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조절:허리통증의재활

  • 저   자 : 조범준 역
  • 역   자 :
  • 출판사 : 메디안북
  • ISBN(13) : 9788993340556
  • 발행일 : 20160810  /   1판   /   368 페이지
  • 상품코드 : 25689
  • 적립금: 1,080
60,00054,000

저자서문

척추가 조절되는 방법, 척추의 통증에서의 변화 양상, 이러한 변화가 환자의 증상과 연관이 있는지 그리고 재활에 있어서 최선
의 선택은 무엇인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의견들이 있는 것처럼 이 영역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연구와 실제 임상에 있어서 상당한 혼란을 유발하게 되었고, 요통과 골반통증에 대한 운동치료 접근의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 문헌과 미디어를 통해 많은 논란이 있다.

빠르게 확장하는 지식과 가용한 자료들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은 이 영역의 전문가들이 서로 모여 회의를 소집할 수 있는 자극
이 되었다. 이 만남의 목적은 이 영역에 대해 알려진 것은 무엇인지 요약하고 이해와 해석에 있어서 의견이 일치하는 영역과 일
치하지 않는 영역을 알아내며, 임상적 적용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이 만남과 책의 맥락 속에서, ‘운동 조절’은 척추의 조절에
기여하는 신경생리학적이고 생역학적 기전의 조합의 넓은 의미로 정의된다.

국제적 전문가들의 정상 회담은 2009년 11월에 호주의 국립 보건 의료 연구 위원회의 교부금으로 재정 지원되는 척추 통증 손상
및 건강 임상 연구 센터에서 (Centre

of Clinical Research Excellence in Spinal Pain Injury and Health) 개최되었다. 회담 조직 팀은 다양한 학문, 다양한 연구 방
법, 그리고 다양한 관점을 대표하는 국제 적 전문가 명단을 만들었다 (생역학, 카이로프락틱, 임상시험, 엔지니어링, 인체공학,
운동학/운동 생리학, 의학, 신경과학, 통증 과학, 물리치료). 초청 받은 사람 중에, 83%가 참여하는데 동의하였고 최종적으로
70%가 참여 하였다. 초청 인사들은 전문 기초 과학자나 임상 전문가들이었다. 회담은 모든 참석자들의 발표로 이루어졌으며 이
영역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언급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이러한 부분은 조직 위원회와 각
각의 특정 영역의 추천 빈도에 따라 다섯 개의 주제로 나누는 역할을 맡은 사회자에 의해

서 재검토 되었다. 다섯 개의 주제는 발표 집단에 제시되었고 각각은 이러한 주제를 가장 잘 표현하는 결과를만들기 위한 목적으
로 논의되었다. 각각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주요 문제는 무엇인가

•의견의 일치와 차이가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대답이 필요한 주요한 질문은 무엇인가

각 발표 시간에서, 각각의 주제에 대한 토론자를 선정하였고, 위의 질문에 대한 그들의 대답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위의 목록에
대해 집단 토의를 하였다. 토론 집단의 의견 일치에 근거하여 이슈들을 제거, 조합 추가할 기회가 주어졌다. 이어서 이러한 이슈
들을 다루고 토론을 조정하기 위해 각 토론자의 발표가 뒤를 이었다. 발표 시간의 끝에는 주요 주제들이 재검토 되었고 필요한
상황에는 추가적인 토의를 시행하였다. 발표 시간 후에 각각의 이슈에 대한 주제별로 나열된 토론의 요약을 주석과 명확하게 하
기 위한 과정으로 참석자들에게 보냈다.

