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종종 그 옛날 내과 전공의 근무하던 시절이 생각납니다. 제가 맡은 환자들은 매일매일 크고 작은 증상이나 징후를 제게
가져다 주었고, 새로운 검사 결과가 나올 때마다 모자라는 지식과 경험에 가슴 답답하였고 안타까워하였습니다. 두터운 교과서
는 늘 부담스러웠고, 현장에서 당장 급한 지식을 알아내기는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그 시절에 당장 급한 마음을 추스르
고 대책을 세우는데 가장 요긴했던 책은 제 가운 포켓 속의 “The Washington Manual of Medical Therapeutics”이었습니다. 이
Washington Manual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선배의 권유로 가장 먼저 샀던 의료서적으로 몇 년간 저와 가장 가까이 지냈던 책이었
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우리와는 질병 양상이나 의료환경이 크게 다른 미국 의사들에 의해 쓰여지었기에 미흡하거나 아쉬운 부
분이 적지 않았습니다. 언젠가 우리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우리나라 환자를 위한 우리의 매뉴얼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가
진 것은 비단 저만이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마음으로 1993년에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전공의 진료편람”을 각 과별로 만들었고. 이 책은 처음으로 환자 진료를 접
하게 되는 수련의와 전공의 들에게 좋은 입문서 혹은 직업 교육서로서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1999년에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에서 내과 영역 질환의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견들을 대폭 보완하여 “내과지침서”를 발간하여 그 역사를 계승
하였습니다. 그로부터 3년 후인 2002년에는 “내과진료지침”이라는 제목으로 개정판을 내놓으면서 새로이 업데이트한 의학 지식
이 임상에서 잘 활용되도록 하였습니다. 다시 4년 후인 2007년에 개정판을 준비하였으나 여러 현실적 어려움으로 발간이 지연되
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의 바탕 위에 그 동안 서울대학교병원,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강남헬스케어센터에서 쌓아온 풍부한 임상
경험과 의학의 최신 지견을 엮어 새로이 책을 내놓습니다. 새롭고 젊은 편집진을 구성하였고, 병실에서 흔히 접하는 문제들을 중
심으로 최신의 진단기술과 치료법을 망라하고, 임상에서 real-time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포켓 매뉴얼을 주문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간되는 SNUH Manual of Medicine이 새로이 진료 현장으로 들어오게 되는 내과 전공의는 물론 다른 과의 전공의나 수련의들의
포켓 속의 quick reference 로서 진료에 큰 도움이 되고 환자들의 건강을 지키는 길잡이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 마지 않습니
다. 끝으로 SNUH Manual of Medicine이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과 땀을 쏟아준 편집진, 최신 지견과 현장 경험을 모아 옥고를 마련
한 집필진께 심심한 감사를 드리며 아울러 까다로운 요구와 반복되는 수정과 교정을 다 받아준 고려의학에 고마움을 전합니다.
2012년 1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주임교수 방영주
목차
I. 호흡기 / 1
01. 호흡곤란 3
02. 객혈 8
03. 만성기침 11
04. 만성 폐쇄성 폐질환 14
05. 고립성 폐결절 19
06. 폐암 21
07.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28
08. 흉막질환 32
09. 폐렴 40
10. 결핵 및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48
11. 폐색전증 56
12. 단기산소요법 62
II. 순환기 / 65
01. 흉통 67
02. 두근거림 73
03. 실신 78
04. 협심증 85
05. 급성 심근경색 96
06. 심부전 108
07. 부정맥 117
08. 심장판막질환) 134
