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생아 역학: 통계와 임상 자료 [양장본]

  • 저   자 : 배종우
  • 역   자 :
  • 출판사 : 신흥
  • ISBN(10) : 8964980263
  • ISBN(13) : 9788964980262
  • 발행일 : 2012-09-10  /   1판   /   480 페이지
  • 상품코드 : 23696
  • 적립금: 1,102
58,00055,100

배 종 우(裵鍾雨, Chong-Woo Bae)




학 력

- 1978. 2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 1988. 8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학위 취득




경 력

- (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경희의대부속병원 소아과 과장 역임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아과 과장 역임
- (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모자보건센터장
- (현) 경희의학전문대학원/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주임교수
- 대한소아과학회 간행이사 역임
- 대한신생아학회 총무, 보험, 대외협력이사, 부회장 역임
- 대한주산의학회 재정, 심사, 발전이사 역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회 비상근심사위원 역임
- (현) 대한신생아학회 회장
- (현) 대한모유수유학회 부회장
- (현)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회원
- (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자문기획위원
- (현) UNICEF BFHI 위원
- (현) 대한의사협회지, Korean J Med Sci 편집위원
- (현)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출판윤리위 위원
- (현) 한국의료인국가시험원 문항개발정리위원




저 서

- 배종우: Pulmonary Surfactant: 기초와 임상. 제일의학사, 1993
- 배종우, 김민희: 표와 그림으로 보는 신생아학, 한국의학사, 2004
- 배종우, 김민희: 신생아진료 (번역서), 신흥메드싸이언스, 2008
- 황진복, 배종우: 의료인을 위한 실용적 글쓰기, 신흥메드싸이언스, 2010년
- 배종우, 김수영, 허 선, 함창곡: Sample Cases of Duplicate Publication (의학논문 중복출판 사례집). KAMJE, XMLARCHIVE,
2011년




학술할동

- 국제학회 발표: 30편
- 논문발표: 300편



발간사



한국에서 신생아에 관한 강의와 치료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살펴보자. 1954~1959년에 소아과 강의 중에서 신생아학 강의가
처음 시작된 이래로, 1950년~60년대에 항생제사용과 산소치료, 교환수혈이 시행되었으며, 1960년에 신생아실 개설과 더불어 보

기사용이 시작되어 소아 중에서 신생아가 독립적으로 관리되기 시작하였다. 1969년 서울의대 소아과에서 신생아분야가 세부분야
로 분리되면서 (윤종구 교수 담당) 미숙아실이 개설되었다. 1970년대에는 정상신생아실과 미숙아실이 구분되어 운영되면서 신생
아 중에서도 고위험인 미숙아가 별도로 관리되기 시작하였다. 1978년에 CPAP와 광선요법이 도입되었고, 1980년에 들어서야 비로
소 신생아집중치료실(NICU)이 개설되어 신생아용 인공호흡기 및 감시장치 등을 사용하며 본격적으로 신생아중환자관리가 이루어
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86년 대한주산의학회 창립되었다. 1990년대부터 인공 폐표면활성제가 사용되었고, 전국적으로 NICU
시설이 확대되었다. 1993년에는 대한신생아학회가 창립되었다. 2000년대에는 고빈도인공환기, 산화질소사용 및 신생아관리에 대
한 각종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졌다. 2002년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신생아과(피수영 교수 담당)가 소아과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한국에서 NICU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30년밖에 되지 않지만, 눈부신 발전을 이
루어 왔다.



이 결과 한국 전국자료에서 미숙아의 생존의 중요지표인 극소저체중출생아(출생체중 1,500g 미만)의 생존율은 1960년대 34%,
1970년대 44%, 1980년대 49%, 1990년대 67%, 2000년대 들어와서는 2002년 77.5%, 2007년 84.7%, 2009년 85.7%로 크게 개선되었
다. 이 결과는 한국의 신생아사망률과 영아사망률의 개선에도 영향을 미쳐서, 한국의 출생 천 명당 신생아사망률은 1993년 6.6,
1999년 3.8, 2002년 3.3, 2005년 2.8, 2009년 1.7, 2010년 1.8로, 출생 천명당 영아사망률은 1993년 9.9, 1999년 6.2, 2002년
5.3, 2005년 4.7, 2009년 3.2, 2010년 3.2로 크게 감소되었다.



