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로 번역하면서
한의학의 위기라는 요즈음, 전통의학을 하는 입장에서 이들을 어떻게 살려나갈지가 최대의 숙제이다. 현실적으로 서양의학
conventional medicine과 어떻게 병존할 것인가, 어떤 경우에 홀로서기를 할 수 있을까 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survival
game에서 관건이다. 섣부른 결론일는지 모르지만, 지금 시점에서 근거중심의학이라는 차를 타지 않을 수 없다. EBM이
traditional medicine을어디까지, 어떻게 안전하게 몰고 가줄지 모르지만, 현재는이methodology가가장튼튼해보이는보루로 여겨진
다.
동아시아전통의학에서 일본 한방의학이 그래도 EBM에 가장 먼저 승차하고 있다. 일본동양의학회JSOM는 2002년에 1차로 <한방치료
Evidence report>를내고, 2007년부터2차리포트 작업을 진행하였다. 2010년6월1일, 논문을 다시 추가로 검색하여 평가작업을 하였
는데, 이것이 가장최근의일이다. 이 성과물을 이번에 한국어로 번역하게된것이다. 그러므로 이번 번역에는 최신작업자료를 모두
반영하게 된 것이다. 이 번역일은2010년 조직된 대한한의학회 KOMS 제1기 EBM 특별위원회에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논문에
대한평가자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도 배울 수있어 크게 참고가 되었다. 물론 오늘날 의학의 흐름, 트랜드를 읽는데 많은도움
이 되기도 하였다.
2010년2월, KOMS는제1기 EBM특별위원회를 만들면서, 한국에서 나온 한방치료에 관한 논문을 검색·정리·분석·평가하는 일, 그
리고 JSOM에서나온 2010년판 RCT 논문345편 번역하는 일의 두가지를 맡긴다. 전통의학자의 동지로서 KOMS와 JSOM은 2009년에 교
류협정을 맺는다. 연례적으로 각 학회대표는 상대 학회에 가서 발표 및 토론을 하고 있다. 이런 교류외에두학회는EBM이라는key
word를가지고공동의활동을하기도한다. 2010년7월19일에는JSOM의津谷喜一郞, 鶴岡浩樹 두 위원이 와서 선험자들의 작업과정을 일
러주기도 했으며, 2010년10월 31일 서울에서 두학회의 EBM특별위원회공동주최로 제1회 EBM 워커숍을 개최한다(First Korea-
Japan Workshop on EBM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우리들이 한방의학을 하는 일본의사들과 교류하는 목적 중 하나는 우리들의 시각을 좀 더 넓혀보자는 것이다. 의사지만, 치료방
법에서 같기 때문에 진료면에서, 연구방법론에서 공유가 가능하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우리들은 전통의학자들이 가지기 쉬운 결
점 중 하나인 국경에 대한장벽을 넘어야한다 transnationalism. 자칫하면 자국의 민족의학이라는 테두리를 넘지못하고, 자폐증
에 걸리기 쉽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명망있는 잡지의 신뢰성을 믿을 수밖에 없다. 2010년 부터 한의계에
서도 병명중심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본의사들 의 병명투여에 대한 한약처방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귀중한자료가 도움
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환자들이 양방과 한방을 넘나들고 있는 진료현장에서 의료인들끼리 소통이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우리 한의사들이 양의사와 꾸
준히 대화하고 교류하며 소통하는 자세가 필요한 만큼, 양의사들도 이런 사고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환자들의 needs이기 때문이
다. 이런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통의 자료가 필요하다. Conventional medicine을 하는 양의사들이 traditional medicine
을 바라보는 좀 더 객관화되고, 새로운 인식이되는 계기를 마련해줘야 한다. ‘한방에서 좋은 데이터만 보여주면 ’환자를 refer
하겠다는 양의사를 만나게 된다. 이 책이 이런면에서 <대화>와<소통>의 자료로 활용되기를 갈망한다. 아울러 이런 source가 보편
화되고 일반화되어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우리나라 의료계에서 유효하면서도 안전한 한방처방들이 많다는 인식이
그 어느때 보다 절실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참에 한·일 두 학회에 연결고리를 해 준 JSOM의 EBM특별위원회 위원장인 津谷喜一郞교수를 소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서태평양 WHO 본부에서 전통의학자문관으로 근무하면서1988년 서울대학교 천연물연구소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에 전
통의학협력센터를 지정하도록 했으며, 2004년에는 KOMS와 대한침구학회, 그리고 전 일본침구학회간에 교류협력을 체결하는 데 핵
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그는 일본노동후생성의 연구비지원으로 전통의학에서 RCT를 우선적으로 모아 전 세계적으로 공유
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 한의치료 EBM중 RCT 영어번역에도 관여하고있다. 국경을 초월하여
transnationalism 전통의학의 외연을 넓히는 모습에서 앞으로 우리들과 공동작업을 많이 할 것이다.
지난 1년간 본 위원회 위원들의 희생이 너무 컸었다. 알고는 들어오지 못할 곳이라는 EBM위원회에서‘앞으로만 나아가는 ’전략
에 기진맥진하였지만, 우리들이 한의계에 일정부분 역할을 하였다는 자긍심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근거중심의학에서 한의치
료>도 우리들의 손으로 올해에 출간예정으로있다. 牛步千里의진리를믿는다.
2011년7월6일
위원들의 뜻을 모아 위원장이 대표로 적는다
머리말
1 이번Version에대하여 .......................................................................... ix
2 (사)일본동양의학회EBM 특별위원회구성............................................... xi
3 Executive Summary........................................................................... xiii
PART 1 / 총론
1 본프로젝트의배경 l background ............................................................... 2
2 목적 l purpose ......................................................................................... 3
3 구조화초록의작성과정 l steps for development of structured abstracts .............. 3
4 선택·제외된논문의개요 l included references and excluded references ............ 11
5 다른프로젝트와의관련 l relation to other projects.......................................... 14
6 이해상충의관련사항 l conflict of interests .................................................. 19
7 감사의말 l acknowledgement.................................................................... 20
8 문의처 l contact point .............................................................................. 20
9 구조화초록·논문목록 l structured abstract and included references list.............. 21
10 제외논문목록 l excluded references list, 132논문............................................ 47
PART 2 / 구조화 초록
1 RCT : 345편 ........................................................ 60
+감염증 l 바이러스성 간염 포함 18초록 ................................... 61
+암 l 암 수술 후, 항암제의 불특정한 부작용 31초록 .................................. 79
+빈혈등혈액질환 15초록 ................................. 110
+대사·내분비질환 11초록 ................................. 125
+정신·행동장애 11초록 ................................. 136
+신경계질환 l 알츠하이머병 포함 11초록 ................................. 147
+안질환 3초록 ................................. 158
+이질환 6초록 ................................. 161
+순환기계질환 15초록 ................................. 167
+호흡기계질환 l 인플루엔자, 비염 포함 42초록 ................................. 182
+소화관, 간담췌질환 53초록 ................................ 224
+피부질환 15초록 ................................. 277
+근골격·결합조직질환 19초록 ................................. 292
+비뇨기, 생식기질환 l 갱년기장애 포함 33초록 ................................. 311
+산전, 산후질환 10초록 ................................ 344
+증상및증후 20초록 ................................. 354
+마취, 수술후동통 2초록 ................................. 374
+기타 30초록 ................................. 376
2 메타분석: 1편..............................................................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