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여성의 관리-5판

  • 저   자 : 대한폐경학회
  • 역   자 :
  • 출판사 : 가본의학서적
  • ISBN(13) : 9791196447793
  • 발행일 : 2020-11-20  /   5판   /   824 페이지
  • 상품코드 : 27751
  • 적립금: 1,080
  • 키워드 : 폐경기, 부인과
국내신간
60,00054,000



제 1 장 폐경의 정의와 의의
1-01 : 폐경(menopause)과 갱년기(climacteric)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2
1-02 : 폐경이 되는 과정은 어떻습니까? / 2
1-03 : 폐경은 언제 옵니까? / 4
1-04 : 최근 초경 연령이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폐경의 평균 연령이 상응해서 변화하고 있습니까? / 4
1-05 : 폐경여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까? / 5
1-06 : 여성의 주요 사망 원인은 무엇입니까? / 6
1-07 : 고령화 사회에서 폐경 관리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 6

제 2 장 폐경 이행기 및 폐경의 신체적, 내분비학적 변화
2-01 : 폐경 이행기란 무엇입니까? / 10
2-02 : 난소는 왜 노화하고 언제부터 노화가 시작됩니까? / 10
2-03 : 난소의 노화 과정이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 11
2-04 : 폐경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12
2-05 : 폐경 이행기에 나타나는 성호르몬 변화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 12
2-06 : 폐경 이행기의 생식관련 호르몬을 제외한 다른 내분비계 변화는 어떻습니까? / 14
2-07 : 난소의 노화 정도를 알 수 있는 검사방법이 있습니까? / 15
2-08 : 폐경이 되는 나이를 앞당기는 중요한 원인 인자로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각 원인 인자의 내분비학적 또는 유전학적 근거는 무엇입니까? / 16
2-09 : 폐경 이행기를 알 수 있는 신체적 증상이 있습니까? / 17
2-10 : 폐경 이행기 동안 보이는 배란과 월경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 17
2-11 : 폐경 이행기 동안 난소의 활동이 거의 없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폐경 후 어떻게 에스트로겐이 생성됩니까? / 18
2-12 : 폐경 이행기 동안 자궁이나 난소는 어떻게 변합니까? / 19
2-13 : 폐경 이행기에도 임신을 할 수 있을까요? / 19

제 3 장 조기 폐경 (조기난소부전)
3-01 : 조기 폐경(premature menopause)이란 어떤 질환인가요? / 22
3-02 : 조기 폐경은 완전히 불가역적인 난소 기능의 소실인가요? / 22
3-03 : 조기 폐경의 발병율은 어느 정도입니까? / 22
3-04 : 조기 폐경을 일으키는 원인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23
3-05 : 조기 폐경은 어떻게 진단됩니까? / 23
3-06 : 조기 폐경 환자에서 진단 시에 시행할 검사가 있습니까? / 23
3-07 : 조기 폐경을 유발하는 방사선 용량은 어느 정도인가요? / 24
3-08 : 조기 폐경을 유발하는 항암화학요법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25
3-09 : 조기 폐경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 25
3-10 : 조기 폐경여성의 호르몬요법에 경구 피임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 26
3-11 : 호르몬요법의 위험성은 조기 폐경여성과 일반 폐경여성에서 동일합니까? / 26
3-12 : 조기 폐경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은 언제까지 합니까? / 27
3-13 : 조기 폐경여성에서 임신을 위한 치료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27

제 4 장 폐경 이행기의 건강관리
A. 폐경 이행기의 건강관리 — 30
4-01 : 폐경 이행기에 건강상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 30
4-02 : 폐경 이행기 여성에서의 건강검진은 어떻게 시행하여야 합니까? / 31

B. 폐경 이행기의 출혈 — 33
4-03 : 폐경 이행기의 이상 질 출혈은 왜 흔히 생기는 것입니까? / 33
4-04 : 폐경 이행기에 들어서면서 자주 출혈이 있는 여성에서 양이 많지 않으면 그냥 두어도 됩니까? / 33
4-05 : 폐경 이행기 때 질 출혈이 있으면 어떤 검사과정을 거쳐야 합니까? / 34
4-06 : 폐경 이행기에 자궁내막증식증이 생길 수 있습니까? / 35
4-07 : 폐경 이행기 질 출혈에 대한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 36

제 5 장 폐경 증상
A. 급성 폐경 증상 — 38
A-1 종류 및 발생기전 — 38
5-01 : 급성 폐경 증상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38
A-2 혈관운동 증상 — 39
5-02 : 혈관운동 증상(vasomotor symptom; VMS)은 무엇이며, 언제 나타납니까? / 39
5-03 : 혈관운동 증상의 발생기전은 무엇입니까? / 39
5-04 : 폐경여성 중에서 폐경 증상이 나타나는 빈도는 얼마나 되며,이중 가장 흔한 증상은 무엇입니까? / 40
5-05 : 혈관운동 증상의 발현에 있어서 자연 폐경과 의인성, 유도 폐경 사이에 차이점이 있습니까? / 41
5-06 : 혈관운동 증상은 얼마동안 지속됩니까? / 41
5-07 : 열성홍조(Hot flush or hot flash)란 무엇입니까? / 42
5-08 : 열성홍조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어떻습니까? / 42
5-09 : 열성홍조 때 발한이 동반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42
5-10 : 열성홍조는 수면과 어떤 연관성이 있습니까? / 43
5-11 : 열성홍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까? / 43
5-12 : 열성홍조가 있는 동안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는 무엇입니까? / 43
5-13 : 열성홍조는 몸에 해롭습니까? / 44
5-14 : 남성과 터너증후군 여성의 경우, 혈중 에스트로겐이 낮은데도 열성홍조가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44
5-15 : 열성홍조가 발생하는 다른 질환이 있습니까? / 45
5-16 : 혈관운동 증상이 심리적 불편을 줄 수 있습니까? / 45
A-3 심리적/정신적 증상 및 제반 문제 — 46
5-17 : 폐경과 관련되어 어떤 심리적 증상들이 나타납니까? / 46
5-18 : 폐경이 두통을 유발합니까? / 46
5-19 : 폐경이 인지 기능 장애를 유발합니까? / 46
5-20 : 폐경이 우울증(depression)을 유발합니까? / 47
5-21 : 에스트로겐 부족이 어떻게 심리적 증상을 유발합니까? / 47

B. 아급성 폐경 증상 — 48
B-1 종류 — 48
5-22 : 아급성 폐경 증상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48
1 : 비뇨생식기의 위축에 의한 증상 / 48
2 : 결체조직의 교원질 소실에 의한 증상 / 48
5-23 : 아급성 폐경 증상은 언제 어떻게 나타납니까? / 48
B-2 비뇨생식기 위축성 증상 — 49
5-24 :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질은 어떤 변화가 있습니까? / 49
5-25 : 질의 위축성 변화가 성교 곤란을 초래하고, 그로 인하여 성욕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까? / 49
5-26 :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방광과 요도에 어떤 변화가 옵니까? / 50
5-27 : 질 이외에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영향을 받는 여성 생식기관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50
B-3 교원질 소실로 인한 증상 — 51
5-28 :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교원질 소실이 일어나는 기관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51
5-29 : 교원질 소실로 인해 피부에 어떠한 변화가 옵니까? / 51
5-30 : 교원질 소실로 인해 골반저에 어떠한 변화가 옵니까? / 52

C. 만성 후유증 — 53
C-1 종류 — 53
5-31 : 에스트로겐 결핍의 만성 후유증은 무엇입니까? / 53
5-32 : 급성 폐경 증상이 있었던 여성에서 만성 후유증이 더 많이 발생합니까? / 53
C-2. 심혈관 질환 — 54
5-33 :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은 무엇입니까? / 54
5-34 : 여성과 남성에서 심혈관 질환의 발생은 차이가 있습니까? / 54
5-35 : 폐경 전 여성에서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이 낮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 54
5-36 : 에스트로겐 결핍이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관계가 있습니까? / 55
5-37 : 폐경 후 호르몬 변화가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관계 있습니까? / 56
5-38 : 폐경여성에서 심혈관 질환의 발생은 폐경의 형태에 따라 다릅니까? / 56
5-39 : 폐경이 되면 지질대사는 어떻게 변합니까? / 56
5-40 : 폐경이 되면 심혈관 질환은 어떻게 진행됩니까? / 57
5-41 : 폐경여성에서 고혈압의 빈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 58
5-42 : 에스트로겐 결핍과 뇌졸중과의 관계는 어떠합니까? / 58
C-3. 골다공증 — 59
5-43 : 골의 형성과 재형성은 어떻게 일어납니까? / 59
5-44 : 골형성과 골소실에 있어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있습니까? / 61
5-45 : 골다공증이란 무엇입니까? / 63
5-46 : 골질(bone quality)이란 무엇입니까? / 63
5-47 : 골다공증은 어떻게 일어납니까? / 64
5-48 : 에스트로겐 결핍은 어떻게 골다공증을 유발합니까? / 65
5-49 : 폐경여성에서 골소실은 얼마나 일어납니까? / 65
5-50 : 남성에서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골소실이 초래됩니까? / 66
5-51 : 골다공증은 어떻게 분류합니까? / 66
5-52 : 폐경과 노화에 의한 골다공증의 임상적 특징은 무엇이 있습니까? / 67
5-53 : 우리나라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유병률은 외국과 비교하여 어떻습니까? / 68
5-54 : 폐경여성에서 골다공증 골절의 빈도는 어떻습니까? / 68
5-55 : 전형적인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은 무엇입니까? / 69
5-56 : 골다공증 골절의 주요 위험 인자는 무엇이 있습니까? / 70
5-57 : 고관절 골절로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 70
5-58 : 척추 압박골절로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 71
C-4.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 — 71
5-59 : 치매란 무엇입니까? / 71
5-60 : 알츠하이머병의 임상적 특성은 무엇입니까? / 72
5-61 : 알츠하이머병과 폐경은 관계가 있습니까? / 73
5-62 : 연령이 증가하면서 인지기능은 어떠한 변화를 보입니까? / 73
5-63 : 에스트로겐이 뇌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 74
5-64 : 에스트로겐이 인지기능에 영향을 끼칩니까? / 74
5-65 : 폐경 후 호르몬요법이 치매에 어떤 영향을 끼칩니까? / 75