본 서적은 이상의 발전을 이루어온 한국의 출생, 미숙아, 신생아, 영아, 주산기에 관한 각종 통계지표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
떻게 변하였고, 각각의 수치는 어떤가에 관한 질문에 관한 답을 정리한 것이다. 이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정리가 필요하여, 저

는 지난 10년간 이에 대한 역학적 데이터들을 지속적으로 정리 보고해 왔다. 이 정리 과정에서 신생아 역학의 각 세부항목들이
눈부시게 발전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전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신생아역학에 관한 기본 자료로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의학적 진보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저자가 발표한 여러 보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의 신생아 관련 역학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서적으로 발간한
다면, 이 분야에 관계하는 학자들이나 임상 의료인이 여러 자료를 뒤지지 않아도 쉽게 정리된 자료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본 서적을 준비하게 되었다. <1부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의 역학> 부분의 자료를 정리하면서 이 역학 부분 외
에, 미숙아나 신생아에 특별히 잘 생기는 질환의 빈도나 양상, 치료, 예후에 관한 국내현황과 연도별 추이에 관한 자료를 정리
할 필요를 느껴, <2부 미숙아, 신생아 관련 질환의 임상>도 정리하였다. 한국의 현황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의 추이를 볼
수 있는 매우 유익한 정리로 생각된다.



저출산시대에 출생신생아수는 감소 추세이지만, 오히려 미숙아나 고위험 신생아의 빈도는 증가 추세에 있다. 영아사망 중에 신
생아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이 반 정도이고, 신생아사망 중에서 출생 1주일 이내의 조기신생아사망이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말은 신생아 특히 조기신생아의 관리 향상이 바로 영아사망의 감소에 가장 지름길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지난 30년간
NICU의 발전에 따른 신생아, 영아생존율 향상을 기초로, 이제 신생아관리는 더욱 발전을 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향후 한국의
신생아관리의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는 일에 본 서적이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본 서적의 자료가 된 원 논문의 저자들 모두, 그리고 자료의 근간이 된 한국의 대상아이들 모두가 본 책자의 주인공이다. 이들
대상아의 자료가 기본이었고, 이를 잘 정리해준 원 논문의 저저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이 정리가 가능한 것이었다. 모두에게 감
사드린다.



항시 저자의 큰 힘이 되어주는 나의 가족 모두, 출판을 허락한 신흥메드싸이언스 홍성철 부장님, 자료 정리에 도움을 준 이경

(경희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전임의) 선생에게 감사를 드린다.



2012년 8월
배 종 우



Part 1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의 역학
1장 신생아, 영아, 주산기 관련 역학 용어의 정의
1-1 신생아, 영아, 주산기 관련 역학 용어의 정의 4



2장 한국의 출생통계
2-1 출생통계(1981~2010) 14
2-2 15년간 산모 및 신생아 관련 통계 지표의 변화(1995~2010) 28
2-3 출생통계의 변화 추이(1970~2010) 37
2-4 출생아의 임신나이, 출생체중별 분포와 미숙아,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빈도(1993~2010) 47
2-5 과체중아(거대아)의 출생통계(1993~2000) 52
2-6 출산 산모나이 분포 변화와 고령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1995~2010) 62
2-7 다태아의 빈도 및 주산기 관련 사항(1991~2010) 69
2-8 삼태아의 출생통계(1998~2007) 77
2-9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에 의한 출산과 다태아(1996~2007) 80
2-10 저체중출생아와 이에 관계된 인자의 변화양상(1995~2007) 88



3장 한국의 영아, 신생아, 주산기사망률
3-1 신생아, 영아사망률 변화 추이: 일본, 미국, OECD 국가와의 비교(1921~2010) 92
3-2 주산기사망률 및 OECD 국가와 비교(1959~2010) 104
3-3 영아사망률 중에서 출생체중, 임신나이별 구분에 따른 신생아사망률의 비율 관찰(2005~2010) 116



4장 한국의 신생아, 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
4-1 저체중출생아, 극소체중출생아, 초미숙아의 생존율(1960s~2009)과 미국, 일본과의 비교 126
4-2 전국 신생아중환자실의 생존율 분석(2009) 135
4-3 영아사망의 출생 자료 연계 분석(2005~2009) 138



5장 한국의 임신나이별 태아, 신생아 체중 백분위
5-1 임신나이별 태아, 신생아 체중 백분위(2000~2004) 146



6장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 모성사망 원인의 변화
6-1 신생아, 영아사망 원인의 변화(1983~2009) 154
6-2 영아사망 원인 통계(2000~2010) 166
6-3 주산기(출생전후기)사망 원인 통계(2007~2010) 170
6-4 모성사망비, 모성사망 원인 통계(2002~2010) 172



