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지금 (제3판 머리말)
정신보건복지법」(1995)으로 자립과 사회참여가 강조되어, 그 구체적인 추진을 위해 장애자 플랜의 실시가 시작된 1996년의 10
월에, 『정신장애와 작업치료』 초판을 탈고했다. 그리고 「장애자 기본 계획」에 따라 공생사회가 주장된 2003년의 3월에, 제
2
판으로 개정했다. 그로부터 7년 남짓, 「정신보건의료복지의 개혁 비전」(2004)에 따라, 「입원의료 중심으로부터 지역생활 중
심
으로」 의료복지를 변화시키기 위해 정신보건의료복지체계의 재편과 기반강화가 시작되었다.
근대의학의 막다른 길에서 나타난, 이른바 「병」을 살아간다는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낫다」「치료하다」라는 환상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고 있다. 이식의료, 유전자의료, 재생의료와 같이 화려한 근대의학의 몸부림과는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나이가 듦
에 따른 피할 수 없는 변화를 받아들이면서 「선물 받은 생명」에 대한 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문제 의식이 있다.
지난번 개정과 마찬가지로 이번 개정에서도, 국제생활기능분류와 회복상태에 따른 재활치료를 기본 축으로 한다. 그리고 『치
료
·원조에서의 두 가지 커뮤니케이션』 (三輪書店, 2008)에서 나타낸, 병으로 인해 잃어버린 관계성의 회복이라는 작업치료의 기
본에 따라, 전편의 정리와 가필을 했다. 모두 다 초판, 제2판의 시기에는 사회의 인지가 충분하지 못했던 것을 가필수정한 것이
다.
제1장 「사람과 병」은, 『정신장애와 작업치료 - 「낫다·치료하다」에서 「살아간다」로』라는 제목을 붙인 제3판의 시작하
는 장으로서, 병과 생활, 건강과 장애, 정신과 신체라는 시점으로부터, 「사람과 병」에 대한 작업치료의 기본적인 자세(철학)
를 나타냈다.
그리고 제2장 「정신의 병과 작업치료」에서는, 병을 짊어진 고통과 그 이상으로 무거운 오해에 따른 고통, 그 이의 「마음의
아픔과 고통」을 동반하는 정신의 병과 장애에 대해, 정신의 병을 처우하던 역사 및 작업치료의 성립, 작업치료가 담당해 온 역
할에 대해 뒤돌아보았다.
제3장 「정신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시점」에서는, 정신기능의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 사회생활에 제한·제약이 있는 사람
들
을 위한, 작업·작업활동을 사용하는 치료란 무엇인가, 작업치료의 수단, 목적, 회복상태에 따른 개입, 효과, 그리고 치료로서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 정신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시점을 서술했다.
제4장 「작업치료의 치료·원조 구조와 치료 메커니즘」에서는, 작업치료가 어떠한 치료구조와 형태로 실시되는지, 그 구성요
소
와 작업치료 process에서의 대상관계의 변화, 작업치료의 형태, 작업치료에서의 연계, 작업치료의 치료 메커니즘 등을 나타냈
다.
제5장 「작업치료의 순서」에서는 기본적인 작업치료의 과정을 나타내고, 치료·원조의 계획에 있어서 작업치료에서의 평가
및, 그 결과로부터 어떻게 계획을 입안하는지, 그리고 작업치료사가 실시한 서비스에 대한 효과의 평가에 대해 서술했다.
제6장 「작업치료의 실천」은 입원의료 중심으로부터 지역생활 중심으로라는 움직임에 동반하여, 의료 영역을 중심으로 하면서
지역이행지원, 지역생활지원, 취업지원과 보건·복지 영역으로, 작업치료가 실시되는 장이나 대상도 넓어지고, 많은 기관 및 직
종, 사람의 연계가 필요한, 게다가 협업이라는 형태로 기능하는 시스템 속에서, 작업치료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서술했다.
제7장 「질환·장애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에서는, 질환 및 장애의 종류를 불문하고 작업치료의 공통된 기반을 나타내어, 정
신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기본원칙과 병리의 차이 및 장애의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의 개요를 소개했다.