제 6 장 폐경의 진단
6-01 : 폐경을 어떻게 진단합니까? / 78
6-02 : 폐경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폐경 증상은 무엇입니까? / 78
6-03 : 폐경 진단을 위한 호르몬검사는 언제 필요합니까? / 79

제 7 장 호르몬요법의 적응증
A. 증상이 있는 폐경여성 — 82
7-01 : 혈관운동 증상이 있는 여성은 호르몬요법의 적응증이 됩니까? / 82
7-02 : 비뇨생식기 위축증상이 있는 여성은 호르몬요법의 적응증이 됩니까? / 83
7-03 : 경구 호르몬요법을 이용하는 폐경여성에서 국소 비뇨생식기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있습니까? / 83
7-04 : 폐경 증상이 있는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84
7-05 :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을 시행할 때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 84
7-06 :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을 시행할 때 장점은 무엇입니까? / 85
7-07 : 호르몬요법은 사망률을 감소시키나요? / 85
7-08 : 호르몬요법은 체지방 및 근육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요? / 86

B. 증상이 없는 폐경여성 — 87
7-09 : 증상이 없는 폐경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까? / 87
B-1. 골다공증 — 87
7-10 :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은 여성을 알아내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87
7-11 : 골다공증의 임상적 진단 기준은 무엇입니까? / 88
7-12 : 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 90
7-13 : 골밀도 측정의 적응증은 무엇입니까? / 90
7-14 : DXA로 측정한 골밀도로 골다공증 골절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습니까? / 93
7-15 : 생화학적 골교체 표지자 측정은 골다공증 진단에 도움이 됩니까? / 93
7-16 : 어떤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호르몬요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까? / 95
B-2. 심혈관 질환 — 95
7-17 :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호르몬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95

C. 조기 폐경여성 96
7-18 : 조기 폐경의 임상적 중요성은 무엇입니까? / 96
7-19 : 조기 폐경 환자들에게 호르몬요법이 필요합니까? / 97
7-20 : 현재 조기 폐경 환자들이 호르몬요법을 적절히 받고 있습니까? / 97
7-21 : 조기 폐경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은 어떻게 시행하며, 기간은 얼마나 해야 합니까? / 98
7-22 : 속발성 무월경 환자들도 조기 폐경처럼 치료대상이 됩니까? / 98
7-23 : 호르몬요법을 원하지 않는 조기 폐경여성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완대안요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 99

제 8 장 폐경호르몬요법에 관한 대규모 임상 연구 분석
A. 개요 — 102
8-01 : 여성 건강 연구(WHI)는 어떠한 연구입니까? / 102

B. 요약 — 104
8-02 : WHI 연구 결과는 어떻게 요약할 수 있습니까? / 104

C. 폐경 증상 및 삶의 질 향상 — 105
8-03 : 폐경 후 호르몬요법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 105

D. 심혈관 질환 — 107
D-1. 관상동맥 질환: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요법 — 107
8-04 : 관상동맥 질환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 / 107
8-05 : 심혈관계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표지자는 무엇인가요? / 108
8-06 : 영상으로 죽경화판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109
8-07 : 여성에서 관상동맥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 / 109
8-08 : 동물실험 및 실험연구에서 에스트로겐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 110
8-09 : 연령에 따라 에스트로겐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가요 ? / 111
8-10 : 종류와 제형에 따라 에스트로겐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가요 ? / 112
8-11 : 동물실험이나 실험연구에서 프로게스토겐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 / 113
8-12 : 종류에 따라서 프로게스토겐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가요 ? / 113
8-13 : 동물실험이나 실험연구에서 안드로겐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 114
8-14 : 관상동맥질환과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요법에 대해 이루어진 NHS, WHI, HERS 등의
대규모 연구의 결과는 어떤가요? / 115
1 : 관찰연구 / 115
1) Nurses’ Health Study (NHS) / 115
2) 영국 코호트연구 / 116
2 : 무작위 임상시험 / 116
1)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HI) / 116
2) Hearts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HERS) / 117
3) The Postmenopausal Estrogen/Progestin Interventions (PEPI) Trial / 117
4) PHOREA 연구 - 무작위 임상시험 / 118
5) Estrogen Replacement and Atherosclerosis (ERA) trial / 118
6) Women’s Angiographic Vitamin and Estrogen (WAVE) study / 118
8-15 : 관찰연구에서 혈관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무작위 임상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결과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 119
8-16 : 시간 가설(timing hypothesis)에 따라 연구 결과를 재분석하면 어떤가요? / 120
1 : Nurses’ Health Study (NHS) 2차분석 / 120
2 :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HI) 2차분석 / 120
3 : Women’s International Study of long Duration Oestrogen after Menopause(WISDOM) / 121
4 : 메타분석연구 / 121
8-17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요법을 중단하면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영향은 어떠한가요? / 122
8-18 : 초기 폐경여성에 대한 최근 임상 연구 결과는 어떤가요? / 122
1 : Kronos Early Estrogen Prevention Study (KEEPS) / 122
2 : Early versus Late Intervention Trial with Estradiol (ELITE) / 123
3 : Danish Osteoporosis Prevention study (DOPS) / 123
8-19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요법과 관상동맥에 대한 권고사항은 어떤가요? / 124
D-2. 관상동맥 질환: 에스트로겐 단독요법 — 125
8-20 :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은 심혈관계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 WHI 연구 이외의 결과들 / 125
8-21 : WHI 연구에서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이 관상동맥 질환에 대해 미치는 결과는? / 126
8-22 : 그렇다면 에스트로겐 단독요법 시 심혈관계 영향에 대해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 126
8-23 : 호르몬요법과 관상동맥에 대한 영향성을 보기 위한 다른 연구들은 어떤 것이 있나요? / 128
8-24 : 호르몬요법과 심혈관계 영향에 있어 경구 및 경피 에스트로겐제제 간의 차이는 있나요? / 129
D-3. 혈전증 및 뇌졸중 — 130
8-25 : WHI 연구 결과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요법의 정맥혈전색전증 위험도에 대한 결과는 무엇입니까? / 130
8-26 : WHI 연구 결과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의 정맥혈전색전증 위험도에 대한 결과는 무엇입니까? / 132
8-27 : WHI 연구 결과 에스트로겐 단독요법과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요법 간에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차이가
존재하였습니까? / 133
8-28 : WHI 연구에서 투약 중단 이후에도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도는 계속 증가합니까? / 133
8-29 : WHI 연구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도는 투약 초기에 주로 증가합니까? / 133
8-30 : 호르몬 투여 용량 및 경로, 또는 프로게스토겐 종류의 차이에 따라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차이가 있습니까? / 134
8-31 : 호르몬요법을 받는 여성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135
8-32 : WHI 연구 결과 호르몬요법은 뇌졸중의 위험도를 증가시킵니까? / 135
8-33 : WHI-ET와 WHI-EPT 각각의 연구 결과는 어떻습니까? / 136
8-34 : WHI 연구에서 투약 중단 이후에도 뇌졸중의 위험도는 계속 증가합니까? / 137
8-35 : 그 외의 호르몬요법과 뇌졸중 발생간 연관성에 대한 다른 연구 결과들은 어떻습니까? / 138
8-36 : 호르몬요법 용량이나 투여 경로에 따라 뇌졸중 발생의 차이가 있습니까? / 139

E. 골절 및 골다공증 — 140
8-37 : 여성호르몬요법은 골밀도를 상승 시킬 수 있습니까? / 140
8-38 : 여성호르몬요법이 골표지자에는 어떤 변화를 보여주나요? / 140
8-39 : 여성호르몬요법으로 골절을 얼마나 예방할 수 있나요? / 141

F. 인지 기능 및 치매 — 142
8-40 : 여성호르몬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는 무엇입니까? / 142
8-41 : WHI 연구 결과 호르몬요법은 치매를 감소시킵니까? / 143
8-42 : Women’s Health Initiative Memory Study (WHIMS)는 무엇입니까? / 143
8-43 : WHIMS의 결과는 무엇입니까? / 144
8-44 : WHIMS-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tudy의 결과는 무엇입니까? / 145
8-45 : 기존의 관찰 연구들과 WHIMS study 결과와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146
8-46 : WHIMS와 기존의 관찰 연구 간의 결과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146
8-47 : 호르몬요법 시작 시점에 따라서 인지 기능 및 치매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까? / 148
8-48 : 기존의 치매를 진단받은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은 질환의 회복이나 인지 기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까? / 150

G. 암 — 151
G-1. 유방암 — 151
8-49 : 폐경 후 호르몬요법과 유방암에 관한 WHI 연구 중 EPT군의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1
8-50 : 호르몬요법과 유방암에 관한 WHI 연구 중 ET군의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2
8-51 : 호르몬요법과 유방암과의 관련성에서 프로게스토겐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까? / 152
G-2. 자궁내막암 — 154
8-52 : EPT 요법과 자궁내막암에 관한 WHI 연구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4
G-3. 난소암 — 154
8-53 : 난소암에 관한 WHI 연구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4
8-54 : 난소암에 관한 관찰연구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5
8-55 : 난소암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시 난소암의 예후가 어떠합니까? / 156
G-4. 대장-직장암 — 156
8-56 : 호르몬요법과 대장-직장암에 관한 연구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6
G-5. 기타 암 — 157
8-57 : EPT 요법과 폐암에 관한 WHI 연구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7
8-58 : EPT 요법과 피부암에 관한 WHI 연구 결과는 어떠합니까? / 157
8-59 : WHI 연구 결과 전체적인 암 발병율과 사망률은 어떠합니까? / 158

