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임력보존

  • 저   자 : 대한가임력보존학회
  • 역   자 :
  • 출판사 : 군자
  • ISBN(13) : 9791159557460
  • 발행일 : 2021-08-26  /   1판   /   348 페이지
  • 상품코드 : 28622
  • 적립금: 1,520
80,00076,000


SECTION 1 가임력보존 개론(Introduction)




CHAPTER 01 가임력보존의 역사: 보조생식술로부터 가임력보존까지(History: from ART to fertility preservation)

1. 보조생식술의 역사

2. 가임력보존의 발전

3. 국내/국외 가임력보존 관련 학회

References




CHAPTER 02 암치료와 가임력(The effect of cancer therapy on reproductive function)

1. 암치료와 가임력보존의 중요성

2. 암치료가 가임력에 미치는 영향

3. 각종 암치료가 가임력에 미치는 영향

4. 소결

References




CHAPTER 03 양성 질환에서의 가임력보존(Fertility preservation in non-cancer patients)

1. 나이와 가임력

2. 가임력보존을 고려할 수 있는 양성 질환

References




CHAPTER 04 가임력보존을 위한 난소기능 평가(Ovarian reserve test for fertility preservation)

1. 이학적 내분비 검사 및 유발검사(Laboratory endocrine assessment and dynamic testing)

2. 유발검사(Dynamic tests of ovarian reserve)

3. 초음파 지표(Ultrasound parameters)

4. 나이(Age)

References




CHAPTER 05 동결생물학(Cryobiology)

1. 물의 동결

2. 동결손상(cryodamage) 기전

3. 완만동결

4. 유리화동결

5. 동결보호제

6. 동결-해동 프로그램의 생식의학분야 적용과 고려 요인

7. 동결-해동 프로그램의 잠재적 위험성 고찰

References







SECTION 2 가임력보존 치료(Fertility Preservation Treatments)




CHAPTER 06 가임력보존을 위한 과배란유도(Ovarian stimulation protocol for fertility preservation)

1. 서론

2.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의 유전학적, 임상적 양상

3. 가임력보존을 위한 난소자극: “Going beyond physiological standards”

4. 결론

References




CHAPTER 07 난자와 배아 동결보존(Cryopreservation of oocyte and embryo)

1. 서론(Introduction)

2. 가임력보존 치료의 적응증(Candidates for fertility preservation)

3. 배아 동결보존(Embryo cryopreservation)

4. 난자 동결보존(Oocyte cryopreservation)

5. 세부적 고려사항(Specific considerations)

6. 결론(Conclusion)

References




CHAPTER 08 난소 조직 동결보존과 이식(Ovarian tissue cryopreservation and transplantation)

1. 난소 조직 동결-해동 및 이식 시 가이드라인

2. 난자 또는 배아 동결법과의 차이점

3. 난소 조직의 획득, 동결, 이식 방법

4. 난소 조직 동결-해동 및 이식과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들

5. 한국에서의 동결-해동 난소 이식 및 체외수정 시술례

6. 전체 난소 동결보존 및 이식(Whole ovary transplantation)

7. 맺음말

References




CHAPTER 09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In vitro maturation of immature oocyte)

1. 개요 및 적응증

2. 미성숙난자 채취 및 체외성숙 과정

3. IVM 기법의 안전성

4. 가임력보존 측면에서의 미성숙난자의 이용

References




CHAPTER 10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 호르몬작용제(GnRH agonist)

1. 개요

2. GnRHa가 난소기능을 어떻게 보존하는가?

3. GnRHa의 효과에 대한 근거

4. 결론

References




CHAPTER 11 가임력보존수술(Fertility sparing surgery)

1. 개요

2. 난소 조직 동결보존 수술 및 이식

3. 난소 조직 채취 및 수술도구

4. 난소 조직 이식 시 수술적 고려사항

5. 전체 난소 동결보존 및 이식(Whole ovary transplantation)

6. 난소 조직 동결보존 수술 및 이식술 후 난소기능회복

7. 난소 조직 동결보존 수술 및 이식술 후 임신결과

8. 부인종양 환자에 대한 가임력보존 수술

9. 결론

References




CHAPTER 12 남성 가임력보존(Male fertility preservation)

1. 서론

2. 암치료와 남성 가임력

3. 암치료 전 시행하는 호르몬억제치료(Hormone suppression before cancer therapy)

4. 정자냉동보존(Cryopreservation of spermatozoa)

5. 정조줄기세포와 생식세포의 냉동보존 및 이식(Cryopreservation and transplantation of spermatogonial stem
cell and germ cell)

6. 고환조직냉동보존 및 이식

7. 결론

References







SECTION 3 가임력보존 환자의 관리(Care of Fertility Preservation Patients)




CHAPTER 13 가임력보존 치료의 제공(Organization of fertility presercation care)

1. 암환자의 가임력보존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

2. 현재 가임력보존 프로그램의 한계

3. 성공적인 가임력보존 프로그램을 위한 방법

4. 부인암환자를 위한 가임력보존의 특별 고려 사항

References




CHAPTER 14 가임력보존 후 난임 치료(Fertility treatment after fertility preservation)

1. 가임력보존 후 난임 치료 성공률

2. 결론

References




CHAPTER 15 산과적 결과 및 관리(Obstetric outcomes and care)

1. 암 생존자의 임신에 암이 미치는 영향(Effect of cancer on survivor’s pregnancy)

2. 향후 임신 결과에 항암치료 및 방사선치료가 미치는 영향(Effect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on future
obstetric outcomes)

3. 가임력보존 치료의 임신 결과(Obstetric outcomes of fertility preservation treatment)

4. 암 생존자 임신 및 가임력보존 치료 후 임신 시의 관리(Management of pregnancy in cancer survivor or
pregnancy after fertility preservation treatment)

References




CHAPTER 16 가임력보존의 윤리적 고려(Ethical considerations in fertility preservation)

1. 암환자의 선택(Patient’s dilemma: balancing cancer and fertility)

2. 동의서(Informed consent)

3. 성인에서의 가임력보존술

4. 소아에서의 가임력보존술

5. 암 치유 후 출산(Cancer surviviors’ reproduce)

6. 사후 동결 세포/조직의 사용(Posthumous use of stored reproductive tissue)

7. 결어

References







SECTION 4 가임력보존 치료의 전망(Future Techniques for Fertility Preservation)




CHAPTER 17 가임력보존 치료제(Fertoprotective agents)

1. Ammonium trichloro (dioxoethylene- o,o’) tellurate ; AS101

2. Ceramide-1 Phosphates, C1P

3. 항뮬러관호르몬(Anti-mullerian hormaone, AMH)

4. mTOR inhibitors; 에버롤리무스(Everolimus)

5. 이마티닙(Imatinib)

6. 멜라토닌(Melatonin)

7. 타목시펜(Tamoxifen)

8. 기타 연구 중인 약물

References




CHAPTER 18 난소기능의 재생(Ovarian rejuvenation)

1. 서론

2. 난소 재생 치료 임상 연구

3. 전망

References




CHAPTER 19 인공난소와 생식세포 생성(Artificial ovary and stem cell technology for germ cell formation)

1. 여성 가임력보존을 위한 인공난소(Artificial ovary for female fertility preservation)

2. 줄기세포 유래 생식세포의 생산(Production of germ cells from stem cells)

References




Index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