제8장 「정신과 작업치료의 이론·모델·관련 치료」는, 정신과 작업치료와 관련 있는 주요이론 및 모델, 치료의 개략과 작업
치
료와의 관련 및 응용에 대해 소개했다.
「북경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뉴욕에서 태풍이 일어난다」. 보통이라면 무시할 법한 작은 차이가 시간의 경과로 무시할 수
없는 큰 차이가 된다. 나비효과라고도 불리는 카오스 역학에서의 현상을 비유한 것으로, 기상학자 Edward Norton Lorenz의 강연
『예측 가능성 – 브라질에서의 나비의 날갯짓은 텍사스에서 태풍을 일으키는가』에 유래한다고 하는데 분명하지는 않다.
유래 또는 철학적 논의는 일단 그대로 두고, 교육도, 임상도, 종래의 본연의 자세가 막다른 길목에 놓이기 시작한 작업치료의
세계에, 나비 효과를 기대한다. 「어차피」라든가 「나 한 명이」와 같은 생각을 버리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 자신이 가능한
일을 해야 한다. 손이 덜 가는 일 없는 임상의 축적과, 축적된 사실을 표현하는, 한 사람 한 사람의 날갯짓이 세계를 바꾼다.
2009년 10월 조개구름에 걸음을 맞추어, 히가시야마(東山)의 오네미치(尾根道)를 걷는다.
야마네 히로시(山根 寛)
목차
• 그리고 지금(제 3판의 서문) iii
• 새롭게(제 2판의 서문) v
• 시작(초판의 서문) vii
1장 사람과 병 1
1-1 병과 생활 3
1-1-1 낫기를 원하며 – 건강이라는 환상 4
1-1-2 고친다는 것 – 병과 질병 5
1-1-3 병을 살아간다 – Recovery로의 길 7
1-2 건강과 장애 9
1-2-1 장애를 파악하는 방식 – 생활기능이라는 시점 11
1-2-2 정신장애 – 신체장애와의 비교로부터 19
1-2-3 병과 증상 – 증상이 말하는 것 22
1-2-4 약함을 살며 건강함을 살린다 – Strength의 시점 23
1-3 치료·원조자에게 요구되는 것 24
제1장 요약 26
2장 정신의 병과 작업치료 29
2-1 정신의 병-일본에서의 처우의 역사 31
2-1-1 종교적 민간의료 - 고대중세부터 에도시대 32
2-1-2 의료의 근대화와 사택감치 - 메이지 초기부터 종전(終戰) 33
2-1-3 의료라는 이름의 보호수용 - 전후(戰後)부터 20세기 후반 33
2-1-4 공생 · 자립지원 · 지역이행 - 20세기의 마지막부터 35
2-2 작업치료의 성립 과정과 발걸음 36
2-2-1 격리·수용 - 17세기부터 18세기 전반 37
2-2-2 도덕치료의 흥망 -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두(初頭) 37
2-2-3 작업 패러다임과 역동정신의학 - 20세기 초두(初頭)부터 종전(終戰) 39
2-2-4 작업치료 확립으로의 길 – 전후(戰後)부터 현재 39
2-3 일본의 작업치료 성립 과정과 발자취 41
2-3-1 인도적 처우로서의 작업치료 – 1900년 이전 42
2-3-2 전통적 작업치료 - 1900년부터 1950년대 중반 42
2-3-3 생활요법의 시대 -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 43
2-3-4 작업치료사의 탄생과 혼미 -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 44
2-3-5 오해를 넘어 -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말 45
2-3-6 작업치료에 대한 기대와 도태 – 1990년 이후 46
제2장 요약 49
3장 정신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시점 53
3-1 원점-작업을 영위하고 작업이 자아낸다 55
3-1-1 사람과 작업 · 작업활동 56
3-1-2 정신의 병과 작업 · 작업활동 58
3-2 수단-생활의 영위 59
3-2-1 작업 · 작업활동 59
3-2-2 작업 · 작업활동을 사용하는 치료 61
3-3 목적-자율과 적응 63
3-3-1 치료의학의 목적 63
3-3-2 작업치료의 목적 63
3-4 개입-회복상태에 따른 개입 64
3-4-1 QOL과 작업활동능력 65
3-4-2 회복과정과 상태 66
