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새로운 법체계 속에서 가정전문간호사 과정이 대학원 교육에 적용된지 4년이 지났습니다. 2003년 11월 25일 의료법
시행 규칙의 개정에 따라 전문간호사의 분야는 다양해졌으며, 의료법 안에는 전문간호사과정 교육기관의 지정과 지정기준, 과정
의 정원, 이수 과목 등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경우 2006년 1학기 부터 본 법을 적용해 왔으며, 그 간 한국간호
평가원과 한국가정간호학회는 몇 차례 논의를 거쳐 「전문간호사 표준교육과정」을 개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 중에 한국가정간호학회에서는 2009년도 사업으로 표준교육과정에 포함된 「상급가정간호실습 1」, 「상급가정간호실
습 2」, 「상급가정간호실습 3」 교과목 각각에 대해 실습지침서를 집필하여 공부하는 학생들과 실무에 있는 간호사 및 교수들
이 지침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상급가정간호 지침과 실제 1」은 가정간호사업소 운영에 대한 실습지침서로 크게 두 단원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첫 번째 단원
은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사업소 운영과 관련된 간호행정 관리 부문과 관련 서식지를 모두 실었으며, 두 번째 단원은 보건소방
문건강관리사업과 관련하여 사업 체계와 운영 및 서비스 관리에 대한 지침을 서술하고 관련 서식지를 첨부하여 실습에 튼튼한 지
침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상급가정간호 지침과 실제 2」는 가정간호대상자의 주요 문제를 중심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문제를 10개 영역으로 접근하여 상
처 관리, 재활 관리, 영양 관리, 호흡기계 관리, 임종 관리, 배뇨 관리, 출산가정 관리, 정서문제 관리, 통증 관리 및 소화기계
증상 관리로 정리함으로서 문제에 따른 대상자간호에 지침을 제공
하고자 하였습니다.
「상급가정간호 지침과 실제 3」은 가정간호대상자의 주요 질환을 중심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질환을 계통별로 접근하여 심혈관
계, 호흡기계, 신비뇨기계, 신경계, 근골격계, 암 및 내분비계 질환 등으로 정리함으로써 질병에 따른 대상자 간호에 지침이 되
도록 하였습니다.
본 교재는 가정전문간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담당 교수님과 현장에서 가정전문간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 등
총 33분이 각자의 전문분야를 맡아 책임감있게 집필하였으며, 1년 여에 걸친 편찬 과정에서 수차례의 면대면 모임과 e-mail을 통
해 의견을 교환하고 용어와 틀을 정비하였습니다.
바라기는 본 교재를 통하여 가정간호대상자의 관리와 가정간호사업소 운영에 필요한 간호술과 지식을 습득하여 현장에서 대상자
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간호실무 지침으로 적용할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끝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교재
편찬에 성의를 다해주신 집필진과 출판을 맡아 주신 군자
출판사 임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0년 5월
저자 일동
1장 상처 관리
Ⅰ. 상처 사정 2
Ⅱ. 상처 세척 7
Ⅲ. 상처 드레싱 11
Ⅳ. 보존적 괴사조직 제거 18
Ⅴ. 욕창 관리의 이해 22
Ⅵ. 하지궤양의 이해 27
Ⅶ. 수술 상처 관리 33
Ⅷ. 장루주머니 관리 38
Ⅸ. 결장루 세척 42
Ⅹ. 요루 관리 45
2장 재활 관리
Ⅰ. 뇌졸중 재활 50
Ⅱ. 호흡 재활 75
Ⅲ. 심장 재활 88
3장 영양 관리
Ⅰ. 영양상태 사정 97
Ⅱ. 경장 영양 105
Ⅲ. 정맥 영양 116
Ⅳ. 연하곤란식 128
4장 호흡기계 관리
Ⅰ. 흡인 간호 138
Ⅱ. 산소 요법 143
Ⅲ. 분무 요법 148
Ⅳ. 가정용 인공호흡기 관리 161
5장 임종 관리
Ⅰ. 임종 돌봄의 목표 170
Ⅱ. 임종 관리를 위한 실무 170
Ⅲ. 임종대상자 사정 171
Ⅳ. 전문적 간호중재 및 원리 175
6장 배뇨 관리
Ⅰ. 배뇨 194
Ⅱ. 배뇨관련 수기술 199
1. 단순 도뇨 199
2. 유치 도뇨관 관리 200
3. 방광루 관리 206
4. 방광 세척 208
5. 요루 관리 211
7장 출산가정 관리
Ⅰ. 산모간호 218
Ⅱ. 신생아간호 224
Ⅲ. 출산가정 관리 관련 수기술 228
8장 정서문제 관리
Ⅰ. 불안 관리 246
Ⅱ. 우울 관리 251
Ⅲ. 섬망 관리 261
9장 통증 관리
Ⅰ. 개요 268
Ⅱ. 통증 사정 272
Ⅲ. 통증 관리 방법 276
Ⅳ. 간호과정 적용 288
10장 소화기계 증상 관리
Ⅰ. 만성 오심과 구토 298
Ⅱ. 항암제 사용으로 인한 유도성 오심과 구토 302
Ⅲ.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 304
Ⅳ. 설사 306
Ⅴ. 변비 308
Ⅵ. 변실금 310
Ⅶ. 배변 관리의 실제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