각각의 주제를 척추의 운동 조절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소중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각 이슈들의 중요성의 순서를 특정하게 우
선시 하기 위한 시도는 없었다. 최종 결과는 이 영역의 이해를 발전시키기 위해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주요 주제
와 이슈들의 목록이었다. 궁극적인 목적은 지루한 목록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해야 하는 중요한 영역을 알아내는 것이다.
중요한 측면은 요통과 골반 통증의 임상 치료에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이었다. 각각의 주제는 요약된 장으
로 꾸려졌으며 이 책의 Part 5에 포함되었다.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 이러한 여러 장들을 재검토, 변경 그리고 갱신하여, 최종적으로는 이 책에 포함된 변화된 판이 되었
다.

이 영역은 확장되는 흥미로운 단계에 있지만, 척추의 통증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운동 조절 이슈들의 고찰에 대한 연관성을 입증
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 책은 척추 조절의 주제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최진 지견과 양질의 연구들 그리고 잘 익은 임상
적 질문들을 제공한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자극되어 도전정신을 갖게 되기를 바라며, 궁극적으로 요통과 골반 통증에 대한
운동조절의 연관성에 대해서 깊이 있는 생각을 하도록 자극을 받아서 임상 연구나 실험실 연구의 기회를 갖게 되기를 바란다.



책을 옮기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허리 통증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허리 통증은 경우에 따라 가볍게 지나가지만, 한편으로는
빈번히 재발하며 이로 인하여 병원을 찾는다. 그런데 허리 통증에 대한 현재의 의학 또는 과학적 지식은 어디까지 도달해 있는
것일까? 나에게 처치된 치료는 과연 타당한 것일까?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몸 사용법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이러
한 의문이 생기기 마련이다. ‘디스크’ 또는 ‘요통’으로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어떠한 것이 맞는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의 많
은 정보가 쏟아진다. 이러한 정보의 범람은 특히 의료 분야에 있어서 환자 스스로의 의사 결정에 장해를 발생시켜 어떠한 것도
신뢰할 수 없게 하거나, 혹은 미신적인 특정 지식이나 경험을 신봉하게 하는 아이러니를 유발한다.

허리 통증에 대한 치료 관리와 건강 증진에 있어서 무엇이 최선인지를 연구하는 것은 의학 전세계적인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이
다. 특히 수술요법이나 주사요법을 제외하면 허리 통증에 대한 치료와 관리는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요법과 같은 ‘물리적’
방법만이 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리적’ 방법에 대한 효과와 효능에 대한 정보들 역시 범람하고 있다. ‘근거 중심 의
학’은 이렇게 많은 정보들을 모아서 요약하는 분야이지만, 그 근거로 하는 기법에도 한계가 있기에 허리 통증에 대한 치료의 참
모습을 알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어버리고 만다.

대한코어운동도수치료연구회는 허리 통증에 대한 정보의 범람 속에서 지침이 될 만한 내용을 찾고 연구하기 위해 모이는 작은 학
술집단이다. 함께 연구하고 나누었던 문헌 중에서, 특별히 현재 허리 통증에 대한 ‘운동요법’의 과학적 위치가 어디이고, 어떻
게 적용할 수 있을지 잘 정리되어 있는 것으로 이 책을 선정하여 번역하기로 하였다.

여러 치료요법의 연구자 또는 치료를 행하는 의사와 치료사들은 서로 자신의 치료가 옳다고 주장하며, 한편으로는 다른 치료요법
들에 대한 비난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논란에 있어서 이 책이 허리 통증에 대한 과학적, 논리적인 논의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제
시함으로써 교과

서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허리 통증에 수동적인 수술요법이나 주사요법 또는 마사지나 카이로프락틱 같은 수기치료들이 도움되지만, 궁극적으
로 환자는 ‘건강’해 지고 싶은 것이다. 그리고 ‘건강’을 위해서는 ‘근육과 신경계’가 능동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만드는
운동을 포함한 ‘재활’이 반드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번역자의 은사님이시며 번역의 원고와 책의 내용을 꼼꼼하게 살펴주신 고려대학교 재활의학교실 강윤규 교수님께 진
심 어린 감사를 올린다. 이 책이 출판에 이르기까지 학술적으로 출판의 모든 과정에 도움을 주신 고도일 편찬위원장님께도 감사
를 드린다. 또한 연구회의 학술 활동에 끊임없이 수고를 함께 해주신 코아스트론 이상호 대표님께도 사의를 표한다.