3-4-3 회복상태와 작업치료 67
3-5 효과-작업치료의 효과와 근거 69
3-5-1 효과의 객관성이란 70
3-5-2 작업치료의 효과와 근거 70
3-6 조건-치료로서 성립되기 위해 71
제3장 요약 73
4장 작업치료의 치료·원조 구조와 치료 메커니즘 77
4-1 작업치료의 치료·원조 구조 80
4-2 대상자-주체로서 82
4-3 작업·작업활동-생활의 영위 86
4-3-1 작업 · 작업활동의 기본 요소 86
4-3-2 작업의 분류와 일반적 특징 98
4-3-3 작업 · 작업활동의 사용 방법 100
4-4 작업치료사-자기의 치료적 이용 106
4-4-1 작업치료사의 전문성 107
4-4-2 치료 · 원조 관계 만들기 107
4-4-3 자기의 치료적 이용 109
4-5 집단·장(場)-모임, 모으는 것의 이용 111
4-5-1 사람과 집단 112
4-5-2 집단의 치료인자 113
4-5-3 집단의 구조인자 114
4-5-4 사람의 모임의 이용 117
4-5-5 장소의 의미, 장(場)의 힘 119
4-6 시간-효율과 효과 120
4-7 대상관계-치료·원조에서의 관계 121
4-8 형태-시스템이라는 시점 123
4-8-1 개인 작업치료 124
4-8-2 집단 작업치료 126
4-8-3 시스템 프로그램 128
4-9 연계-팀 어프로치 129
4-9-1 팀 어프로치의 형태 129
4-9-2 팀 어프로치의 기본 131
4-10 작업치료의 치료 메커니즘 132
4-10-1 사람과 인지 · 대처행동 132
4-10-2 인지 · 대처행동의 이상 133
4-10-3 정신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치료 메커니즘 134
제4장 요약 136
5장 작업치료의 순서 139
5-1 순서-기본 흐름 140
5-1-1 작업치료 도입 141
5-1-2 초기 평가와 원조계획 144
5-1-3 실시와 효과 검토 147
5-1-4 방침의 수정 148
5-1-5 종료 · 중지 · 중단 149
5-1-6 에프터서비스(Follow-up Services) 149
5-2 평가-알아가는 작업 150
5-2-1 평가 항목 151
5-2-2 평가 수단 153
5-2-3 정보와 수집 153
5-2-4 면접의 방법 158
5-2-5 작업을 사용한 면접-작업면접 164
5-2-6 작업치료에서의 관찰 171
5-2-7 검사와 조사 179
5-3 계획-개인 프로그램의 작성 181
5-3-1 목표의 설정 182
5-3-2 계획의 작성 183
5-3-3 Rehabilitation sheet의 이용 188
5-4 성과(outcome)의 평가 191
5-4-1 성과(outcome) 평가의 수법 191
5-4-2 생활에 시점을 둔 기능평가 191
제5장 요약 193
6장 작업치료의 실천 197
6-1 작업치료가 행해지는 장(場) 199
6-1-1 의료 영역에서의 작업치료 201
6-1-2 보건 영역에서의 작업치료 202
6-1-3 복지 영역에서의 작업치료 203
6-1-4 교육 영역에서의 작업치료 203
6-2 급성기 작업치료 204
6-2-1 작업치료 개시 시기의 특성 205
6-2-2 급성기 작업치료의 도입 205
6-2-3 급성기 작업치료의 접근법 207
6-2-4 급성기 작업치료의 프로그램 210
6-3 지역이행지원과 작업치료 212
6-3-1 조기 퇴원에서의 지역이행지원 213
6-3-2 장기 재원에서의 지역이행지원 215
6-4 지역생활지원과 작업치료 217
6-4-1 지역생활지원의 목적 217
6-4-2 지역생활지원의 과정 219
6-4-3 지역생활지원의 내용 223
6-4-4 생활환경의 정비 226
6-4-5 위기 대응 228
6-4-6 재발예방과 작업치료 230
6-5 완화기의 작업치료 232
6-6 취업지원과 작업치료 234
6-6-1 「일한다」는 것의 의미 234
6-6-2 취업의 형태 234
6-6-3 취업지원의 과제 235
6-6-4 보호취업의 지원 236
6-7 아동기 정신장애와 작업치료 236
6-7-1 아동기 정신장애의 특징 236
6-7-2 작업치료의 지원 237
6-8 노년기 정신장애와 작업치료 238
6-8-1 노년기 정신장애의 특징 238
6-8-2 작업치료의 지원 240
6-9 사법정신의료와 작업치료 243
6-9-1 의료관찰법 244