09. 심근병증 142
10. 심낭질환 150
11. 고혈압 156
12. 대동맥질환 168
13. 심폐소생술 175
14. 말초동맥질환 187
15. 폐동맥 고혈압 195
III. 소화기 / 201
01. 복통 203
02. 설사 205
03. 변비 207
04. 과민성 장 증후군 208
05. 소화성 궤양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210
06. 위장관 출혈 212
07. 위장관 내시경의 적응증, 금기 및 합병증의 치료 217
08. 위식도 역류 질환 221
09. 위암의 진단과 치료 223
10. 대장암의 진단과 치료 225
11. 장폐쇄 226
12. 염증성 장질환 230
13. 간질환의 평가 237
14. 바이러스성 간염 243
15. 간농양 254
16. 독소, 약물 및 알코올 유발성 간손상 257
17. 면역 매개 간질환 259
18. 대사, 유전, 혈관성 간질환 263
19. 간기능부전 및 문맥고혈압의 합병증 277
20. 간의 종양 289
21. 간이식 296
22. 담낭 및 담도의 염증성 질환 299
23. 급성 및 만성 췌장염 303
24. 췌담도계의 악성종양 310
25. 악성 폐쇄성 황달에 대한 임상적 접근과 배액 방법 313
IV. 혈액종양 / 317
01. 혈액종양내과학의 원칙 319
02. 항암제의 종류 및 부작용 322
03. 혈액종양학 분야의 응급 329
04. 암환자의 증상조절 334
05. 림프종 343
06. 암종별 예후 350
07. 종양내과치료의 실제 352
08. 빈혈 359
09. 출혈성 질환의 진단 및 응고장애 369
10. 혈소판 질환 373
11. 정맥 혈색전증 377
12. 급성 백혈병 381
13. 골수증식성종양 385
14. 골수형성이상증후군 390
15. 조혈모세포이식의 개요 393
16. 다발성 골수종 397
17. 수혈 402
V. 내분비 / 407
01. 당뇨병의 진단과 치료 원칙 409
02. 경구용 항당뇨병 약제 414
03. 주사용 항당뇨병 약제 418
04. 당뇨병의 합병증 424
05. 고혈당 위기 431
06. 저혈당증 437
07. 입원 환자의 혈당 조절 440
08. 임신 중 당뇨병 관리 449
09. 갑상선기능검사의 해석 454
10. 갑상선기능항진증 459
11. 갑상선기능저하증 464
12. 갑상선 결절과 갑상선암 469
13. 뇌하수체 질환 478
14.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486
15. 쿠싱증후군 492
16. 내분비 고혈압 497
17. 부갑상선기능항진증 509
18. 부갑상선기능저하증 513
19. 골다공증 516
20. 고지혈증 526
21. 내분비검사 프로토콜 533
VI. 알레르기 / 541
01. 알레르기 검사 543
02. 기관지 천식 547
03. 알레르기 비염 553
04. 아나필락시스 558
05. 두드러기 및 혈관부종 564
06. 약물 알레르기 567
VII. 신장내과 / 573
01. 신장 질환의 증상에 따른 접근 575
02. 수액요법 582
03. 전해질 장애 585
04. 산-알칼리 이상 597
05. 급성신부전 602
06. 만성콩팥병/말기신부전 612
07. 신대체 요법 618
08. 사구체 질환 629
09. 당뇨병성 신증 640
10. 신결석 및 간질-세뇨관 신염 642
11. 신장의 혈관 손상 646
12. 신기능에 따른 약제의 용량조절 651
VII. 감염 / 657
01. 발열 환자에 대한 접근 659
02. 경험적 항균 요법의 일반적 원칙 662
03. 감염부위에 따른 경험적 항생제 664
04. 호중구감소성 발열에서 항생제 사용 669
05. 미생물 검사결과의 해석 673
06.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 676
07. 항생제 용법 및 부작용 680
08. 임신 시 주의할 항생제 689
IX. 류마티스 / 691
01. 자가항체 693
02. 류마티스 질환의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약제들 697
03. 류마티스 관절염 703
04. 전신홍반루푸스 709
05. 전신 경화증 716
06. 쇼그렌 증후군 718
07. 염증성 근염 721
08. 척추관절염 725
09. 베체트병(Behcet’s disease) 729
10. 감염성 관절염 733
11. 통풍 736
12. 골관절염 741
13. 혈관염 질환에 대한 접근 745
X. 중환자 / 749
01. 기계호흡의 개시 751
02. 진정제 및 근육 이완제 사용 756
03. 이탈 및 기도 관리 759
04. 중환자실에서의 지지요법 762
05. 중증 패혈증 및 패혈성 쇽 치료 766
06.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772
07. 중환자 평가 도구 777
색인 / 781
INDEX / 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