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응급의료 종사자에게 심전도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장비다. 응급 환자의 진단 및 감시에 있어서 심전도는 많은 정보를 의료진
에게 제
공해 준다. 그래서 응급의료 종사자에게는 심전도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막상 심전도를 공부하려고 하면 마땅하게
읽을 만
한 책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유명한 전문 서적은 읽어도 이해하기가 어렵고 읽기 쉽게 저술된 책은 막상 실전에서
는 쓸모
가 없다. 본인도 전공의 시절 심전도 공부를 위해서 여러 책을 읽어 보았지만 제대로 지식의 영양분이 된 책은 손에 꼽기가 어
렵다. 응
급의료센터에 실습 나온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가장 공부하고 싶은 과목이 심전도라고 모두 주저 없이 이야기한다.
그러나
막상 심전도 책을 추천해 달라고 하면 마땅하게 떠오르는 책이 없어서 민망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좋은
책을
하나 발견하게 되었다. 내용이 쉬우면서도 요약 정리가 잘 되어 있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었다. 아무 생각 없이 펼
쳐본 책
이었지만 그동안 우리가 찾고 있던 바로 그 책이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었고 번역 출간하는 것이 많은 분들에게 가뭄 끝의
단비와
같은 반가운 일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이 책은 응급구조사, 간호사, 의사들에게 아주 유용한 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
라에 이런 좋은 책이 없다는 것이 못내 아쉽지만 그래도 우리와 비슷한 환경에 있는 일본에서 쓰여진 책이라 마음이 조금 놓인
다. 아무
쪼록 이 책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널리 보급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 책을 공부하신 분들이 모두 심전도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고 환자 진료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2019년 2월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과
이 영 주 교수
Ⅰ장 심전도 모니터 기본 사항
1. 심전도 모니터의 유도
2. 심전도의 기본 파형
3. 정상 동조율
4. 동성빈맥과 동성서맥
• 부정맥 이해를 위한 해부학
• 회귀
• 표준 12유도 심전도 검사
Ⅱ장 심정지의 4개 파형
1. 제세동이 필요한 2개 파형 심실세동/무맥성 심실빈맥
2. 제세동 응답이 없는 2개 파형 무맥성 전기활동/심정지
Ⅲ장 빈맥성 부정맥
1. 심실성 부정맥 심실빈맥
2. 심실성 부정맥 비지속성 다형성 심실빈맥
3. 심실상성 부정맥 심방세동
4. 심실상성 부정맥 심방조동
5. 심실상성 부정맥 심실상성 빈맥
6. 심실상성 부정맥 WPW 증후군
7. 심실상성 부정맥 가성 심실빈맥
• 카테터 박리
Ⅳ장 서맥성 부정맥
1. 동방차단
2. 1도 방실차단
3. 2도 방실차단 Type 1 (Wenckebach형)
4. 2도 방실차단 Type 2 (Mobitz Ⅱ형)
5. 고도 방실차단
6. 3도 방실차단(완전 방실차단)
7. 동부전 증후군
Ⅴ장 박동조율기
1. 인공 박동조율기
2. 조율 부전
3. 수요 박동조율기
4. DDD 박동조율기
5. 양심실 조율(심장 동기 치료: CRT)
6. ICD와 항빈맥 조율
7. CRT-D
• 박동조율기 지식
Ⅵ장 기타 부정맥
1. 심실상성 기외수축
2. 심실성 기외수축(산발성)
3. 심실성 기외수축(빈발성)
4. 심실성 기외수축(이단맥, 삼단맥)
5. 각차단
6. 복잡한 부정맥 (1)
7. 복잡한 부정맥 (2)
Ⅶ장 파형 변화 인식
1. 허 혈 심근허혈과 ST 부분의 변화
2. 허 혈 심근경색 경과와 ST, T의 변화
• 관동맥 검사와 치료
3. 전해질 이상 혈청 칼륨치와 T파의 변화
4. 심방부하 좌우 심방부하와 P파의 변화
Ⅷ장 응급 시 대처의 기본 수기
1. 자동 체외식 제세동기
2. 전기 충격
3. 경피 조율
4. 경정맥 조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