H. 사망률 — 159
8-60 : 호르몬요법이 전반적으로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합니까? / 159
8-61 : 호르몬 사용으로 인한 사망률의 변화에 대한 관찰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요? / 160
8-62 : 호르몬 사용으로 인한 사망률의 변화에 대한 무작위 대조연구는 어떤 것이 있나요? / 161
1 :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HERS I/II) / 161
2 : WHI-EPT / 161
3 : WHI-ET / 162
8-63 : 60세 이전의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요? / 163
8-64 : 호르몬 사용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 변화는 어떤가요? / 165
8-65 : 호르몬 사용 시 가장 걱정되는 유방암에 의한 사망률 변화는 어떤가요? / 166
1 : WHI-EPT / 166
2 : WHI-ET / 166

제 9 장 호르몬 제제 및 호르몬요법의 유형67
A. 에스트로겐 — 168
A-1. 종류 — 168
9-01 : 현재 사용되는 에스트로겐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 168
9-02 : 에스트로겐의 역가 평가는 어떻게 합니까? / 168
A-2. 투여경로 — 170
9-03 : 에스트로겐의 투여 경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170
9-04 : 에스트로겐의 경구 투여와 비경구 투여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170
9-05 :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시 혈중 에스트라디올 수치는 어떻게 다릅니까? / 171
A-2. a. 경구투여 — 172
9-06 : 경구 투여의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 172
9-07 : 경구 에스트로겐을 내과적 질환이 있는 여성에서도 사용 할 수 있습니까? / 173
A-2. b. 경피투여 — 174
9-08 : 경피 투여 중 에스트라디올 패치의 작용기전 및 사용방법은 무엇입니까? / 174
9-09 : 에스트로겐 젤 제제의 작용 기전 및 사용방법은 무엇입니까? / 174
9-10 : 경피 투여의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 175
A-2. c. 경질투여 — 175
9-11 : 경질 투여 제제는 어떤 경우에 사용합니까? / 175
9-12 : 경질 투여하는 에스트로겐 제제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176
9-13 : 에스트로겐 질 크림은 윤활제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까? / 176
9-14 : 이미 경구 에스트로겐을 사용하고 있는데 경질 에스트로겐 제제를 중복 사용해도 문제가 없습니까? / 177
9-15 : 경질 에스트로겐 사용 시 자궁내막의 자극효과는 어떻습니까? / 177
9-16 : 경질 에스트로겐 제제의 사용량이 적절한지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 178
9-17 : 경질 에스트로겐 제제의 사용량은 어떻게 조절할 수 있습니까? / 178
9-18 : 경질투여의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 179
A-3. 투여용량 — 180
9-19 : 에스트로겐 용량과 쇠퇴성 출혈(withdrawal bleeding)의 유발은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 180
9-20 : 저용량 에스트로겐 제제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 것입니까? / 180
9-21 : 국내 시판되고 있는 저용량 에스트로겐 제제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 181
9-22 : 저용량 에스트로겐의 효과와 부작용은 표준 용량에 비해 어떻습니까? / 181
9-23 : 에스트로겐 제제가 효과가 있는 것을 보려면 혈중 농도를 확인해야 합니까? / 182
9-24 : 초 저용량 에스트로겐 제제란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사용됩니까? / 183
9-25 : 폐경 후 수년이 지난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을 시작할 때 폐경 초기에 시작하는 양과 같은 용량으로
시작하여야 합니까? / 183
A-4. 투여방법 — 183
9-26 : 폐경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을 처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183
9-27 :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은 어떤 경우 시행합니까? / 184

B. 프로게스토겐 (Progestogen) — 185
B-1. 종류 — 185
9-28 : 프로게스토겐과 프로게스테론은 다른 호르몬입니까? / 185
9-29 : 현재 사용되는 프로게스토겐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 185
9-30 : 현재 시판되고 있는 호르몬은 어떤 프로게스토겐을 이용한 제제입니까? / 188
9-31 : 프로게스토겐의 종류가 굉장히 많은데, 어떤 것이 가장 좋은 프로게스토겐입니까? / 188
9-32 : 여러 가지 프로게스토겐의 효과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 189
9-33 : 여러 가지 프로게스토겐의 안드로겐 효과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 191
9-34 : 호르몬요법 시 에스트로겐에 프로게스토겐을 추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192
9-35 : 프로게스토겐을 사용할 때 부작용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193
9-36 : 프로게스토겐마다 혈전 생성 위험도가 다릅니까? / 194
9-37 : 프로게스토겐을 사용할 때 유방 부작용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194
B-2. 투여 경로 — 195
9-38 : 프로게스토겐의 투여 경로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195
B-3. 투여 용량 — 196
9-39 : 에스트로겐 투여 시 필요한 프로게스토겐의 적절한 용량은 얼마이며, 어떤 기준에 의해 결정합니까? / 196
9-40 : 호르몬요법 시 프로게스토겐도 저용량요법이 있습니까? / 196
9-41 : 프로게스토겐의 투여 경로에 따른 투여 용량은 각각 어떻게 됩니까? / 197
9-42 : 프로게스토겐이 단독요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까? / 197

C.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혼합제제 — 198
9-43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혼합제제란 무엇입니까? / 198
9-44 : 혼합제제의 단점은 무엇입니까? / 198

D.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 — 199
9-45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을 각각 처방할 경우, 장점과 단점은 무엇입니까? / 199
9-46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 200
9-47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의 처방은 어떻게 합니까? / 200
9-48 : 지속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의 처방은 어떻게 합니까? / 201
9-49 : 에스트로겐 LNG-IUS 병합요법은 무엇인가요? / 202

E. 티볼론 (Tibolone) — 203
9-50 : 티볼론의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 203
9-51 : 안면홍조에 대한 티볼론의 효과는 어떻습니까? / 203
9-52 : 티볼론의 골에 대한 효과는 어떻습니까? / 204
9-53 : 티볼론의 안면홍조나 골 외에 대한 효과는 어떻습니까? / 205
9-54 : 티볼론 복용시의 위험성, 알아야 할 점은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 210

F. 저용량 복합 경구 피임제 — 211
9-55 : 저용량 복합 경구 피임제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211
9-56 : 폐경 이행기 여성들에게 저용량 복합 경구 피임제를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피임 이외의 효과는 무엇입니까? / 211
9-57 : 저용량 경구 피임제의 대사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213
9-58 : 경구 피임제 사용의 부작용 및 고려되는 위험성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214

G. 안드로겐 — 217
9-59 : 난소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217
9-60 : 안드로겐 제제는 어떤 효과가 있습니까? / 218
9-61 : 안드로겐 제제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221
9-62 : 안드로겐 제제의 부작용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222

H. 국내에서 판매되는 여성호르몬제 — 225
9-63 : 한국에서 처방 가능한 호르몬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225
9-64 : Estrogen 제제간 역가는 어떠합니까? / 226
9-65 : ET/PT/EPT 제제 이외의 호르몬요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 226
9-66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는 무엇이며, 종류에는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 226
9-67 : 티볼론은 무엇입니까? / 228
9-68 :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복합제(TSEC)는 무엇이며, 종류에는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 228

제 10 장 호르몬요법 전후 환자의 관리법
A. 병력 청취 — 232
10-01 : 의사는 첫 상담 시 어떻게 병력 청취를 해야 합니까? / 232
10-02 : 폐경증상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법은 없습니까? / 234

B. 이학적 검사 — 235
10-03 : 호르몬요법의 시작 전에 하여야 할 신체검사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235
10-04 : 골반 진찰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 235

C. 검사 — 236
10-05 : 호르몬요법의 시행에 앞서 임상적으로 시행해야 할 검사는 무엇입니까? / 236
10-06 : 어떤 경우에 부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며 또 어떤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까? / 236
10-07 : 호르몬요법 시행 전에 호르몬검사가 필요합니까? / 237
10-08 : 호르몬요법 시행 전에 모든 여성이 골반 초음파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 238
10-09 : 호르몬요법 시행 전에 모든 여성이 골밀도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 238
10-10 : 호르몬요법 시행 전에 모든 여성이 지질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까? / 239
10-11 : 호르몬요법 시행 전에 자궁내막 조직검사가 필요합니까? / 240

D. 상담 — 241
10-12 : 환자와 호르몬요법에 대해 상담할 때 명심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 241
10-13 : 호르몬요법 시 환자들의 가장 흔한 걱정은 무엇입니까? / 242
10-14 : 호르몬요법을 시작할 때 설명해 주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244
10-15 : 모든 환자가 호르몬요법을 받기 원합니까? / 244

E. 추적관리 — 246
10-16 : 처음 추적 방문은 언제 시작하며 문진할 사항과 교육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246
10-17 : 치료 도중 필요한 검사는 무엇이며, 얼마나 자주 해야 합니까? / 247
10-18 : 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 주기적인 자궁내막 조직검사가 필요합니까? / 248

제 11 장 호르몬요법의 기간
A. 투여 기간 결정 인자 — 252
11-01 : 호르몬 투여의 기간은 누가 결정해야 합니까? / 252
11-02 : 호르몬 투여의 기간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256
B. 투여 기간 — 258
11-03 : 폐경 증상이 있는 환자의 투여 기간은 어느 정도가 좋습니까? / 258
C. 투여 중단 방법 — 260
11-04 : 호르몬요법을 중단하고자 할 때 어떻게 하여야 합니까? / 260
11-05 : 성공적으로 호르몬요법을 중단하는 것이 늘 가능합니까? / 261

제 12 장 호르몬요법의 이점
A. 급성 증상의 호전 — 264
A-1. 혈관운동 증상의 호전 — 264
12-01 : 혈관운동 증상의 치료에 있어서 에스트로겐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 264
12-02 : 호르몬요법 시작 후 안면홍조에 대한 효과는 언제 나타납니까? / 264
12-03 : 심한 안면홍조가 발생했을 때 에스트로겐 용량을 증량해야 합니까? / 265
12-04 : 혈관운동 증상의 치료에서 프로게스토겐의 효과는 무엇일까요? / 265
12-05 : 혈관운동 증상의 치료를 위한 호르몬요법 시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 266
12-06 : 티볼론은 혈관운동 증상에 효과적입니까? / 266
12-07 : 조직선택적 에스트로겐복합제(TSEC)는 혈관운동 증상에 효과적입니까? / 267
A-2. 심리적 증상 및 불면증의 호전 — 267
12-08 : 폐경여성이 느끼는 심리 증상도 에스트로겐에 의해 반응합니까? / 267
12-09 : 폐경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수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칩니까? / 268
A-3. 삶의 질 개선 — 268
12-10 : 호르몬요법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268

