………135
05 모니터………………136
06 혈관 접근성…………137
07 환자 이송……………140
08 마취제의 선택………141
09 수액 관리……………143
10 수술 후 관리…………149
11 결론151


10. The Skin Bank, Skin Substitutes and ‘the next level’ 153
I. The skin bank………153
01 역사153
02 피부조직은행의 성장 154
03 American Association of Tissue Banks의 역할………154
04 동종피부이식의 임상적 사용155
05 동종피부이식의 잠재적 단점157
06 피부조직은행의 기술적 측면158
07 이송161
08 해동161
09 인체 피부조직 은행에 대한 FDA 규정…… 161
10 피부조직은행의 미래…162

Ⅱ. Skin Substitutes and 'the next level'…………162
01 서론162
02 일시적 피부대체물과 소독재163
03 영구적 피부 대체물…165
04 전층 피부 대체물……168
05 규제적 관점…………170
06 결론170


11. Inhalation Injury 171


12. The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and Burn Sepsis 175
01 The Initiating Event176
02 SIRS와 면역학적 섭동 ……177
03 The Two-Hit Hypothesis 177
04 SIRS의 지표로서 순환하는 사이토카인과 결과 예측인자 …177
05 SIRS의 항염증 치료 177


13. Hematology, Hemostasis, Thromboprophylaxis, and Transfusion Medicine in Burn Patients 179
01 서론179
02 화상 환자의 빈혈의 원인……179
03 화상 환자의 지혈……180
04 화상 환자의 혈액응고 장애 180
05 화상 환자의 수혈 …181
06 정맥성혈전 및 색전 예방 ……182
참고문헌 | 184


14. Mineral Bone Metabolism, Micronutrient, Hypophspatemia 185
Ⅰ. Mineral bone metabolism……185
01 칼슘, 인산염, 마그네슘의 항상성 185
02 화상손상이 칼슘, 인산염, 마그네슘 대사에 미치는 영향…185
03 치료의 이론적 근거 …186
04 뼈 187
05 중증 화상 손상 이후 뼈 감소에 대한 치료……… 187
참고문헌 | 189

Ⅱ. Hypophosphatemia 저인산혈증190
01 화상 후 저인산혈증의 원인…190
02 저인산혈증의 결과…191
03 저인산혈증의 예방과 치료…191
참고문헌 | 192


15. Nutritional Support of the Burned Patient 193
01 서론193
02 현대의 화상치료와 신진대사 요구사항…… 193
03 영양 요구의 평가……194
04 특정 영양소 요구 사항194
05 미량 영양소 : 비타민과 미량 원소… 195
06 영양 지원 방법………195
07 대사과다증의 비영양 관리…196
08 결론196
참고문헌 | 197


16. Acute Kidney Injury in Association with Thermal Injury 199
01 서론199
02 정의 199
03 원인201
04 초기 급성 신손상 …201
05 저혈장 상태 …………202
06 과도한 수액 치료 및 복부 구획증후군202
07 횡문근융해증………202
08 심기능부전…………203
09 후기203
10 패혈증………………204
11 신독성 물질…………204
12 진단205
13 치료207
14 급성 화상 초기 치료에서의 신장 보호207
15 기타 이슈……………209
16 후기209
17 결론212



17. Critical Care in the Severely Burned 213
01 서론213
02 화상중환자실 구성…214
03 화상중환자실의 혈역학적 모니터링…216
04 다발성장기부전 ……219
05 중환자 치료…………220


18. Care of the Burned Pregnant, Care of Geriatric Patients 235
Ⅰ. 노인 화상 환자의 치료……235
01 서론235
02 역학 235
03 결과236
04 위험 인자 …………236
05 치료 237
06 통증, 진정, 그리고 완화치료239
07 수술전후 시기의 최적화……239
08 재활240
09 노인환자에서 고의적인 화상240
10 결론241
참고문헌 | 242

Ⅱ. 나이에 따른 고려사항 소아 화상…243
01 서론 243
02 초기평가……………244
03 수액소생술…………245
04 수액소생의 평가………… 245
05 기도의 평가와 관리…246
06 흡입손상……………247
07 과대사반응…………247
08 성장의 지연…………248
09 화상창상의 관리……… 248
10 통증조절……………249
11 재활249
12 예방250
참고문헌 | 250

Ⅲ. 임신한 화상 환자의 치료(산모에서의 화상 치료)……251
01 서론251
02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251
03 태아 생존 능력………252
04 치료254
05 그 외 추가적인 고려사항들…256
06 결론258
참고문헌 | 259


19. Electrical Injuries 261
01 서론261
02 병태생리……………263
03 급성기 치료…………265
04 소아 전기화상………269
05 기타 장기손상………270
06 낙뢰손상……………271
07 합병증………………274
08 예방활동……………275
09 결론276
참고문헌 | 277


20. Cold-induced Injury: Frostbite, Chemical Injury 279
Ⅰ. 동상279
01 동상의 역사…………279
02 동상의 병태생리와 분류……280
03 동상의 임상양상과 분류……280
04 동상의 초기치료……281
05 해동 후 평가 및 치료282
06 결론284

Ⅱ. 화학화상……………284
01 서론 284
02 병태생리……………284
03 치료의 기본 원칙……285
04 Specific Agents……286
05 결론292
참고문헌 | 293


21. Radiation Injuries and Vesicant Burns 295
01 방사선손상의 병태생리295
02 방사선손상의 치료…297
03 수포제 화상…………300


22. Molecular and Cellular Basis of Hypertrophic Scarring 303
01 서론 303
02 세포외 기질…………304
03 비대증상 세포의 기여305
04 반흔치유에 대한 시토카인의 역할……307
05 면역체계의 상처 치유 조절 …308
06 결론309


23. Pathophysiology of the Burn Scar 311
01 서론311
02 상처 치유의 생물학…313
03 상처 치유를 변화시키는 요인들……315
04 비후성 상처 치유……317
05 결론321


24. Burn Rehabilitation Along the Continuum of Care 323
01 서론323
02 결론328
참고문헌 | 329


25. Reconstruction of Bodily Deformities in Burn patients: An Overview 331
01 화상 후 변형의 재건…331
02 재건술의 종류………332


26. Laser for Burn Scar Treatment 335
01 비후성 화상반흔에서 레이저 335
02 레이저 합병증과 레이저 안전성……336
03 결론337


27. 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Burn Injury 339
01 서론339
02 역학339
03 섬망340
0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341
05 우울장애(Depression)344
06 기타 증상과 관련된 정신과 자문 345
참고문헌 | 347

INDEX 349


서문

그 동안 화상에 대한 국내 서적이 없어 교과서의 필요와 당위성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2017년 대한화상학회 이사장
을 맡으면서 교과서 편찬을 계획하였고 33명으로 구성된 편찬위원회의 수 차례 회의와 교정을 거쳐 처음으로 대한
화상학회 이름으로 화상 교과서가 발간되었습니다. 화상은 주위에서 매우 흔히 접하는 외상으로 진료와 치료에 있
어 전문적인 지식 과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그동안 화상에 대한 국내 서적은 거의 전무한 상태로 지식과
정보의 취득에 있어 주로 외국 책과 논문에 의존해 왔습니다.

이 교과서는 의과대학 학생, 전공의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며 화상을 접하지 않았던 의사들에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 진료와 관리에 발전을 가져오리라 믿습니다.
전체 내용은 총 27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자들은 화상 치료와 진료에 비교적 경험이 많은 분들로 구성
하였습니다. 처음으로 발간되어 약간 부족한 면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비교
적 최신 지견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