6-9-2 의료관찰법의 대상자 244
6-9-3 작업치료의 역할 244
제6장 요약 246
7장 질환·장애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 251
7-1 기본 원칙 253
7-2 정신분열증과 작업치료 254
7-2-1 정신분열증과 치료 256
7-2-2 정신분열증과 생활기능 256
7-2-3 작업치료의 지원 258
7-3 기분장애(조울증)와 작업치료 263
7-3-1 기분장애와 치료 265
7-3-2 기분장애와 생활기능 265
7-3-3 작업치료의 지원 267
7-4 신경증성 장애와 작업치료 271
7-4-1 신경증성 장애와 치료 272
7-4-2 신경증성 장애와 생활기능 273
7-4-3 작업치료의 지원 273
7-5 섭식장애와 작업치료 275
7-5-1 섭식장애와 치료 277
7-5-2 섭식장애와 생활기능 277
7-5-3 작업치료의 지원 278
7-6 물질관련장애와 작업치료 280
7-6-1 물질관련장애와 치료 281
7-6-2 물질관련장애와 생활기능 281
7-6-3 작업치료의 지원 282
7-7 인격장애와 작업치료 284
7-7-1 인격장애와 치료 284
7-7-2 인격장애와 생활기능 285
7-7-3 작업치료의 지원 286
7-8 아스퍼거 증후군과 작업치료 288
7-8-1 아스퍼거 증후군과 치료 290
7-8-2 아스퍼거 증후군과 생활기능 290
7-8-3 작업치료의 지원 292
7-9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와 작업치료 294
7-9-1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와 치료 295
7-9-2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와 생활기능 295
7-9-3 작업치료의 지원 296
8장 정신과 작업치료의 이론·모델·관련 치료 303
8-1 정신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와 이론 305
8-1-1 이론 및 모델은 어디에 유용한가 306
8-1-2 이론 및 모델의 응용에 대해 306
8-1-3 정신과 작업치료의 이론 체계 307
8-2 공통이론 307
8-2-1 생활기능론 308
8-2-2 치료구조론 308
8-2-3 회복 모델 309
8-2-4 치료 시스템론 309
8-3 치료이론-역동론 309
8-3-1 정신역동론과 작업치료 310
8-3-2 집단역동론과 작업치료 310
8-4 치료이론-발달·학습이론 311
8-4-1 발달이론과 작업치료 311
8-4-2 학습이론과 작업치료 312
8-5 치료이론-사람·작업이론 313
8-5-1 Fidler (대상관계론) 313
8-5-2 Mosey (적응기능론) 313
8-5-3 Reilly (작업행동이론) 313
8-5-4 Kielhofner (인간작업모델) 314
8-5-5 Ayres (감각통합모델) 315
8-5-6 Canada 작업수행모델 316
8-5-7 Yamane (작업-생활기능모델) 318
8-6 관련 치료 318
8-6-1 신체치료 319
8-6-2 정신치료 321
8-6-3 심리교육 323
8-6-4 행동치료 · 인지행동치료 324
8-6-5 사회기술훈련 326
8-6-6 예술치료 329
8-6-7 원예치료 332
8-6-8 회상법 334
8-6-9 레크리에이션치료 336
부표 345
1. Life cycle과 발달과제 346
2. 회복상태에 따른 재활치료와 작업치료 348
3. 정신기능 check list 350
4. Watching List 352
5. 활동(일상생활) 기능 관찰 list 354
6. 대인 pattern check list 355
7. 작업수행 기능 평가표 356
8. 기본적인 사회참여 능력 관찰 list 360
9. Conference sheet 361
10. Counseling sheet 363
11. 상담표 365
12. Assessment 표 368
13. Recreation 계획 371
• 번역자 주석 373
• 용어해설 379
• 그리고 또 다시(에필로그) 388
• 찾아보기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