B. 아급성 증상의 호전 — 269
12-11 : 폐경여성의 질 위축에 대한 호르몬요법의 효과는 무엇입니까? / 269
12-12 : 비뇨기계 질환에 호르몬요법이 효과가 있나요? / 270
12-13 : 에스트로겐요법이 피부에 주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 270
12-14 : 교원질 소실에 의한 증상들에 대한 호르몬요법의 효과는 무엇입니까? / 271

C. 만성 후유증의 예방 — 272
C-1.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 272
12-15 :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호르몬요법의 적절한 시작 시기는? / 272
12-16 :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호르몬의 용량은? / 272
12-17 : 호르몬요법 시 골밀도 증가 효과는? / 273
12-18 : 호르몬요법 시 골절 감소 효과는? / 273
12-19 : 호르몬요법 중단 시 골에 대한 영향은? / 274
C-2. 심혈관 질환의 예방 — 275
12-20 : 에스트로겐의 동맥 혈관에 대한 효과는? / 275
12-21 : 에스트로겐이 혈중 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은? / 275
12-22A : 호르몬요법과 관상동맥질환 위험은? / 276
12-22B : 호르몬요법과 관상동맥질환 위험은? / 278
C-2. 인지기능 개선: 젊은 폐경여성 — 279
12-23 : 폐경여성에게 에스트로겐 투여 시 인지 기능에 대한 영향은? / 279
12-24 : 호르몬요법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나요? / 279

D. 대장-직장암의 발생 위험 감소 — 281
12-25 : 호르몬요법의 대장-직장암의 빈도에 대한 영향은? / 281

제 13 장 호르몬요법의 부작용과 위험성
A. 에스트로겐에 의한 부작용 — 284
13-01 : 에스트로겐 투여 후 흔한 부작용은 무엇입니까? / 284
13-02 : 에스트로겐이 고혈압을 유발합니까? / 285
13-03 : 호르몬요법 중에 고혈압이 생긴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286
13-04 : 호르몬요법이 혈액 응고로 인한 위험성을 증가시킵니까? / 287
13-05 : 에스트로겐이 담낭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288
13-06 : WHI 연구에서 에스트로겐 단독요법 시 위험도가 의미있게 증가하는 질환은 무엇입니까? / 289

B. 프로게스토겐에 의한 부작용 — 290
B-1. 생리적 및 심리적 부작용 — 290
13-07 : 합성 프로게스토겐의 부작용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290
13-08 : 프로게스토겐의 부작용이 나타날 사람들을 예측할 수 있습니까? / 291
13-09 : 합성 프로게스토겐의 종류에 따라 부작용의 차이가 있습니까? / 292
13-10 : 체중 감소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프로게스토겐은 모든 환자에게 사용해도 안전한가요? / 293
B-2. 투여 용량과 부작용 — 294
13-11 : 합성 프로게스토겐의 부작용의 빈도와 심한 정도는 용량과 비례합니까? / 294
13-12 : 합성 프로게스토겐이 유방암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295
B-3. 부작용의 처치 — 295
13-13 : 합성 프로게스토겐의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 해결책은 무엇입니까? / 295
1 : 프로게스토겐 용량의 감소 / 296
2 : 다른 프로게스토겐으로 대치 / 296
3 : 프로게스토겐 투여 경로의 변화 / 297
4 : 모든 프로게스토겐에 대하여 과민성을 보이는 경우 다음 5가지 방법 중에
한 가지를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 297

C. 호르몬 대체요법의 이득과 손실의 비교 — 300
13-14 : 호르몬요법의 이득과 손실은 어떻습니까? / 300

D. 호르몬요법의 위험성 — 301
D-1. 심혈관 질환 — 301
D-1. a. 관상동맥질환 — 301
13-15 : 호르몬요법은 관상동맥 질환을 증가시킵니까? / 301
D-1. b. 혈전색전증과 뇌졸중 — 303
13-16 : 호르몬요법은 혈전색전증과 뇌졸중에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 302
D-2. 치매 — 304
13-17 : 호르몬요법이 치매와 연관성이 있습니까? / 304
D-3. 유방암과 부인암 — 305
D-3. a. 유방암 — 305
13-18 : 호르몬요법이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킵니까? / 305
13-19 : 프로게스토겐 제제가 유방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까? / 308
13-20 : 프로게스토겐 제제에 따라 유방암 발생 위험에 차이는 있습니까? / 309
13-21 : 호르몬요법 시 유방 촬영술 소견에 어떤 변화를 초래합니까? / 311
13-22 : 유방암 고위험 환자에서 호르몬요법 시 유방암의 빈도가 증가합니까? / 311
13-23 : 유방암의 가족력이 호르몬요법 시 위험요인으로 작용합니까? / 312
13-24 : BRCA 돌연변이를 가진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합니까? / 314
13-25 : 비만한 여성에서 호르몬요법 시 일반 폐경여성에 비해 유방암이 더 증가합니까? / 315
13-26 : 유방에 양성질환이 있으면 호르몬요법 시 유방암의 빈도가 증가합니까? / 315
13-27 : 호르몬요법 시 진단된 유방암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예후에 차이가 있습니까? / 316
13-28 : 유방암 환자에서 호르몬요법 시 유방암의 재발률을 증가시킵니까? / 317
D-3. b. 부인암 — 318
13-29 :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은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318
13-30 : 에스트로겐요법의 기간과 사용된 약제의 용량 및 종류가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습니까? / 318
13-31 : 에스트로겐요법과 관련된 자궁내막암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임상적 차이를 보입니까? / 319
13-32 : 프로게스토겐을 에스트로겐요법에 첨가할 경우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도는 어떻게 달라집니까? / 320
13-33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 중 주기적 병합요법과 지속적 병합요법 간에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도의 차이가 존재합니까? / 321
13-34 : 티볼론을 사용하였을 때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도는 어떻게 됩니까? / 322
13-35 : 자궁내막암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폐경호르몬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322
13-36 : 호르몬요법은 난소암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323
13-37 : 난소암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폐경호르몬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325
13-38 : 폐경호르몬요법은 자궁경부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326
13-39 : 자궁경부암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폐경호르몬요법은 가능합니까? / 327
13-40 : 폐경호르몬요법은 외음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328
13-41 : 호르몬요법이 악성 흑색종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까? / 329
13-42 : 호르몬요법 시에 질암 및 난관암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있습니까? / 330
D-4. 기타 암 — 330
13-43 : 폐경호르몬요법은 위암의 발생을 증가시킵니까? / 330
13-44 : 폐경호르몬요법은 폐암의 발생을 증가시킵니까? / 331
13-45 : 폐경호르몬요법은 간암의 발생을 증가시킵니까? / 331
13-46 : 폐경호르몬요법은 전체암의 사망률을 증가시킵니까? / 332

제 14 장 호르몬요법의 금기증
A. 심혈관 질환 — 334
A-1. 관상동맥병 — 335
14-01 : 관상동맥병이 있는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은 안전합니까? / 335
14-02 : 관상동맥병의 예방만을 위해 호르몬요법을 할 수 있습니까? / 335
14-03 : 호르몬요법을 시작하는 연령과 관상동맥병 사이에 연관성이 있습니까? / 336
A-2. 고혈압 — 337
14-04 : 고혈압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은 안전합니까? / 337
A-3. 이상지질혈증 — 337
14-05 : 이상지질혈증으로 약물치료받고 있는 사람에서 호르몬요법은 안전합니까? / 337
14-06 : 호르몬요법 중에 이상지질혈증이 생긴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338
A-4. 혈전색전증 — 339
14-07 : 뇌졸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은 안전합니까? / 339
14-08 : 혈전색전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도 호르몬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까? / 340
A-5. 정맥염과 정맥류 — 341
14-09 : 표재성 혈전정맥염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을 할 수 있습니까? / 341
14-10 : 정맥류가 있는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은 금기가 됩니까? / 341
A-6. 흡연 — 342
14-11 : 흡연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을 할 수 있습니까? / 342

B. 대사성과 내분비 질환 — 343
B-1. 당뇨병 — 343
14-12 : 호르몬요법은 당뇨의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까? / 343
14-13 : 당뇨 환자에서 호르몬요법이 가능합니까? / 343
B-2. 간질환 — 344
14-14 : 간질환은 호르몬요법의 금기가 됩니까? / 344
B-3. 갑상선질환 — 345
14-15 : 갑상선질환은 호르몬요법의 금기증입니까? / 345

C. 부인과 질환 — 347
C-1. 자궁근종 — 347
14-16 : 자궁근종 환자가 호르몬요법을 받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까? / 347
C-2. 자궁내막증 — 347
14-17 : 자궁내막증 환자가 호르몬요법을 받을 수 있습니까? 이 경우 재발 위험은 어떻습니까? / 347
14-18 : 자궁내막증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호르몬요법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입니까? / 348
C-3. 자궁내막증식증 — 348
14-19 : 자궁내막증식증은 호르몬요법의 금기증입니까? / 348
C-4.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 349
14-20 : 유방암 환자의 호르몬요법은 어떠한 경우에 가능합니까? 또한 호르몬요법을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시행합니까? / 349
14-21 : 난소암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호르몬요법의 금기증입니까? / 350
14-22 : 자궁내막암 환자의 호르몬요법은 어떠한 경우에 가능합니까?
또한 호르몬요법을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시행합니까? / 350

D. 기타 질환 — 352
D-1. 담낭염 — 352
14-23 : 호르몬요법을 받는 경우 담낭질환이 증가합니까? / 352
14-24 : 담낭염이 확인된 환자가 호르몬요법을 받을 수 있습니까? / 353
D-2. 편두통 — 353
14-25 : 폐경이 되면 편두통의 변화가 있습니까? / 353
14-26 : 편두통이 있으면 호르몬을 복용할 수 없는 걸까요? / 354
D-3. 신부전 — 355
14-27 : 만성신부전이 폐경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 355
14-28 :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 혹은 신장이식을 받은 여성이 호르몬요법을 받을 수 있습니까? / 356
D-4. 우울증 — 357
14-29 : 폐경이 되면 우울증이 증가하나요? / 357
14-30 : 폐경 후 우울증에 호르몬요법이 도움이 되나요? / 358
D-5. 안구건조증 — 359
14-31 : 폐경 후에 안구건조증이 더 심해지나요? 호르몬요법이 안구건조증에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악화될까요? / 359
D-6. 전신성홍반성낭창 — 360
14-32 : 전신성홍반성낭창 환자에서 여성호르몬을 처방할 수 있습니까? / 360