7장 한국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현황
7-1 시도별 미숙아,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신생아중환자실(NICU) 현황(2009) 178
7-2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실태조사(2009) 184
7-3 한국에서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현황(1995, 1999, 2006) 193
7-4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이송관계 분석(2010) 198
7-5 신생아중환자실(NICU) 입원현황 및 입원비용 분석(2006) 203
7-6 신생아중환자실(NICU) 입원자의 퇴원 후 재입원빈도와 의료비용(2005~2006) 214



8장 한국의 선천성이상 빈도
8-1 한국의 선천성이상아 조사분석 연구(2005, 2006 출생아) 222



Part 2 미숙아, 신생아 관련 질환의 임상
9장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의 역학,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
9-1 RDS의 역학과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의 전국 조사(1990~2007) 244
9-2 RDS에서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의 전국 조사(2010) 256



10장 신생아 기관지폐형성이상(BPD)
10-1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전국적인 발생빈도: 다기관 설문조사(2007~2008) 260
10-2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임상양상: 다기관연구(2005~2007) 264
10-3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른 임상적 특징(2004~2007) 267
10-4 기관지폐형성이상(BPD)에서 폐동맥고혈압(PN)(2004~2008) 274
10-5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을 가진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폐고혈압(2000~2007) 279



11장 신생아 태변흡인증후군(MAS)
11-1 중증 태변흡인증후군(MAS)의 임상적 특성 및 MAS에서 폐 표면활성제 투여 결과(2004~2007) 286



12장 신생아 동맥관개존(PDA)
12-1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의 발병에 관련된 인자(1989~1995) 294
12-2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의 수술적 결찰 결과(1994~2006) 297
12-3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 결찰술 후 혈역동학적 변화(2002~2008) 301



13장 신생아 괴사장염(NEC)
13-1 신생아 괴사장염(NEC)의 역학적 고찰(1994~2003) 306
13-2 신생아 괴사장염(NEC)과 국소성장천공의 전국 조사(2001~2004) 309
13-3 신생아 괴사장염(NEC)으로 수술한 초미숙아의 예후인자 분석(2001~2008) 315
13-4 신생아 괴사장염(NEC)의 수술 경험(1997~2007) 318



14장 신생아 뇌실내출혈(IVH)
14-1 미숙아에서 뇌실주위, 뇌실내출혈(PVH, IVH)의 위험인자(2003~2008) 322



15장 신생아 감염증, 패혈증(sepsis)
15-1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에 대한 전국조사(1997) 328
15-2 26년간 신생아 패혈증 역학의 변화추이(1980~2005) 333
15-3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조기패혈증의 원인균과 예후인자(1994~2007) 337
15-4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신생아 패혈증 환자의 분석(2003~2008) 342
15-5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Synagis􄠶 접종의 RSV 감염 예방과 재입원 감소(2005~2007) 347
15-6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병원감염 패혈증의 위험인자(2002~2009) 351



16장 미숙아망막증(ROP)
16-1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미숙아망막증(ROP)의 발생빈도와 위험인자(1997~2002) 358
16-2 미숙아망막증(ROP)의 역학과 주산기 위험인자(1995~1997) 362



17장 신생아 폐동맥고혈압(PPHN),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흡입치료
17-1 신생아 지속성폐동맥고혈압(PPHN)에서 산화질소 흡입(iNO)치료의 예후인자(1998~2002) 368
17-2 신생아 지속성폐동맥고혈압(PPHN)의 치료성적 변화(1994~2001) 372
17-3 신생아 지속적폐동맥고혈압(PPHN)에서 산화질소흡입(iNO)치료의 반응인자(1997~2002) 376
17-4 1,250g 미만 극소저체중출생아의 호흡부전에서 산화질소흡입(iNO)치료의 효과(2006~2010) 380



18장 신생아 기흉(pneumothorax)
18-1 신생아 자발성기흉(pneumothorax)의 관련 질환과 예후(2003~2008) 386
18-2 신생아 자발성기흉(pneumothorax)에 대한 임상적 연구(2002~2005) 389
18-3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기흉 환아의 임상적 특징(2001~2010) 392



19장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 추적결과, 뇌성마비 발생률
19-1 한국에서 극소 및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예후(1980~2008) 400
19-2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장기 신경발달장애의 감소(1994~2004) 412
19-3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치료성적 및 추적관찰(2003~2006) 415
19-4 고위험 신생아에서 Bayley발달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예후인자(2002~2005) 421
19-5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따라잡기성장 및 발달평가(2000~2001) 425
19-6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2002~2003) 429



부록(Appendix)
1 이해관계 선언 434
2 논문 출처 목록 436
3 주요 통계 및 임상결과 요약 모음 440



찾아보기(Index) 453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