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기존의 상담과 관련된 지식체에서는 환자와 의료인 사이의 관계를 너무 간
단하게 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자신의 증상이나 문제를 의료
인에게 호소하고 의료인은 그 문제를 해결하는 일차적인 단순한 관계로 설
명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 두 사람과의 관계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으며 단순할 수도 없다. 특별히 환자의 문제가 그 사람의 잘못된 생활습
관과 관련이 있는 경우 혹은 그 사람의 생활스타일 전부 바꿔야 하는 경우
두 사람과의 관계는 단순해 질 수가 없다. 실무자는 환자의 잘못된 생활습
관을 조사하고 문제를 확인하며 필요하다면 교정을 제언하기도 하고 혹은
매우 극단적인 방향으로 환자의 생활스타일을 바꿔야한다고 처방을 내리는
입장에 서게 된다.
이 책에서는 바로 이런 실무자의 역할을 상담이라고 말하며 이 상담이 효과
적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핵심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주로 건강전문가인 간호사, 의사, 약사, 물리치료사 혹은 작업치료
사, 영양사와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이들은 환자와
함께 식이요법, 금연, 약물복용, 절주 등과 같은 건강생활에 관한 상담을
주로 하고 있다.
이 책을 집필한 목적은 제한된 시간 속에서 환자와 상담을 통해 그들의 생
활습관을 교정해야 하는 실무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담방법
을 제공하기 위함으로 이는 기존의 문헌에서 이와 관련된 방법을 찾기란 무
척 어려웠기 때문이다. 상담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환자의 불이행
에 관한 내용이었으나 불이행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내용은 찾아
보기 어려웠고 환자의 생활습관 교정을 위해 투자해야 하는 시간의 정도
나, 구체적 활동에 관해서는 정보가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고 볼 수도 있
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담법은 건강을 증진하려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
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심장병, 당뇨, 관절염,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을 가
진 환자의 자가관리(Self-Management)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 상담법은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 뿐만아니라 지역사회의 일차보
건의료기관인 보건소, 지소, 진료소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상담기법은 거의 모든 생활습관 교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저
자는 생활습관의 기본 기전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교정
할 수 있는 방법이나 교정이 실패하는 기전도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환자의 상담과정에서 야기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도 역시 유사
하다고 본다. 상담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는 주로 상담자가 환자에게 일방
적으로 어드바이스를 제공하거나 기초 작업없이 무조건 본론만 제시하는 방
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생긴다. 이와 같은 방법의 상담은 거의 싸움과정이라
도 봐도 괜찮을 것이다.
환자에게 단순히 충고를 제공하거나 “교육”을 시키는 일반적인 상담활동
이 충분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에서 제시하는 상담방법은 혹시
불필요하게 너무 복잡한 것은 아닌가?
이 책의 저자는 우선 충고 제공이 가진 제한점의 해결을 새로운 상담방법
탐색의 첫 발판으로 삼았다. 왜냐하면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상담에서는
환자 뿐만 아니라 실무자 역시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 좌절감을 경험하는
것을 많이 봐왔기 때문이다. 물론 환자와 실무자 사이에 강한 신뢰감이 형
성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저자가 우려하는 바는 실무자가 그 방법만을 고집하고 모든
상담과정에서 그 한가지 방법만을 사용하므로서 야기 되는 문제점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환자 중심의 상담법”이라는 보다 범위가 넓은 접근법
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실무자가 사용하기 쉽고 또한 만족감을 가지
며 환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보다 많이 존중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
으며 결과적으로 상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접근법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보다는 다소 복잡할 수 있으나 생
활습관의 교정이라는 과정 자체가 복잡한 것처럼 이와 관련된 상담법도 복
잡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환자 중심의 상담법”은 환자에게 자신의 생활습관과 관련된 문제점을 스
스로 찾아내고 해결방법을 생각해내고 결과적으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
록 가능한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도 때로 직접적
이고 방향제시적일 수 도 있다. 실무자가 상담과정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
하고 상담의 주제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 환자중
심의 상담법이 일반적인 “협상” (Negotiation) 수준의 상호작용을 말한
다 (Borehlo, 1