제 15 장 호르몬요법 중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A. 증상 호전의 실패 원인 — 364
15-01 : 호르몬요법을 하여도 증상의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 그 원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364
15-02 : 호르몬요법을 하여도 증상의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 검사할 것은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364
15-03 : 증상의 호전을 위하여 호르몬의 용량을 증가해 볼 필요가 있습니까? 있다면 용량의 증가는 얼마까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까? / 365
15-04 :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 투여 경로를 바꾸어 보는 것은 효과가 있습니까? / 366
15-05 : 호르몬요법과 병행 투여 시 주의해야 할 약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367
15-06 : 적절한 용량과 기간으로 바꾸어 투여했다고 생각되는데도 여전히 증상 완화에 실패한 경우는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7장, 12장 참조) / 368

B. 비정상적 자궁 출혈 — 369
15-07 : 호르몬요법 중 어떤 자궁 출혈이 비정상적입니까? / 369
15-08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파탄성 출혈이 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 369
15-09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다량의 지속적인 또는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쇠퇴성 출혈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 370
1 : 체질적 원인 / 371
2 : 호르몬과의 관련 / 371
1) 에스트로겐만의 자극(unopposed estrogen stimulation)과 연관된 경우 / 371
2) 프로게스토겐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 372
3) 에스트로겐 용량이 과다한 경우 / 372
3 : 기질적 원인 / 372
1) 자궁근종 / 372
2) 자궁내막 용종 (polyp) / 372
3) 자궁내막 증식증 및 자궁내막암 / 372
4) 기타 골반 질환 / 372
15-10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 시 비정상적인 쇠퇴성 출혈은 어떻게 처치해야 합니까? / 373
15-11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자궁내막의 병변이 없이 다량의 자궁 출혈이 있는 경우
자궁내막의 소작 혹은 절제가 유용합니까? / 375
15-12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쇠퇴성 출혈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 375
15-13 :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치료 기간 중에 자궁내막 증식증이 발생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합니까? / 376
15-14 : 지속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자궁의 출혈 양상은 어떠합니까? / 376
15-15 : 지속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자궁내막 조직검사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 378
15-16 : 지속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에서 파탄성 출혈이 있는 경우
어떻게 처치해야 합니까? / 379

C. 기타 — 381
C-1. 월경전 긴장증후군 — 381
15-17 : 폐경되기 이전부터 월경전 긴장증후군이 있었던 경우 폐경 후 호르몬요법이 월경전 긴장증후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까? / 381
15-18 : 호르몬요법의 용량이나 성분이 월경전 긴장증후군 유발 강도와 상관관계가 있습니까? / 381
15-19 : 호르몬요법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월경전 긴장증후군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382
C-2. 유방의 동통 및 종괴 — 383
15-20 : 호르몬요법 중 유방의 동통이 생긴 경우는 어떻게 하여야 합니까? / 383
15-21 : 호르몬요법 중 양성 유방 종양이 발견된 경우 호르몬요법을 중단해야 합니까? / 384
C-3. 에스트로겐과 관련된 수분정체 — 384
15-22 : 에스트로겐과 수분 정체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습니까? / 385
15-23 : 호르몬요법 중 수분 정체에 의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385
C-4. 두통 — 385
15-24 : 호르몬요법 중 발생한 두통에 대한 치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385
C-5. 황달 — 386
15-25 : 호르몬요법 중 발생한 황달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 386
C-6. 수술과 호르몬요법 — 386
15-26 : 호르몬요법 중 수술을 해야 할 경우, 수술 전후 호르몬요법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 386

제 16 장 폐경 증상의 기타치료
A. 혈관운동 증상 — 388
16-01 : 혈관운동 증상에 대한 치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388
16-02 : 생활 습관의 변화가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까? / 390
16-03 : 체중 감소가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까? / 391
16-04 : 운동이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까? / 392
16-05 : 심신요법(mind body techniques)이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까? / 392
16-06 : 열성홍조가 있는 폐경여성에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조절제(SERM)는효과적입니까? / 393
16-07 : 식물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혈관운동 증상에 효과적입니까? / 394
16-08 : 그 외 고려할 수 있는 천연물의약품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효과는 무엇입니까? / 395
16-09 : 폐경여성의 혈관운동 증상에 처방 가능한 효과적인 비호르몬 약물치료는 무엇입니까? / 396
16-10 : 유방암 환자의 혈관운동 증상에 처방 가능한 약물치료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400
16-11 : 폐경여성의 혈관운동 증상치료를 위한 다른 치료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401

B. 수면장애 — 402
1-08 : 불면증(insomnia)이란 무엇입니까? / 402
16-12 : 수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약물적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403
16-13 :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폐경여성에게 여성호르몬요법이 도움이 됩니까? / 406
16-14 : 혈관운동 증상 외에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여성에서 비호르몬요법은 무엇입니까? / 406
16-15 : 폐경여성의 코골이(snoring)치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407

C. 비뇨생식기 증상 — 408
16-16 : 질위축증을 호소하는 여성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처방요법은 무엇입니까? / 408
16-17 : 비처방요법에 반응하지 않았을 때 국소 또는 전신 호르몬요법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요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409

제 17 장 골다공증의 기타 치료
A. 칼슘과 비타민 D — 412
17-01 : 골 건강의 관점에서 칼슘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412
17-02 : 칼슘의 골절 예방효과는 어떠합니까? / 413
17-03 : 골 건강을 위해 섭취해야 할 칼슘의 양은 얼마입니까? / 414
17-04 : 칼슘이 풍부한 식품은 무엇입니까? / 416
17-05 : 칼슘 섭취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이는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 416
17-06 : 골 건강의 관점에서 비타민 D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418
17-07 : 비타민 D의 골절 예방 효과는 어떠합니까? / 420
17-08 : 비타민 D의 골 건강 외의 효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420
17-09 : 비타민 D의 권량섭취량은 어떻게 됩니까? / 421
17-10 : 비타민 D 부족이 확인된 경우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 422

B. 골다공증 약제 — 424
B-1.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 424
17-11 :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424
1 :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 / 424
2 : 리세드로네이트 (Risedronate) / 425
3 : 이반드로네이트 (Ibandronate) / 425
4 : 졸레드로네이트 (Zoledronate) / 425
5 : 파미드로네이트 (Pamidronate) / 425
6 : 에티드로네이트 (Etidronate) / 425
17-12 :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 426
17-13 :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골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426
1 : 알렌드로네이트 / 426
2 : 리세드로네이트 / 427
3 : 이반드로네이트 / 427
4 : 졸레드로네이트 / 428
17-14 :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어떻게 사용합니까? / 428
1 : 알렌드로네이트 / 428
2 : 리세드로네이트 / 429
3 : 이반드로네이트 / 429
4 : 졸레드로네이트 / 429
17-15 :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단기 부작용은 무엇이 있습니까? / 430
1. 소화기 부작용 / 430
2. 급성반응 (acute phase reaction) / 430
3. 신장독성 (renal toxicity) / 431
4.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 432
17-16 :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은 무엇이 있습니까? / 432
1 : 약제유발악골괴사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jaw; MRONJ) / 432
2 : 비전형골절 (atypical fracture) / 433
17-17 :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교체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 433
17-18 :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질(bone quality)에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 434
17-19 :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장기간 사용한 환자에서 휴약기는 어느 때 가져야 합니까? / 435
17-20 :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던 환자가 치과치료를 받으려 할 때 어떻게 해야 합니까? / 436
17-21 : 비전형골절은 무엇이며 어떻게 예방합니까? / 437
B-2. 부갑상선호르몬 — 439
17-22 : 부갑상선호르몬의 종류로는 무엇이 있으며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 439
17-23 : 부갑상선호르몬의 골과 골교체인자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440
17-24 : 부갑상선호르몬이 골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약제와 비교하여 어떠합니까? / 441
17-25 : 부갑상선호르몬은 어떻게 사용하며, 사용방법에 따른 효과 차이는 어떠합니까? / 441
17-26 : 부갑상선호르몬의 부작용으로는 무엇이 있으며, 사용 시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 442
B-3. 칼시토닌 (Calcitonin) — 443
17-27 : 칼시토닌이란 무엇이며, 작용기전은 무엇입니까? / 443
B-4.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 444
17-28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란 무엇입니까? / 444
17-29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444
17-30 : 랄록시펜(raloxifene)의 골밀도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445
17-31 : 랄록시펜의 골절 예방효과는 어떠합니까? / 446
17-32 : 랄록시펜이 생화학적 골교체표지자와 골질에는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 446
17-33 : 랄록시펜의 유방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447
17-34 : 랄록시펜의 심혈관계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448
17-35 : 랄록시펜의 자궁내막과 질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입니까? / 448
1 : 자궁 내막 / 448
2 : 질 증상 / 448
17-36 : 랄록시펜의 부작용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449
17-37 : 랄록시펜을 폐경 전 여성이나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사용하게 되면 어떠합니까? / 449
17-38 : 바제독시펜(bazedoxifene)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 450
17-39 : 바제독시펜은 골에 대해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까? / 451
B-5. 항체의약품 : 데노수맙 — 452
17-40 : 항체의약품(biologic agents)이란 무엇입니까? / 452
17-41 : 데노수맙(denosumab)은 무엇입니까? / 452
17-42 : 데노수맙의 작용기전은 무엇입니까? / 453
17-43 : 데노수맙의 골밀도 및 골절 예방에 대한 효과는 어떠합니까? / 454
17-44 : 데노수맙의 장점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454
17-45 : 데노수맙의 부작용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455
17-46 : 치과치료와 관련된 가이드는 무엇입니까? / 457
17-47 : 데노수맙을 중단할 때 고려할 점은 무엇입니까? / 457
B-6.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복합체 (TSEC) — 458
17-48 : TSEC란 무엇입니까? / 458
17-49 : TSEC가 골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합니까? / 459
17-50 : TSEC의 부작용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459
B-7. 기타 — 460
17-51 : 로모소주맙(romosozumab)이란 무엇이고 어떤 기전으로 작용합니까? / 460
17-52 : 로모소주맙은 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칩니까? / 460
17-53 : 로모소주맙은 어떻게 사용합니까? / 460
17-54 : 로모소주맙의 부작용은 무엇입니까? / 461
17-55 : 스트론튬 라니레이트(strontium ranelate; SR)는 무엇이며, 골에 어떻게 작용합니까? / 461
17-56 : 스트론튬 라니레이트 사용시 부작용과 주의할 점은 무엇입니까? / 462
17-57 : 비타민 K는 골에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 463
17-58 : 비타민 K는 어떻게 사용합니까? / 464
17-59 : 비타민 K의 부작용은 무엇입니까? / 464
17-60 : 불소는 골에 어떠한 효과를 줍니까? / 464

