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서문
개원의를 위한 갑상선질환의 진단 노하우
학생 시절 ‘갑상선질환의 진단은 왜 이렇게 헷갈리지? 게다가 뭐가 이렇게 복잡해?’하고 자주 자문(自問)했던 것 같다. 갑상선
은 단독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가 요구하는 정도와 갑상선의 호르몬 생산량을 완벽히 파악한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와
긴밀하게 교신하여 갑상선호르몬 생산을 엄격하게 조절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고 이해하기까지는 시간이 제법 흐르고
난 후였다. 어떤 질환이든지 보이는 현상만 가지고 단순하게 접근하면 진단적 오류에 빠질 위험이 높다. 저자가 지적하듯, TSH
나 free T만 보고 진단에 혼선을 일으켜 의뢰된 환자 사례를 종종 경험한 바 있다.
갑상선은 약 20 g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우리 몸의 가장 큰 단일 내분비 기관으로서 다양한 대사 과정을 조절하기 위해 엄격한
관리하에 쉬지 않고 일을 하고 있다. 따라서 혈류의 현저한 발달, 임신이나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갑상선기능이 자주 변동할
수 있다. 또한 갑상선은 가장 흔한 자가면역질환인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의 병터가 되기도 하고 낭종이나 결절이 호
발하는 장기이다. 그러다 보니 갑상선질환을 잘 이해하면 많은 내분비질환의 병태 생리를 잘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전질
환과 다른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이해도도 높일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갑상선 진찰부터 시작하여 갑상선기능질환과 갑상선 결절, 그리고 갑 상선암의 스캔이나 초음파 접근에 대해서
도 매우 세심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몇 번이고 반복하여 기술하고 증례를 통한 접근을 함으로써 갑상선질환을 쉽게 진단할
수 있도록 비법을 전수하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중요한 점이다.
『갑상선질환 -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할까?』의 역자들은 갑상선질환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하거나 좀 더 지식을 확장하
여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진단적 접근을 하기 원하는 개원의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고자 이 책의 번역을 하게 되었다. 대한의사
협회에서 권고하는 새 의학용어 사전을 토대로 대부분 우리나라와 비슷한 요오드 섭취량과 질환의 빈도를 감안하여 가능한 본문
의 내용에 충실하게 번역하였으나 몇 군데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역자들의 논의를 거쳐 수정·보완하기도 하였다.
2013년 1월
함 종 렬
머리말
갑상선질환은 매우 흔한 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갑상선질환의 진단은 내분비 및 대사성질환, 가령 당뇨병이나 뇌하수체질환에
비해 크게 어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개장 등의 글을 보면 갑상선질환이 어렵다고 인식하는 개원의가 많
은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TSH(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치가 높은 증례를 TSH 생성 종양이 아닌지 의심하거나, 갑상선호르몬 수
치가 높은 증례를 그레이브스병으로 진단해 항갑상선제 치료를 시작하는 사례를 자주 봅니다.
이렇게 진단을 망설이는 개원의에게 갑상선질환의 진료 포인트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표현은 어렵지만 ‘갑상선질환이란 무엇인가?’를 책을 통해 지식으로 얻기보다는 ‘직접 느끼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파악’ 하
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사과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바라보고만 있는 것보다 손으로 만져 보고, 씹어서 먹어 봐야 ‘사과
란 바로 이런 것이구나’ 하는 개념이 몸 구석 구석까지 전달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비로소 ‘그렇구나! 이것이 갑상선질환이
구나’ 하는 느낌을 알게 되고, 갑상선질환에 대해 ‘답답했던 점’이 확실히 풀리겠지요.