앞으로 많은 발전이 필요한 분야로서 ‘통증 재활’의 영역에 있어서 가장 최신의 연구 결과와 논의들의 집합체인 이 책을 통하
여 우리나라의 ‘통증 재활’이 세계의 모범과 표준이 되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2016년 7월

조 범 준

책을 펴내며

이 책의 공부와 번역에 함께한 편찬위원들은 대한코어운동도수치료연구회(이하 코어연구회)로 모임을 시작하였다. Diane Lee의
Pelvic girdle로 시작하여 코어 근육의 초음파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고, 싱가폴의 Dinesh를 초청하여 토론과 워크숍을 진행하며
코어 근육 초음파의 실제를 함께 연구하였다. 최근까지의 Cochrane review를(의학 연구에 대한 통계적 체계적 검증) 통하여 현재
까지 행해지는 치료에 대한 효과와 효능 연구를 함께 고찰하기도 하였다. 이 책의 저자인 호주의 Hodges 교수와 토론의 장을 열
어 직접 견해를 듣고 토론을 진행하였다. Hodges 교수의 연구팀원인 Felicity Kermode를 한국에 2회 초청해서 열린 세미나를 개
최하여 통증의 재활에서 코어 근육의 연구와 실제 임상에 대한 공부를 함께 하였다. 편찬위원들이 강의를 준비하여 국내 의사와
치료사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근골격계의 통증 치료에 쓰이는 근막이완요법 연구, 자세와 정렬 연구, 허리의 근력 강화
운동 연구를 함께 하였고, 국내의 숙련된 치료사들과 함께 도수치료와 수기치료요법들을 정리하였다. 소규모의 학술 모임으로서
지금까지 함께 연구하고 나누었던 여러 가지 책과 연구내용 중에서, 가장 추천하고 싶은 책을 번역서로 선정하였다. 편찬위원 모
두는 이 책의 공부와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이 책이 우리나라 의학 발전에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앞으로도 우리가
많은 연구를 함께 하여 대중에게 좋은 방향을 제시하는 공동체가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은 비록 전문가들을 위한 것이지만 일반
대중들이나 보건의료정책을 하시는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2016년 7월 12일

대한코어운동도수치료연구회







Contents



1. 서론: 척추의 조절에 대한 견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1

(Introduction: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opinions on spinal control)

Paul W. Hodges, Jaap H. van Dieën and Jacek Cholewicki



Part 1 : 척추의 모델(Models of the spine)

2. 척추 시스템 과학: 시스템 접근법의 입문………………………………………………………9

(Spine systems science: a primer on the systems approach)

N. Peter Reeves and Jacek Cholewicki

3. 체간 궤도 기획과 부하 분산을 위한 컴퓨터 모델: 다양한 임상 적용과 요통 환자의 운동 조절 전략을 연구하기 위한 시험
대…………………………………………………………………21

(Computational models for trunk trajectory planning and load distribution: a test-bed for studying various clinical
adaptation and motor control strategies of low back pain patients)

Mohamad Parnianpour

4. 요통에서 척추의 기계적 변화……………………………………………………………………35

(Mechanical changes in the spine in back pain)

Gregory Neil Kawchuk



Part 2 : 척추의 운동 조절(Motor control of the spine)

5. 척추 기능과 요통: 능동과 수동 구조간의 상호 작용…………………………………………45

(Spine function and low back pain: interactions of active and passive structures)

Jaap H. Van Dieen and Idsart Kingma

6. 적응과 재활: 운동신경세포에서 운동 피질 그리고 행동……………………………………65

(Adaptation and rehabilitation: from motorneurons to motor cortex and behavior)