C. 병합요법 — 465
17-61 : 골다공증 약제를 복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까? / 465
17-62 :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 환자가 폐경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치료법은? / 465
17-63 : 여성호르몬과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67
17-64 : 여성호르몬과 칼시토닌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68
17-65 : 여성호르몬과 부갑상선호르몬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68
17-66 : 여성호르몬과 비타민 D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70
17-67 :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71
17-68 :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부갑상선호르몬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72
17-69 :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비타민 D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72
17-70 : 부갑상선호르몬과 칼시토닌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73
17-71 : 부갑상선호르몬과 랄록시펜의 병합요법은 어떠합니까? / 473

D. 약제의 선택 및 국내 보험인정 기준 — 474
17-72 : 약제의 선택은 어떻게 할 수 있습니까? / 474

제 18 장 폐경 후의 성생활
A. 여성의 성반응 및 성기능장애 — 478
18-01 : 성반응 주기란 무엇입니까? / 478
18-02 : 성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입니까? / 479
18-03 : 여성의 성기능장애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479
1 : 성욕/흥미장애 (Sexual desire/interest disorder) / 480
2 : 성흥분장애 (Sexual arousal disorder) / 480
1) 주관적 성흥분장애 : / 481
2) 생식기 성흥분장애 : / 481
3) 혼합형 성흥분장애 : / 481
4) 성흥분 지속장애 : / 481
3 : 오르가즘장애 (orgasmic disorder) / 481
4 : 성 동통장애 (sexual pain disorder) / 481
1) 성교통 (dyspareunia) : / 481
2) 질경련 (vaginismus) : / 482
3) 비 성교동통 (noncoital pain disorder) : / 482
18-04 : 성기능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이 있습니까? / 482
1 : 생물학적 원인 / 482
2 : 심리적 원인 / 482
18-05 :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483
1 : 고혈압 치료제 / 483
2 : 항우울제 / 483
3 : H2 수용체 억제제 / 483
4 : 신경이완제 (Neuroleptics) / 483
5 : 항파킨슨제제 / 484
6 : 신경안정제(Tranquilizer) 및 정신작용약물 / 484
7 : 타목시펜 / 484
8 : 호르몬제 / 484
9 : 케토코나졸 (Ketoconazole) / 484
18-06 : 성기능이 현저히 감퇴된 여성의 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언은 무엇입니까? / 485
18-07 : 질경련이란 무엇입니까? / 485
18-08 : 외음부 통증(vulvodynia)이란 무엇입니까? / 486
18-09 : 외음부 통증 환자의 신체검사방법은 무엇입니까? / 486
18-10 : 외음부 전정염 증후군(vulvar vestibulitis syndrome; VVS)의 진단과 치료방법은 무엇입니까? / 487
18-11 : 외음부 전정제거술(vulvar vestibulectomy)이란 무엇입니까? / 488
18-12 : 오르가즘 장애의 치료는 무엇입니까? / 488
18-13 : 분비 장애가 있을 때 질 윤활제(vaginal lubricant)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까? / 489

B. 폐경여성의 성기능장애 — 490
18-14 : 폐경여성의 성기능은 폐경 전에 비하여 어떤 변화가 있습니까? / 490
18-15 : 중년 이후에 성적 욕구가 감소하는 것은 폐경 때문입니까, 아니면 노화에 의한 것입니까? / 491
18-16 : 폐경 후 성행위의 빈도는 폐경 전에 비하여 차이가 있습니까? / 492
18-17 : 폐경여성의 오르가즘은 젊었을 때와 어떻게 달라집니까? / 492
18-18 : 호르몬 결핍 이외에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493
1 : 자궁절제술이나 광범위 자궁절제술 (radical hysterectomy) / 493
2 : 방사선치료 후 / 493
3 : 우울증 등 정신질환 / 494
4 : 관절염과 만성 동통 / 494
5 : 심장질환 / 494
6 : 당뇨병 / 494
7 : 고혈압 / 494
8 : 요실금 및 골반장기탈출증 / 494
18-19 : 폐경 후에 자위행위를 해도 무방합니까? / 495
18-20 : 폐경여성의 성기능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 496
18-21 : 폐경여성의 성기능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 497
18-22 : 폐경 후 여성에게 안드로겐을 투여하면 성욕구가 증가합니까? / 498
18-23 : 폐경여성에게 안드로겐을 투여하는 북미 폐경학회의 지침은 무엇입니까? / 499
18-24 : 안드로겐의 이상적인 투여방법 및 기간은 무엇입니까? / 499
18-25 : 안드로겐 투여의 부작용과 금기증은 무엇입니까? / 500
18-26 : 폐경 후 성욕장애가 있는 여성에서 안드로겐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 500

C. 성클리닉 운영 — 502
18-27 : 상담실 및 검사실 구축과 운영은 어떻게 합니까? / 502
18-28 : 성 클리닉에서 문진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504

제 19 장 폐경과 운동
A. 운동의 필요성 및 주의사항 — 506
19-01 : 폐경여성에서 나타나는 열성홍조를 운동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까? / 506
19-02 : 운동이 심혈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 506
19-03 : 운동 시 발생하는 산소 유리기(oxygen free radicals)는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 507
19-04 : 폐경여성에게 운동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 509
19-05 : 폐경여성을 위한 운동 시 고려할 점과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 511

B. 폐경기에 추천되는 운동의 종류와 방법 — 513
19-06 : 어떠한 운동이 폐경여성에게 적당합니까? / 513
19-07 : 운동 강도는 어느 정도로 하여야 합니까? / 515
1 : 유산소 운동의 강도 / 515
2 : 근육 운동의 강도 / 517
19-08 : 운동시간은 어느 정도가 좋습니까? / 518
19-09 : 운동의 빈도는 어느 정도가 되어야 효과적입니까? / 518
19-10 : 건강한 성인 및 노년을 위한 운동 지침의 주요 내용은 무엇입니까? / 519

C. 골다공증과 운동 — 521
19-11 : 운동은 어떤 기전에 의하여 골에 영향을 줍니까? / 521
19-12 : 운동이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습니까? 효과가 있다면 골다공증 예방에 적절한 운동은 무엇입니까? / 522
19-13 : 골다공증 여성에서의 운동치료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 524
19-14 : 골다공증 여성에서의 운동치료의 원칙은 무엇입니까? / 524
19-15 : 운동이 낙상과 골절방지에 효과가 있습니까? / 525
19-16 : 골다공증 환자가 피해야 할 운동이 있습니까? / 526

제 20 장 폐경여성의 피부관리
A. 노화 및 폐경에 따른 피부변화 — 530
20-01 : 연령이 증가하면서 피부는 어떠한 변화를 보입니까? / 530
20-02 : 폐경 후 에스트로겐의 결핍은 피부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킵니까? / 531

B. 호르몬요법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 533
20-03 : 에스트로겐과 상처회복/반흔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 533
20-04 : 폐경 후 호르몬요법은 피부에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 534
20-05 : 폐경 후 호르몬요법을 할 때 그 투여 방법과 경로에 따라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까? / 536
20-06 : 폐경여성에서 피부 증상 완화를 위하여 국소요법으로 에스트라디올과 에스트리올을 사용한 경우
그 효과 및 부작용에 차이가 있습니까? / 536
20-07 : 폐경여성에서 호르몬요법을 한 경우 피부에 나타나는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537
20-08 : 폐경여성에서 호르몬요법 기간에 따라 피부 효과가 다르게 나타납니까? / 538
20-09 : 식물에스트로겐과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는 폐경여성의 피부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 538
20-10 : 경피 프로게스토겐은 폐경여성의 피부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 539

C. 피부관리 시 주의사항 — 540
20-11 :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 540

제 21 장 폐경 후 비만 관리
A. 비만의 정의 및 진단 — 542
21-01 : 비만(obesity)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 542
21-02 : 비만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이 가장 좋습니까? / 544
1 :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 544
2 : 허리둘레 (waist circumference; WC) / 544
21-03 : 한국인의 비만 진단기준은 무엇입니까? / 545
1 : BMI로 보는 비만 기준 / 545
2 : 허리둘레로 본 복부 비만의 기준 / 545

B. 비만의 합병증 — 547
21-04 : 폐경 후 비만여성에게 올 수 있는 합병증으로 어떠한 질환을 조심해야 합니까? / 547
21-05 : 비만은 암 발생과도 관련이 있습니까? / 548
21-06 : 비만의 합병증 중 대사증후군이란 어떤 병입니까? / 548
21-07 : 비만과 사망률 / 550

C. 폐경과 비만 — 551
21-08 : 폐경이 체중 증가와 직접 관계가 있습니까? / 551
21-09 : 폐경 후 신체의 지방 분포 변화는 어떻게 달라집니까? / 551
21-10 : 폐경 후 호르몬요법이 비만에 도움이 됩니까? / 552

