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부 질병과 개입에 대한 역학적 접근 1
제 1장 서론 3
제 2장 질병전파의 원동력 21
제 3장 질병의 발생: I. 질병 감시와 이환 측정 43
제 4장 질병의 발생: II. 사망률과 그밖의 질병 영향 측정 67
제 5장 진단 및 선별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97
제 6장 질병의 자연사: 예후를 표현하는 방법들 127
제 2부 질병 원인 규명을 위한 역학의 적용 151
제 7장 관찰 연구 153
제 8장 코호트 연구 183
제 9장 코호트 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의 비교 199
제 10장 예방 및 치료의 평가: 무작위시험 203
제 11장 무작위시험: 기타 쟁점에 대한 논의 223
제 12장 위험도 추정: I. 연관성 249
제 13장 위험도 추정: II. 예방가능성 269
제 14장 연관성에서부터 인과성까지: 역학적 연구로부터의 추론 유도 279
제 15장 인과성 추론에서 추가로 고려해야 할 점: 바이어스, 교란, 상호작용 299
제 16장 질병 발생에 있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역할 탐색 317
제 3부 평가와 정책에서의 역학의 응용 343
제 17장 보건의료서비스 평가를 위한 역학의 이용 345
제 18장 선별검사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역학적 접근 367
제 19장 역학과 공공정책 393
제 20장 역학에서 윤리적, 전문적 이슈 413
연습문제 정답 429
찾아보기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