Paul W. Hodges

7. 요통과 운동 조절 사이의 연결에 대한 의견들: 실제 임상과 연구 사이의 단절…………83

(Opinions on the links between back pain and motor control: the disconnect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Stuat McGill

8. 운동병리학적 모델과 기계적 요통……………………………………………………………101

(The kinesiopathological model and mechanical low back pain)

Linda R. Van Dillen, Shirley a. Sahrmann and Barbara J. Norton

9. 척추의 조절과 요통과의 상관관계: 임상 연구자들의 견해…………………………………113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of the spine and low back pain: a clinical researcher’ perspective)

Julie A. Hides

10. 기존의 근육 시너지와 요통: 예방적 치료의 사례…………………………………………129

(Existing muscle synergies and low back pain: a case for preventive intervention)

Jack P. Callaghan and Erika Nelson–ong

11. 체간 근육 조절과 요통: 닭일까 달걀일까, 양쪽 모두 인가, 양쪽 모두 아닌가………141

(Trunk muscle control and back pain: chicken, egg, neither or both?)

G. Lorimer Moseley



Part 3 : 고유수용감각 시스템(Proprioceptive systems)

12. 재발성 요통 환자에서 고유수용적 자세 전략의 다양성의 흐트러짐……………………155

(Altered variability in proprioceptive postural strategy in people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Simon Brumagne, Lotte Janssens, Kurt Claeys and Madelon Pijnenburg

13. 체간 조절과 요통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척추 주위 근육 근방추로부터의 고유수용감각 기
여………………………………………………………………………………………………………167

(Proprioceptive contributions from paraspinal muscle spindl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of the trunk and back
pain)

Joel G. Picker

14. 근육의 척추 보호기능을 방해하는 시간–의존성 기전……………………………………181

(Time-dependent mechanisms that impair muscle protection of the spine)

Patricia Dolan and Michael A. Adams



Part 4 : 조절 접근법의 임상 근거(Clinical evidence of control approach)

15. 만성 비특이적 요통에 대한 운동치료의 효과………………………………………………197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Marienke Van Middelkoop, Sidney M. Rubinstein, Arianne Verhagen, Raymond Ostelo



Part 5 : 가장 최신의 고찰들(State-of-the-art reviews)

16. 운동 조절의 모델들이 요통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유용하게 되는가……………………215

(How can models of motor control be useful for understanding low back pain?)

N. Peter Reeves, Jacek Cholewicki

17. 환자 맞춤형 치료법들: 개발과 평가…………………………………………………………223

(Targeting interventions to pati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Linda R. Van Dillen and Maurits van Tulder

18. 운동 조절의 변화와 요통: 원인인가 효과인가……………………………………………237

(Motor control changes and low back pain: cause of effect?)

Jaap H. van Dieën, G. Lorimer Moseley and Paul W. Hodges

19. 고유수용감각과 요통과의 연관성은 무엇인가………………………………………………249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proprioception and low back pain?)

Simon Brumagne, Patricia Dolan and Joel G. Pickar

20. 척추의 운동 조절과 통증의 변화: 요통에 대한 효과적 치료를 위한 운동 조절 전략에 대한 연구 관찰로부터의 추정에 대한
논란………………………………………………………263

(Motor control of the spine and changes in pain: debate about the extrapolation from research observations of motor
control strategies to effective treatments for back pain)

Paul W. Hodges, Stuart McGill and Julie A. Hides



Part 6 : 요통과 골반 통증의 임상 재활에 대한 최신 접근법(State–f–he–rt approach to clinical rehabilitation of low back
and pelvic pain)



21. 요통과 골반 통증의 운동 조절 치료에 대한 통합적 임상 접근법………………………277

(Integrated clinical approach to motor control interventions in low back and pelvic pain)

Paul W. Hodges, Linda R. Van Dillen, Stuart McGill, Simon Brumagne, Julie A. Hides and G. Lorimer Moseley



찾아보기…………………………………………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