D. 비만치료: 적응증과 치료법 — 554
21-11 : 비만치료는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 / 554
21-12 : 비만수술치료의 적응증은 무엇입니까? / 554
21-13 : 비만치료는 약물치료 전에 어떠한 치료를 먼저 해야 합니까? / 555
21-14 : 비만의 운동치료는 어떻게 관리합니까? / 556
21-15 : 운동 중 사망사고가 간혹 있는데, 비만치료로 운동치료를 추천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556
21-16 : 비만치료에서 식사치료는 실제로 어떻게 지도합니까? / 557
21-17 : 저열량 식사 중에는 비타민을 따로 공급해야 합니까? / 558
21-18 : 실제로 널리 쓰이는 비만치료 약물에는 어떠한 약제가 있습니까? / 559
21-19 : 항우울제를 체중 감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 564
21-20 : 노르아드레날린계(noradrenergic) 약물을 체중 감량제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 564
21-21 :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체중 감량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 564
21-22 : 아미노필린(aminophylline)을 체중 감량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 565
21-23 : 이뇨제나 설사제를 체중 감량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 565
21-24 : 비만치료에 사용되는 여러 약물을 병합투여하면 효과가 증강됩니까? / 565
21-25 : 최근 들어 성장호르몬이 비만치료에 쓰이는데 폐경 비만여성에게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566
21-26 : 체중 감량의 치료효과는 어떻게 평가합니까? / 566
21-27 : 비만치료 후 요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566

제 22 장 폐경여성의 비뇨부인과적 관리
A. 생식기계 관리: 골반장기 탈출증 — 570
22-01 : 폐경 후 나타나는 생식기계 질환의 원인과 위험 인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570
22-02 : 골반장기 탈출증(자궁, 방광, 직장 탈출증)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 571
22-03 : 골반장기 탈출증의 원인과 위험 인자는 무엇입니까? / 573
22-04 : 골반장기 탈출증의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573
22-05 : 골반장기 탈출증의 합병증은 무엇이 있습니까? / 574
22-06 : 골반장기 탈출증의 정도를 계량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574
22-07 : 골반장기 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 576
1 : 골반저 근육 강화운동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 576
2 : 페사리 (Pessary) / 576
22-08 : 골반장기 탈출증(자궁, 방광, 직장 탈출증)의 수술적 치료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 578

B. 비뇨기계 관리 — 581
22-09 : 폐경 후 일어날 수 있는 비뇨기계 질환은 무엇이 있으며, 그 병리기전은 무엇입니까? / 581
B-1. 요실금의 진단 — 582
22-10 : 요실금이란 무엇입니까? / 582
22-11 : 폐경 후 요실금이 증가합니까? / 583
22-12 : 요실금의 원인 혹은 위험 인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 583
22-13 : 요실금이 있을 때 병력 청취시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 583
22-14 : 요실금의 검사법은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 584
22-15 : 요실금 환자의 신경학적 검진에서 천골반사검사는 어떻게 시행하며 그 의미는 무엇입니까? / 585
22-16 : Q-tip test는 어떻게 시행합니까? / 586
22-17 : 방광일지는 무엇입니까? / 587
22-18 : 요실금을 검사하는 패드검사의 방법 및 해석은 어떻게 합니까? / 588
22-19 :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study)는 어떠한 경우에 시행합니까? / 590
22-20 : 요역동학검사를 어떻게 시행합니까? / 591
22-21 : 우리나라에서 요역동학검사의 보험 인정 기준은 어떻게 됩니까? / 593
22-22 : 요역동학검사에서 방광의 과활동성을 진단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 593
22-23 : 요역동학검사에서 발살바 요누출압(VLPP)을 측정하는 방법과 해석은 어떻게 합니까? / 594
B-2. 요실금의 치료 — 595
22-24 : 요실금의 내과적 치료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595
22-25 : 요실금에서 수술의 적응증은 어떻게 됩니까? / 597
22-26 : 복압성 요실금의 수술방법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597
22-27 : 복압성 요실금의 수술에서 보험 기준은 어떻게 됩니까? / 598
22-28 : 호르몬요법이 요실금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 599
B-3. 기타 — 600
22-29 : 폐경 후 방광염이 호발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600
22-30 : 에스트로겐이 방광염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까? / 600
22-31 :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은 무엇이며,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 601

제 23 장 폐경 후 유방관리
A. 폐경과 유방암 — 604
23-01 : 폐경 후 유방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습니까? / 604
23-02 : 폐경 후 여성에서 치밀 유방의 의미 / 604
23-03 : 폐경 후 비만과 유방암 발생과의 관계는 어떠합니까? / 605
23-04 : 폐경호르몬요법은 유방암 조기 검진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 606
23-05 : 폐경호르몬요법과 유방암 발생의 연관성은 어떻게 됩니까? / 606

B. 유방암의 역학 — 607
23-06 : 우리나라 유방암 연령별 분포 / 607
23-07 : 우리나라에서 유방암 발병빈도 / 607
23-08 :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유방암의 역학적 특성은 무엇입니까? / 608
23-09 : 음주 및 흡연과 유방암 발생과의 관련성은 어떻게 됩니까? / 609

C. 유방암의 진단 — 610
23-10 : 증상 없는 건강한 여성에서 유방암 검진법은 무엇인가요? / 610
23-11 : 유방초음파만으로 검진하면 안되나요? / 611
23-12 : 검진유방촬영에서 석회화 소견이 보입니다. 어떻게 처치해야 하나요? / 614
23-13 : 무증상 여성에 대한 검진유방초음파에서 발견한 종괴는 어떻게 처치해야 하나요? / 617
23-14 : 유방영상보고데이터체계(BI-RADS)의 카테고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 621
23-15 : 만져지는 멍울이 있어요. 어떻게 검사해야 하나요? / 623
23-16 : 유두 분비물이 있어요. 어떻게 처치해야 하나요? / 625
23-17 : 경피적 유방조직검사의 종류와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628
23-18 : 토모신테시스(3차원 유방촬영기)는 무엇이고, 어떤 경우에 필요한가요? / 630
23-19 : 유방 자기공명영상(MRI)은 어떤 경우에 필요한가요? / 632

D. 유방통 및 유방암의 치료 — 634
23-20 : 폐경 후 유방통에는 어떠한 치료가 필요합니까? / 634
23-21 : 폐경 후 발견된 유방암의 치료 원칙은 무엇입니까? / 635
23-22 : 유방암치료 후 타목시펜 혹은 방향화효소 억제제치료 시 반드시 검사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635

E. 유방암의 예후 — 637
23-23 : 양성 유방 병소에서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침윤성 유방암의 상대적 위험도는 어떻게 됩니까? / 637
23-24 : 우리나라 여성에서 유방암의 자연경과, 예후는 어떻습니까? / 638
1 : 치료하지 않은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 / 638
2 : 치료한 유방암 환자의 장기적 예후 / 638
23-25 : 유방암 여성에서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640

F. 유방 보호치료 — 641
23-26 : 유방암 예방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 641
23-27 : 폐경 후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한 식이요법이나 대체요법이 있습니까? / 642
23-28 : 폐경 후 유방암 검진은 얼마나 자주 어떻게 해야 하나요? / 643

제 24 장 폐경여성의 기타 질환
A. 폐경과 당뇨병 — 646
24-01 : 폐경과 당뇨병은 관련성이 있나요? / 646
24-02 : 폐경 후 호르몬요법이 제 2형 당뇨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 647
24-03 : 제 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폐경여성은 호르몬요법이 가능한가요? / 648
24-04 : 당뇨병 진단의 필요성과 선별검사 방법은 무엇입니까? / 649
24-05 : 당뇨병 진단기준은 무엇입니까? / 650
24-06 : 폐경 이후 발병한 당뇨병의 기본적 치료방침은 무엇입니까? / 651
1 : 당뇨병치료의 원칙 / 651
2 : 혈당 조절의 기준 / 651
3 : 폐경여성의 당뇨 관리 / 652
24-07 : 당뇨병 환자의 경구약제 치료의 원칙 및 약제 종류는 무엇이 있습니까? / 653
24-08 : 당뇨병 환자의 주사제 치료의 원칙과 약제 종류는 무엇이 있습니까? / 655
24-09 : 제 2형 당뇨병은 예방이 가능한가요? / 655

B. 폐경과 고혈압 — 656
24-10 : 폐경과 고혈압은 관련성이 있나요? / 656
24-11 : 고혈압 진단의 필요성과 진단 기준은 무엇입니까? / 656
24-12 : 폐경여성의 심혈관 건강을 위한 진료지침은 무엇입니까? / 657
24-13 : 고혈압 관리를 위하여 생활 습관을 어떻게 개선해야 합니까? / 659
24-14 : 어떤 환자에서 약물요법을 시작하나요? / 660
24-15 : 고혈압의 초기 치료로 어떤 약제를 선택하나요? / 660
24-16 : 고혈압 여성에서 폐경호르몬요법이 가능한가요? / 661

C. 폐경과 고지혈증 — 663
24-17 : 고지혈증의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 663
24-18 : 고지혈증의 치료 목표는 무엇입니까? / 665
24-19 : 고지혈증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은 무엇입니까? / 666
24-20 : 스타틴(statin) 제제는 어떤 것입니까? / 666
24-21 :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스타틴치료가 도움이 되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 667
24-22 : 고중성지방혈증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 668

D. 폐경과 갑상선질환 — 669
24-23 : 여성에게 갑상선질환이 흔한데, 폐경과 연관성이 있나요? / 669
24-24 :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증상이 갱년기 장애와 비슷해 오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갱년기 장애를 구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 670
24-25 :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 670
24-26 :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어떤 증상이 있습니까? / 671
24-27 :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 671
24-28 : 갑상선 결절이 있는 경우 진단 및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 672

E. 폐경여성에서 나타나는 연부조직의 변화와 그 예방책 — 673
24-29 : 폐경여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근육의 변화와 그 예방책은 무엇입니까? / 673
24-30 : 폐경여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대 및 근육의 변화는 무엇이며, 그 예방책은 무엇입니까? / 674

