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임상미생물학’이 발간되는 것은 병원감염관리와 임
상미생물을 업으로 하는 모든 사람들이 오랫동안 기다려 온 일입니다. 이
책의 대표 편저자이신 배직현 선생님이야 말로 이 책을 집필할 적임자라고
생각합니다. 배직현 선생님이 국내 병원감염관리와 임상미생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신 분이라는 데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특히 1995
년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를 창립하여 그 당시 병원감염관리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에 병원감염관리의 초석을 마련하였으며, 지금까지 선생님의 노고
로 병원감염관리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더불어 병원감염관리
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국내 현실로 볼 때 감염관리를 위한 임상미
생물학적인 지원은 점점 더 많이, 더 수준 높게 요구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임상미생물학을 전공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임상병리사에게도
병원감염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특수한 검사들이 익숙하지가 않고, 임상미생
물학을 전공하지 않은 임상의사, 감염관리간호사, 역학자에게는 기본적인
임상미생물학부터 어렵게 다가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병원감염관리를 위
한 임상미생물학은 부족하였던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좋은 교과서라고 사
료됩니다.
이 책의 I부 의학미생물 총론은 미생물의 특성, 유전학, 항균제 및 숙주와
의 상호작용 등을 다룸으로써 병원감염관리의 기본이 되는 감염의 병인론
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II부 임상미생물학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세균, 진균, 바이러스의 임상미생물학 전반과 감염관리적인 관점에서 다룬
역학과 관리가 균형을 이루고 있어서 그 동안 임상의사, 간호사 및 역학자
들이 느껴온 병원감염관리와 임상미생물학 사이의 간극을 메꿀 수 있을 것
으로 생각합니다. III부 감염관리를 위한 임상미생물학의 실제는 유행조
사, 소독과 멸균, 감시배양, 임상미생물자료의 활용, 미생물의 역학적 타이
핑, 환경배양, 병원성 미생물의 생물학적 안전성 등 임상미생물검사실에서
감염관리를 위해 지원해야 할 실제적인 지식을 담고 있어서 실무에 큰 도움
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부록은 감염관리를 전공하는 대학원 학생
들의 실습서가 될 뿐 아니라 감염관리 실무자가 임상미생물학을 감염관리
에 실제 적용해보는 자습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책을 간단히
소개하면서 현재 감염관리업무를 하고 있는 또는 관심이 있는 의사, 간호
사, 임상병리사, 해당분야의 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필수 전문서적으로 추
천합니다.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를 대표하여 이 책이 발간됨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여러 집필진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합니다.
2007년 6월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장 최 태 열
머리말
현대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면역저하환자의 증가, 다양한 침습적 의료기구
의 사용, 항균제의 개발과 사용으로 인한 항균제내성균의 확산 등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이와 같은 의료환경에서 병원감염의 위험은 계속 증가하
고 있어서 감염관리는 의료계의 당면과제가 되었습니다. 국내 감염관리는
1995년, 1996년 연이어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와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가 창
립되면서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지만, 지난 18년간 한국의 감염관리 분야에
서 활동해 온 사람으로서 아직도 부족함이 많다고 생각하며, 그 중에서 가
장 아쉬운 점이 바로 감염관리를 담당할 인적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현재 감염관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 비해 감염관리 인력 양성
은 더디기 때문에 그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모
든 의료인이 감염관리를 의료의 필수요소로서 수행하는 것이 이 문제를 해
결할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감염관리에 필요한 임상미생물학적인 지식과 경
험을 널리 공유하고 교육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감염관리 실무를 하는 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와 감염관리를 배
우는 학생과 전공 대학원생에게 임상미생물학을 교육시키는 데 교과서 혹
은 참고서가 될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그 내용은 2003년부터 시작된 감염
관리전공 간호학 석사과정에서의 임상미생물학 강의와 실습을 위한 교재를
기반으로 엮었습니다. I부 의학미생물 총론을 통해 병원감염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도록 미생물과 감염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였고, II부에서는 임
상적으로 중요한 세균, 진균, 바이러스에 대한 임상미생물학, 감염혈청학
등 전통적인 임상미생물학을 충실히 다루고자 했습니다. 특히 각 미생물을
다룰 때 감염관리 관점에서 필요한 역학과 감염관리 부분을 보강해서 임상
미생물학과 감염관리학이 융합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III부는 감
염관리 실무자로서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