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궁금한유방초음파QandA

  • 저   자 : 김은경
  • 역   자 :
  • 출판사 : 한국의학
  • ISBN(13) : 9788987808925
  • 발행일 : 200911  /   1판   /   182 페이지
  • 상품코드 : 21693
  • 적립금: 0
상품품절
25,0000

역자머리말

유방초음파는 유방촬영술과 더불어 유방암 조기진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간 유방초음파에 대한 책이 많이 소개
되었지만, 대부분 전문가적 입장에서의 책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동경여자의과대학의 Hiroshi Sakuma 교수가 집필한 책으로 저
자가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궁금하지만 물어볼 수 없었던 내용에 대한 질문과 대답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 현장에서 매
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초보적인 질문이지만, 깊이 생각하지 못하였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쉽고도 자세한 설명은 그간의 알고
있던 피상적인 지식을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끝으로 이 책의 번역과 출판의 기회를 준 한국의학 여러분에
게 감사를 드린다.

목차

Ⅰ. 검사법

Q1 유방검사에 적합한 초음파 진단장치는 무엇인가요? 16

Q2 탐촉자는 몇 MHz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요? 18

Q3 영상의 비율은 어느 정도가 좋을까요? 20

Q4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한 체크 포인트는? 22

Q5 음향 커플러는 필요한 것인가요? 26

Q6 유방은 어떤 순서로 스캔해야 좋을까요? 28

Q7 유방 스캔법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30

Q8 영상은 어디를 몇 장 남기면 되나요? 32

Q9 환자에게 어느 정도 탈의를 지시해야 하나요? 34

Q10 환자의 체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36

Q11 초음파 젤리는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나요? 38

Q12 초음파 젤리의 양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요? 40

Q13 초음파 젤리는 어떤 것으로 닦으면 좋을까요? 42

Q14 유방초음파 검사는 여성이 검사하는 편이 좋을까요? 44

Q15 남성이 유방검사를 할 경우에 주의해야 할 점은? 46

Q16 팔이 뻐근하고 아픈 이유가 탐촉자를 잡는 방법이 나빠서 일까요? 48

Q17 검사를 하고 있으면 목과 어깨가 결립니다. 이유가 뭘까요? 50

Q18 촉진에서 무언가가 있다고 들었는데 초음파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은 않은 경우는? 52

Q19 초음파에서는 어느 정도 크기까지의 종괴를 볼 수 있나요? 54

Q20 종괴 지름은 어디를 측정해야 하나요? 56

Q21 지름의 크기를 표시할 때 소수점까지 표시해야 하나요? 58
Q22 종괴의 위치는 어떻게 표기해야 하나요? 60

Q23 보고서는 어떤 형식이 좋을까요? 62

Q24 검진에서도 도플러 검사는 하는 편이 좋은가요? 64

Q25 하루에 몇 사람 정도를 검사할 수 있나요? 66

Q26 초음파와 유방촬영술 중 어느 쪽이 병변을 파악하기 쉽나요? 68

Q27 유방암의 전이림프절은 어디를 봐야 하나요? 70

Q28 초음파 유도하 천자흡인 세포검사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72

Q29 초음파 유도하 천자흡인 세포검사를 성공하는 비결은 무엇인가요? 74


Ⅱ. 소견

Q30 규칙적인 모양과 불규칙한 모양의 경계는 어디인가요? 76

Q31 종횡비의 양성과 악성의 판정기준은 몇 가지입니까? 78

Q32 내부 에코 레벨은 어떻게 평가하면 좋을까요? 80

Q33 에코 레벨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가요? 82

Q34 낭포내 종양과 종양내의 액체저류는 어떻게 감별합니까? 84

Q35 미세석회화는 초음파로 어디까지 알 수 있나요? 88

Q36 거대 석회화란 어느 정도의 크기를 말하는 것인가요? 90

Q37 유방촬영술에서는 석회화가 있지만 초음파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은 않는 경우는? 92

Q38 간종양에서 말하는 halo와 유방암에서 말하는 halo는 다른 것인가요? 94

Q39 후방 에코의 변화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96

Q40 전방 경계선의 단열은 어떻게 판단해야 하나요? 98

Q41 유관확장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어디에 있습니까? 100
Q42 확장 유관이 보였을 때에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102

Q43 이상 유두분비를 나타내는 증례를 검사할 때 주의점은? 104

Q44 초음파로 유방암의 유관내 확장을 어디까지 알 수 있나요? 106

Q45 장치에 따라 소견을 파악하는 방법과 진단기준을 바꿔야 하나요? 108

Q46 판독용으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110

Q47 양성과 악성뿐만 아니라 조직형도 추정해야 하나요? 112

Q48 카테고리 분류는 필요한 것인가요? 114

Q49 검진에서 정밀검사요망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116



Ⅲ. 양성 질환

Q50 초음파에서 유선증이라고 진단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118

Q51 다발 낭종의 크기는 몇 개까지 측정해야 하나요? 120

Q52 내부 에코를 나타내는 낭종이란 무엇인가요? 122

Q53 농축 낭종과 기타 고형성 종괴와의 감별방법은? 124

Q54 검진에서 발견된 섬유선종은 정밀검사요망으로 하는 것이 좋을까요? 126

Q55 섬유선종과 엽상종양은 어떻게 감별하나요? 128

Q56 양성 엽상종양과 악성 엽상종양의 감별방법은? 130

Q57 과오종의 초음파상의 특징은? 132

Q58 유관내 유두종과 섬유선종의 감별법은? 134

Q59 여성화 유방의 진단기준은 무엇입니까? 136

Q60 유방확대술 후의 초음파상은 어떻게 됩니까? 138

Q61 암으로 오인하기 쉬운 양성 질환은 무엇인가요? 140


Ⅳ. 악성 질환

Q62 암의 조직형 추정은 초음파로 가능하나요? 142

Q63 섬유선종으로 생각했지만 유두선관암이었습니다. 왜 착각을 한 것일것일까요? 144

Q64 “comedo”라는 말을 자주 듣는데 무슨 뜻인가요? 146

Q65 고형 선관암이었던 경암이란? 148

Q66 경암에서는 종괴의 크기가 촉진지름보다 작은 경우가 많나요? 150

Q67 점액암과 섬유선종의 감별방법은? 152

Q68 커다란 고형 선관암과 점액암은 엽상종양과 감별이 가능하나요? 154

Q69 침윤성 소엽암과 경암은 감별할 수 있나요? 156

Q70 유선염과 염증성 유방암은 감별이 가능하나요? 158

Q71 비침윤성 유관암은 초음파로 어디까지 알 수 있나요? 160

Q72 비침윤성 유관암의 5형 분류에 잘 들어맞지 않는 경우는? 162

Q73 낭포내암과 낭포내 유두종의 감별법은 무엇인가요? 164

Q74 종괴에 돌기모양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166

Q75 남성 유방암에 특징적인 소견은 무엇인가요? 168

Q76 암을 놓치지 않기 위한 비결이 있나요? 170



참고문헌 172
선종양의 조직학적분류 174
어록 175
색인 177

안녕하세요.
가본의학서적
입니다.

  •       0

    장바구니

    장바구니 닫기

  • 배송조회

    배송조회 닫기

  • 영수증출력

    영수증출력

  • 개인결제

    개인결제

  • 결제오류

    결제오류 닫기

  • 반품/취소

    반품/취소 닫기

  • 결제내역조회

    결제내역조회 닫기

  •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닫기

  • 질문&답변

    질문&답변 닫기

  • 입금계좌

    입금계좌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