F. 폐경여성에서의 골관절염(osteoarthritis) — 675
F-1. 원인, 임상 증상 및 진단 — 675
24-31 : 폐경여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관절 연골의 변화는 무엇입니까? / 675
24-32 : 골관절염의 발생 요인들은 무엇입니까? / 675
24-33 : 골관절염 발생에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까? / 677
24-34 : 출산력이나 월경력이 골관절염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까? / 677
24-35 : 에스트로겐 혈중 농도가 골관절염의 발생과 관련성이 있습니까? / 678
24-36 : 골밀도와 골관절염 발생 사이에 연관성이 있습니까? / 679
24-37 : 골관절염은 관절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킵니까? / 680
24-38 : 골관절염이 흔히 발생하는 부위와 중요한 증상들은 무엇입니까? / 681
24-39 : 각 관절에 따른 골관절염의 임상적 특징은 어떻게 다릅니까? / 682
24-40 : 골관절염은 어떻게 진단합니까? / 683
F-2. 치료 — 684
24-41 : 골관절염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 684
24-42 : 여성호르몬요법은 골관절염에 효과가 있습니까? / 685
G. 폐경여성에서의 류마티스 관절염 — 691
24-43 : 폐경은 여성의 류마티스 관절염과 연관이 있습니까? / 691
24-44 : 여성호르몬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도움이 되나요? / 691
24-45 : 폐경여성의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나요? / 692

H. 폐경여성에서의 허리통증의 원인 및 관리 — 693
24-46 : 폐경여성에서 허리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흔한 원인들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 693
24-47 : 허리통증 환자들에서 진단을 위해서는 어떤 검사들을 해야 합니까? / 693
24-48 : 허리통증의 일반적 치료방법은 무엇입니까? / 694
24-49 : 폐경기의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이 허리 통증의 유발 원인이 될 수 있습니까? / 695
24-50 : 폐경으로 인해 척추 추간판의 변화가 유발됩니까? / 695
24-51 : 폐경이 추간판 탈출증 발생 빈도와 관련성이 있습니까? / 696
24-52 : 폐경은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과 연관이 있습니까? / 697

I. 폐경여성에서의 담낭 질환 — 698
24-53 : 여성에서 담석증 발생이 남성보다 더 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 698
24-54 : 폐경기 호르몬요법은 담낭암과 연관이 있습니까? / 699

제 25 장 폐경주변기 여성의 피임
A. 피임의 중요성 — 702
25-01 : 폐경주변기 여성도 피임을 해야 합니까? / 702

B. 피임의 기간 — 703
25-02 : 피임은 언제까지 해야 합니까? / 703

C. 피임방법 — 705
25-03 : 이 시기의 가장 좋은 피임 방법은 무엇입니까? / 705
25-04 :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복합 경구 피임제를 복용해도 괜찮습니까? / 706
25-05 :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경구 피임제 사용의 금기증은 무엇입니까? / 708
25-06 : 경구 피임제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 708
25-07 : 폐경 이행기부터 경구 피임제 대신에 폐경 후 호르몬요법을 사용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 710
25-08 : 경구 피임제를 복용하고 있는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언제 폐경 후 호르몬요법으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까? / 711
25-09 :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프로게스토겐 단일 경구 피임제(미니필) 사용은 어떻습니까? / 712
25-10 : 생리가 불규칙한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의 응급피임법의 효과는 어떻습니까? / 713
C-2. 비경구 호르몬 피임방법 — 714
25-11 :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프로게스토겐 피임주사제나 피하이식 피임제의 사용은 어떻습니까? / 714
25-12 : 나이든 여성의 피임법으로 구리 자궁내장치의 사용이 가능합니까? / 715
25-13 : 호르몬을 분비하는 자궁내장치는 무엇입니까? / 716
25-14 : 레보노르게스트렐분비-자궁내시스템의 피임효과 및 이점은 무엇입니까? / 717
25-15 : 레보노르게스트렐분비-자궁내시스템을 피임목적 이외에 치료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는 무엇입니까? / 718
1 : 월경과다증의 비수술적 치료 / 718
2 : 호르몬요법에서 자궁내막 보호를 위한 보조제 / 718
C-3. 비호르몬적 피임방법 — 719
25-16 : 중년부부에서 난관결찰술이나 정관수술 등의 영구불임 수술은 어떻습니까? / 719
25-17 :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차단피임법의 사용은 어떻습니까? / 719
25-18 : 자연피임법의 사용은 어떻습니까? / 720

제 26 장 폐경여성을 위한 보완대안 치료와 식물화학물
A. 보완대안 치료(CAM) — 722
A-1. 정의 및 빈도 — 722
26-01 : 보완대체요법(CAM)이란 무엇입니까? / 722
26-02 : 세계적으로 CAM의 사용빈도는 얼마나 됩니까? / 723
26-03 : 폐경여성에서 많이 쓰이는 CAM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습니까? / 724
A-2. 종류 및 폐경 증상의 치료효과 — 724
26-04 : 식이영양보충 방법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폐경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까? / 724
26-05 : 침술과 같은 물리 치료방법이 폐경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까? / 725
26-06 : 자연요법(naturopathic therapy)이 폐경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까? / 725
26-07 : 지압요법(chiropractic) 또는 마사지가 폐경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까? / 726
26-08 : 최면(hypnosis) 또는 명상(meditation)이 폐경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까? / 726
26-09 : 기타 폐경여성에서 쓸 수 있는 CAM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727
1 : 자기(Magnet)치료 / 727
2 : 반사요법 (Reflexology) / 727
3 : 아유르베다 (Ayurveda) / 728
4 : 생활습관 교정과 운동 등 / 728
26-10 : CAM은 조기난소부전 여성에게도 효과가 있습니까? / 729
26-11 : CAM을 폐경여성에게 추천할 때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입니까? / 730

B. 식물화학물 (phytochemicals) — 731
26-12 : 식물화학물이란 무엇입니까? / 732
26-13 : 식물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란 무엇입니까? / 732
26-14 : 식물에스트로겐의 구조와 작용기전은 무엇입니까? / 734
1 : 구조와 대사 / 734
2 : 작용기전 / 735
26-15 : 식물에스트로겐의 음식 공급원은 무엇입니까? / 735
26-16 : 식물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신체에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 736
1 : 안면홍조 / 736
2 : 비뇨생식기계 / 737
3 : 뇌기능 / 738
4 : 골 / 738
5 : 심혈관계 / 739
26-17 : 식물에스트로겐 중 이소플라본은 신체에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 740
26-18 : 식물에스트로겐을 복용하면 암의 위험이 있습니까? / 740
26-19 : 식물에스트로겐을 복용하면 어떤 부작용이 있습니까? / 742
26-20 : 그 외 폐경여성들에게 사용되는 식물에스트로겐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743
1 : 승마 (black cohosh; cimicifugae racemosa) / 743
2 : 당귀 (dong quai) / 743
3 : 인삼 (ginseng; panax ginseng) / 744
4 : 붉은 클로버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 744
5 : 톱야자 (saw palmetto; serenoa repens) / 744
6 : 감초 (licorice; glycyrrhiza glabra) / 745
7 : 달맞이꽃 종자유 (evening primrose oil: EPO) / 745
8 : 아마씨 (flax seed) / 745
9 : 기타 생약 제제들 / 745

C. 비타민 E (Tocopherol / Tocotrienol) — 746
26-21 : 권장량 / 746
26-22 : 비타민 E 결핍 / 747
26-23 : 비타민 E 보충 / 747
1 : 혈관운동 증상(안면홍조) 완화 / 747
2 :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향상 / 748
3 : 인지기능(Cognition) 향상 / 748
4 :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예방 / 749
5 : 암 발생 예방 효과 / 749
6 : Excessive Vitamin E / 750

D. 기타 — 751
26-24 : 심신치료 (Mind-Body Intervention) / 751
1 : 최면요법 (Hypnosis) / 751
2 :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751
3 : 생체자기제어 및 긴장이완 훈련 (Biofeedback and Relaxation Training) / 751
4 :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 752
5 : 요가 (Yoga) / 752
6 : 방향요법 (Aromatherapy/Essence oil therapy) / 752
26-25 : Whole system alternative medicine approaches / 753
1 : 반사요법 (Reflexology) / 753
2 : 동종요법 (Homeopathy) / 753
3 : 침술 (Acupuncture) / 754
4 : 전통의학과 동아시아의학 (Traditional Chinese and East Asian Medicine) / 754
26-26 : 한약제 (Herbal products) / 755
1 : 당귀 (Dong Quai; Angelica sinensis) / 755
2 : 마 (Wild Yam; Diascora) / 755
3 : 마카 (Maca ; Lepidium meyenii) / 755
4 : 꽃가루 추출물 (Pollen extract) / 755
5 : 달맞이꽃 종자유 (Evening primrose oil; Oenothera biennis) / 756
6 : 인삼 (Ginseng; panax ginseng) / 756
7 : 붉은 클로버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 756
8 : 톱야자 (Saw palmetto; serenoa repens) / 757
9 : 감초 (Licorice; glycyrrhiza glabra) / 757
10 : 아마씨 (Flax seed) / 757
11 : 기타 생약 제제들 / 757

제 27 장 폐경 클리닉의 운영
27-01 : 폐경 클리닉이란 무엇입니까? / 760
27-02 : 폐경 의학이란 무엇입니까? / 760
27-03 : 폐경 클리닉의 진료 범위 및 목표는 무엇입니까? / 760
1 : 진료 범위 / 760
2 : 폐경 클리닉의 목표 / 761
27-04 : 폐경 클리닉 개설에 필요한 단계는 무엇입니까? / 761
27-05 : 폐경 클리닉의 운영을 위해 어떤 사람들이 필요합니까? / 762
27-06 : 폐경 클리닉에 필요한 장비는 무엇입니까? / 762
27-07 : 폐경 클리닉에서 시행해야 할 검진 항목은 무엇입니까? / 763
27-08 : 폐경 클리닉의 프로토콜은 어떻게 작성되어야 합니까? / 764
27-09 : 폐경여성들은 어떻게 폐경 클리닉을 방문하게 됩니까? / 764
27-10 : 폐경여성에게 폐경 클리닉 방문을 권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765
27-11 : 폐경 클리닉을 방문한 여성의 호르몬요법 관련 상담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 766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