이 책의 목차를 보면 갑상선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항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한정된 지 면 내에서 이 항목을 자세히 해설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주제와 변주의 형식처럼, 각 주제마다 ‘좀 더 알아볼까요’라는 항목을 삽입함으로써 주제를 다
른 시점에서 보면 어떤지 기술해 독자의 이해에 깊이를 더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또 가능한 한 증례를 삽입하고 그 증례를 파악하
는 포인트를 해설하여 임상적 감각을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이 책과의 만남으로 갑상선질환에 흥미를 갖고 조금이라도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면 합니다. 이 책은 임상의 제일선에서 갑상
선 진료에 활약하고 있는 임상가들이 집필했습니다.
Fukata Shuji
제1장 외래진료에서 갑상선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지식
01 꼭 알아야 하는 문진, 시진, 촉진, 해부 등
좀 더 알아볼까요 - 유전에 대해 알아야 할 필수 사항
02 갑상선기능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나?
03 자가면역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나?
04 영상진단으로 무엇을 알 수 있나? - 초음파검사, 핵의학검사
05 미세침흡인세포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나?
제2장 이것이 항갑상선제 금기의 중독증이다!
06 일상진료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갑상선중독증
07 무통성 갑상선염
좀 더 알아볼까요 - 무통성 갑상선염의 발견
08 아급성 갑상선염
좀 더 알아볼까요 - 이하선염과 아급성 갑상선염
09 부적절한 TSH 분비 증후군
좀 더 알아볼까요 - 부적절한 TSH 분비 증후군과 감별을 필요로 하는 병태
10 갑상선중독증을 유발하는 약제 - 비만치료제 등
좀 더 알아볼까요 - 아미오다론과 갑상선중독증
제3장 항갑상선제를 투여해도 좋을까? 그레이브스병이 아닌 갑상선기능항진증이란?
11 플러머병 등 - 열결절성 병변에 의한 갑상선중독증
12 임신 중의 일과성 갑상선기능항진증
좀 더 알아볼까요 - 난소 갑상선종
13 비자가면역성 갑상선기능항진증
제4장 흔히 접하는 그레이브스병의 정확한 진료를 위해
14 치료 시작 전 이것만은 꼭 알아 두자!
15 항갑상선제의 작용 기전은?
16 항갑상선제의 부작용을 익혀 두자!
17 드디어 그레이브스병의 치료 시작! -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좀 더 알아볼까요 - 그레이브스병과 심방세동
좀 더 알아볼까요 - 투약 중단 포인트, 투약 중단 후의 경과 관찰 포인트
18 갑상선 안질환은 치료 가능하다!
19 임신을 예정하고 있거나 임신 중인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어떻게 진찰하나?
좀 더 알아볼까요 - 태아 초음파검사로 알 수 있는 것?
20 알아 두면 진료에 여유가 생기는 그레이브스병의 치료 - 동위원소치료
좀 더 알아볼까요 - 갑상선 부피의 변화율로 동위원소치료 효과를 알 수 있다
21 알아 두면 진료에 여유가 생기는 그레이브스병의 치료 ? 수술요법
좀 더 알아볼까요 - 난치성 그레이브스병
제5장 흔히 접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22 원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진료 포인트
좀 더 알아볼까요 - 복약 지속 여부에 대해
23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진료 포인트
제6장 경미한 갑상선기능장애에도 정확한 대응이 중요한 이유는?
24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25 무증상 갑상선기능항진증
좀 더 알아볼까요 - 요오드 섭취와 갑상선
제7장 위험한 종양을 구별하자!
26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 꼭 필요한 포인트
좀 더 알아볼까요 - 다낭종성 갑상선질환이란?
27 갑상선 유두암 및 갑상선 여포암 진료 포인트
28 갑상선 수질암 진료 포인트
29 갑상선 미분화암 진료에 미래는 있나?
좀 더 알아볼까요 - 갑상선 림프종이란?
제8장 알아야 할 갑상선질환 토픽
30 EBV와 그레이브스병
좀 더 알아볼까요 - 전염성 단핵구증과 그레이브스병
31 유전성 갑상선질환
좀 더 알아볼까요 - ‘백문이 불여일견’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